허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허혼(許渾, 788년860년대)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자 관인이다. 자는 용회(用晦),윤주(潤州) 단양현(丹陽縣)[1] 사람이다.[2] 측천무후 시절 재상이었던 허어사(許圉師)의 6세 손으로 만당(晚唐)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의 한 사람이다. 선종(禪宗)을 독실하게 믿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애[편집]

정원(貞元) 4년(788년) 태어났으며[3] 원화(元和) 원년(806년) 대량 양씨(大梁梁氏) 가문의 여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대화(大和) 6년(832년) 진사에 급제, 개성(開成) 원년(836년) 노균(卢钧)의 막부에 들었다.[4] 개성 3년 봄에 당서현위(当涂县尉)로 임명되었고 ;회창(会昌) 원년(841년) 태평현령(太平县令)에 임명되었다가[5] 겨울에 감찰어사(监察御史)로 승진하였는데, 회창 4년에 윤주사마(潤州司馬)로 부임하였다. 선종(宣宗)이 즉위하고 수도로 돌아왔다. 대중(大中) 3년에 다시 감찰어사가 되었는데 병이 있어서 조정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그대로 동쪽으로 돌아갈 것을 청하였다고 한다.[6] 후에 목주(睦州)로 나가게 되었다.[7] 대중 5년에 동도(东都) 낙양(洛陽)으로 부임하게 되었을 때[8] 하남윤(河南尹) 유연(刘瑑)과 서로 왕래가 있었다. 대중 7년에 원외랑(员外郎)으로써 수도를 떠나 영주자사(郢州刺史)로 나가게 되었고,[9] 세간에서는 허영주(許郢州)라 불렀다.

함통(咸通) 원년(860년) 6월 회계(会稽)로 가서 절동(浙东) 지역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를 진압하였다.[10] 만년에 물러나 은거하면서 단양 정묘교(丁卯橋)에서 살았다.[11] 당시 세간에서는 그를 허정묘(許丁卯)라 불렀다고 한다.[12] 사망한 해는 알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대중 9년에서 함통 2년 사이에서 사망하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13]

작품에 대하여[편집]

허혼의 시는 대부분 율시(律诗)와 절구(绝句)로 이루어져 있다. 《당시고취》(唐诗鼓吹)에는 그의 7언율시 31수가 실려 있는데 대부분 산림을 노닐면서 벗과 전별할 때 써준 것으로 물(水)이라는 글자를 사용한 것이 매우 많아서, 사람들은 '허혼의 시 1천 수는 모두 물에 젖어 있다(許渾千首濕)'라고 칭하였다고 한다.[14] 구법(句法)은 완급이 세밀하고 정제되어 있으며 성율(声律)의 원숙함을 허혼의 시에 빗대기도 하였다.[15] 당시 저명한 시인이었던 두목(杜牧)、위장(韋庄) 및 송대(宋代)의 육유(陸游)가 모두 그의 시를 숭배하고 추앙하였다. 다만 그의 시를 두고 임기응변하는 재주가 모자라다거나 기교는 넘치는데 맛이 부족하다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다.[16]

문집으로 《정묘집》(丁卯集) 2권이 남아 있다.[17]전당시》(全唐诗) 권11에 그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모두 5백여 수에 달한다. 그 시의 평가는 역사상으로도 사뭇 격차가 있으나 역대에 그의 시에 대한 토론과 평가는 매우 높았으며, 찬양하는 사람만큼이나 비판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이는 당대 시인 가운데서도 또한 그리 자주 볼 수 없는 현상이기도 하다.

신라 사신에게 지어준 한시[편집]

《전당시》에는 허혼이 신라로 돌아가는 벗에게 전별로 써 주었다는 한시 1수가 실려 있다.

과거 시험을 끝마치고 신라로 돌아가는 벗을 전송하며(送友人罷擧歸新羅)
滄波天塹外 푸른 파도 가로막힌 바다 저 바깥
何島是新羅 어느 섬이 신라 나라 거기일런가.
舶主辭番遠 배 주인은 번국 떠나 멀리도 오고
碁僧入漢多 바둑 두는 중은 중국 많이도 온다.
海風吹白鶴 바닷바람 하얀 학 날개에 불고
沙日曬紅螺 모래밭 햇볕에서 소라를 말리네
此去知投筆 이제 가면 붓 던질 것을 알겠거니와
須求利劍磨 모름지기 날카롭게 칼을 갈아라.

기타[편집]

허혼의 시 가운데 《함양성동루》(咸阳城东楼)의 '산비 오려 하니 바람이 가득차네(山雨欲來風滿樓)'라는 구절은 중국의 경제학자 쑹훙빙(宋鴻兵)은 2014년에 펴낸 자신의 저서 《화폐전쟁》 시리즈의 다섯 번째 권에 해당하는 '탐욕경제'의 부제로도 쓰였다.

