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
(陜川 玉田 M3號墳 出土 環頭大刀 一括)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2042호
(2019년 12월 26일 지정)
수량4점(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 2점, 봉황문 고리자루 큰 칼 1점, 용문 고리자루 큰 칼 1점)
시대가야 5세기
관리국립진주박물관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등 3개처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陜川 玉田 M3號墳 出土 環頭大刀 一括)은 합천 옥전 고분군에서 출토된 가야 5세기의 무기병기류이다. 2019년 12월 2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042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합천 옥전 고분군은 고령 가라국과 함께 대가야 연맹의 양대 축인 다라국(多羅國)의 최고 지배층이 묻혀 있는 공동묘역으로, 이 중 합천 옥전 M3호분은 1987년~1988년 동안 경상국립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옥전 M3호분은 규모가 크고 도굴되지 않아 당시 최고 수장(首將)의 묘제(墓制)를 가장 잘 간직하고 있는 대표적인 무덤이다. 무엇보다도 막대한 양의 토기류와 철기류(무기, 마구 갑주, 농공구 등), 유리장신구류와 고리자루 큰 칼이 출토되어 가야는 물론 동북아시아 고고학 및 고대사 연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출토된 대가야식 고리자루 큰 칼 일괄은 자루 부분을 다양하게 장식하고, 손잡이와 칼 몸통 등을 금과 은으로 화려하게 표현해 삼국시대 고리자루 큰 칼 중 제작기술, 형태 등이 가장 뛰어난 작품이다.[1]

이 고분에서 일괄 출토된 ‘고리자루 큰 칼’ 4점은 모두 용봉문(龍鳳文)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고 섬세한 금속공예 기법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국내외에 알려진 삼국시대 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은 40점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역사적․학술적 가치 면에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의 가치를 능가하는 사례는 거의 없다. 출토지가 분명하고 보존 상태와 조형적 아름다움 등 모든 면에서 이 칼들은 삼국시대 금속공예의 대표작으로 꼽을 만하다.[1]

특히, 국립김해박물관에 보관 중인 ‘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의 경우 손잡이 부분에 가는 은선(銀線)으로 전체를 감은 후, 그 위에 매우 얇은 금박을 붙인 흔적이 발견되어 주목된다. 이는 지금까지 은선과 금선(金線)을 따로 말은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은선 위에 금박을 붙인 것으로 보아 한국의 전통 공예기술로 알려진 ‘금부(金鈇)’ 기법일 가능성이 높다.[1]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은 가야 최고 지배층의 장묘(葬墓) 문화와 전통공예의 역사를 잘 보여준다는 점,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고대사, 고고학 연구에 중요한 기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1]

  • 세부치수(명칭/소유자(관리자)/소재지)

1. 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 1점/국 유(국립진주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 전체 길이 82.6cm, 도신장 65cm, 도신폭 2.9cm

2. 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 1점/국 유(국립진주박물관)/국립김해박물관

- 전체 길이 81cm, 도신장 64cm, 도신폭 3.3cm

3. 봉황문 고리자루 큰 칼 1점/국 유(국립진주박물관)/경상국립대학교 박물관

- 전체 길이 113.1cm, 도신장 90.8cm, 도신폭 3.9cm

4. 용문 고리자루 큰 칼 1점/국 유(국립진주박물관)/경상국립대학교 박물관

- 전체 길이 82.2cm, 도신장 64.1cm, 도신폭 3.8cm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문화재청고시제2019-170호(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제19656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9. 12. 26. / 438 페이지 / 667.5KB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