각주[편집]

  1. 지금의 중국 강소 성(江苏省) 단양시(丹阳市)이다.
  2. 동내빈(董乃斌)의 《당시인허혼고색》(唐诗人许浑考索)에서 허혼의 본관이 낙양이었음을 지적하였다.
  3. 《당시대계》(唐诗大系)에서는 정원 7년(791년)에 태어났다고 했지만 여기에는 사료상의 근거가 없다. 나시진의 《허혼선생고》(许浑生年考)에서는 정원 4년이 맞다고 고증하였다. 왕원언(王远彦)의 《허혼생졸년고》(许浑生卒年考)에서는 허혼이 정원 16년(800년)에 태어났을 것으로 보았는데, 그 근거는 장우(张祜, 785—849)의 시 《방허용회》(访许用晦)였다. 곽문호(郭文镐)의 《허혼남해지행고》(许浑南海之行考)에서는 허혼이 정원 12년(796년)에 태어났다고 보았다.
  4. 나시진 《당시연진론》(唐诗演进论)
  5. 《당재자전》(唐才子传) 권7.
  6. 허혼 자신이 쓴 《오사란시》(乌丝栏诗)의 자서(自序)에서 “大中三年,守监察御史,抱病不任朝谒,坚乞东归”라 하였다.
  7. 금화주씨집성당(金华朱氏集成堂)에서 펴낸 《건덕현지》(建德县志) 권9 《주부승천표》(州府升迁表)에서.
  8. 곽문호의 《허혼자영급졸년고》(许浑刺郢及卒年考)에서는 허혼이 대중 5년 가을에서 6년 가을 사이에 낙양으로 분사(分司)하였고 이듬해 봄에 원외랑으로써 수도를 떠나 자사로써 영주로 나가게 되었다고 보고 있다.
  9. 《신당서》 예문지(艺文志)에서 허혼에 대해 "大中睦州、郢州二刺史"고 하였고, 왕안석(王安石)의 《당백가시선》(唐百家诗选) 권16에도 허혼의 이름 아래에 주석을 달아 “大中末为郢州刺史”라고 하였다.
  10. 나시진 《당시연진론》(唐诗演进论) “송(宋) 사람 범경(范埛)과 임우(林禹)의 《오월비사》(吴越备史) 권1에는 정사에 기재되지 않은 사적 하나를 싣고 있다. ‘함통 중에 경사(京师)에서 기를 보는 자가 말하기를 전당(钱塘) 땅에 왕자(王者)의 기가 서려 있다 하므로, 시어사(侍御史) 허혼(许浑)과 중사(中使) 허집(许计)을 보내어 벽(璧)을 내려 와서 진(秦)의 망산(望山) 중에 이를 묻어 기를 눌렀다(压을《오월비사》 원문에는 厌라 썼다). 사자가 돌아왔을 때에 기를 보는 자가 말하기를 결코 누를 수 없을 것이라 하였다.’”,頁272.
  11. 허혼 자신이 쓴 밤에 '정묘교의 촌사로 돌아오며(夜歸丁卯橋村舍)'라는 시가 남아 있다.
  12. 방문(方文)의 《증원장경군백》(赠袁长卿郡伯)이라는 시에서 “前辈犹传许丁卯,凌敲送客不曾閒”라고 하였다.
  13. 허혼의 사망 시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당시대계》(唐詩大系)에서는 선종 대중 8년(854)에 사망한 것 같다고 적었으나, 관련 사료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곽문호의 《허혼자영급졸년고》에서는 대중 9년에 졸하였다고 했는데, 나시진(罗时进)의 《허혼생보고》(许浑年谱稿)에서는 함통 2년 혹은 그 이후일 것으로 보았다.
  14. 《초계어은총화》(苕溪渔隐丛话)에서는 《동강시화》(桐江诗话)를 인용해 “허혼의 문집에는 가구(佳句)가 매우 많은데 물(水) 자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때문에 국초의 인사들이 '허혼의 1천 수는 물에 젖어 있다(許渾千首濕)고 한 것이 이것이다.”라고 썼다. 나시진이 쓴 《허혼천수습과 그의 불교사상》(许浑千首湿与他的佛教思想)、《시론(試論) 허혼천수습》(试论许浑千首湿) 등에서는 허혼이 남종선 불교에 귀의하였음을 인정하였으며, 그렇기에 어둠과 맞서 싸우려는 생각이 조금도 없었고,또한 시대에 영합하기를 바라지 않았던 허혼은 물은 불교 특히나 선종에서는 청정하고 티끌이 없이 맑고 항상 고요한 가장 높은 경계이자 보편적인 중생의 성물이라고 생각했고, 이러한 이념들은 다른 시가들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고 하였다.
  15. 田雯 《古欢堂集·杂著》
  16. 방회(方回), 《영규율수》(瀛奎律髓).
  17. 《신당서》 예문지 별집에 「許渾丁卯集二卷」이라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