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기나ㅏㄴ의 판 36754771으로 되돌림 (Restorer)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태그: 수동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20번째 줄: 20번째 줄:


연극의 [[장르]]({{llang|fr|Genre}})에 등장하는 배역을 맡은 배우가 가공의 인물을 구현하는 연기력이 요구된다. 뛰어난 연기력을 보여줄 때는 [[메소드 연기]]({{llang|en|Method acting}})라는 수식어가 붙는다.<ref>[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606776007435.pdf 관련 논문]</ref>
연극의 [[장르]]({{llang|fr|Genre}})에 등장하는 배역을 맡은 배우가 가공의 인물을 구현하는 연기력이 요구된다. 뛰어난 연기력을 보여줄 때는 [[메소드 연기]]({{llang|en|Method acting}})라는 수식어가 붙는다.<ref>[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606776007435.pdf 관련 논문]</ref>

== 하위 분류 ==
=== 연극 배우 ===

=== 영화 배우 ===
'''영화배우'''(映畵俳優)는 [[영화]]에 출연하여 연기하는 [[배우]]이다. 보통 [[배우#텔레비전 배우|텔레비전 배우]]([[탤런트]])나 [[연극 배우]]를 겸하기도 한다.

초창기의 [[무성영화]] 시대부터 영화 배우라는 직업이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그리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점차 영화 관객들이 배우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최초의 스타 영화 배우"로 꼽히는 [[릴리언 기쉬]], [[플로렌스 로렌스]], [[매리 픽포드]] 등이 등장했고 스타를 이용한 영화 홍보 시스템도 갖춰지게 되었다.

16세기 이후 서양에 영화라는 것이 등장하면서 연극 배우나 희극 배우들의 연기를 실시간이 아닌 녹화를 통해 대중들에게 공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첫 영화는 [[무성영화]]로 이들의 대화 내용은 대중들에게 전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무성 영화 당시 유명한 영화배우로는 [[미국]]의 [[테다 바라]](Theda Bara), [[폴라 네그리]](Pola Negri) [[루돌프 발렌티노]] 등이 있었다. 19세기 말 이후에는 유성영화가 등장하면서 연기력과 외모 외에도 미성을 가진 수많은 영화배우들의 존재가 대중들에게 알려지기 시작, 대중의 인기를 끌게 되었다.

영화 배우 중 [[한국]] 최초의 여성은 [[연쇄극]]을 영화에 포함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이월화]] 또는 [[마호정]]이 꼽힌다<ref>장우진, [http://www.cineseoul.com/magazine/magazine.html?magazineID=57&cate=series 한국 최초의 여자 영화 배우는?] {{웨이백|url=http://www.cineseoul.com/magazine/magazine.html?magazineID=57&cate=series |date=20050114081704 }} 《씨네서울》 (2000.12.1)</ref>.

=== 텔레비전 배우 ===
텔레비전 배우는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에 출연하여 연기하는 배우를 뜻한다.

=== 뮤지컬 배우 ===
뮤지컬 배우는 [[뮤지컬]]에서 노래를 하며 연기하는 배우를 뜻한다.

=== 단역 배우(엑스트라) ===
{{참고|보조 출연자}}
배우로서의 단역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등에서 장면 내지는 몇 컷 정도 출연하는 배우를 뜻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49135&cid=50337&categoryId=50337 출처:《네이버 지식백과》]</ref>

=== 스턴트 배우(스턴트맨) ===
{{참고|스턴트 배우}}

=== 에로 배우(AV 배우) ===
{{참고|에로 배우}}

=== 희극 배우(코미디언) ===
{{참고|희극 배우}}

=== 성우 ===
{{참고|성우}}


== 관련 서적 ==
== 관련 서적 ==

2024년 4월 29일 (월) 00:05 판

배우
정치인 리처드 3세(Richard III)를 연기하는 배우 데이비드 개릭(David Garrick)[1]

배우(俳優)는 연극, 텔레비전, 영화 등 극적인 공연에서 연기하는 직업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2]

이 용어는 주로 영화나 텔레비전, 연극 또는 라디오 등의 프로그램 안에서 연기하는 사람을 일컬으며, 때때로 길거리에서 공연하는 이들도 포함된다. 이 중에 라디오에서 연기를 하는 사람은 성우라고 한다. 배우는 주로 가상의 인물을 연기한다. 실화(또는 실제 인물을 묘사하는 가상의 이야기)의 경우, 배우는 실존 인물(또는 같은 가상판 인물)을 연기한다. 어떤 경우는 배우 자신이 출연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Being John Malkovich)에서 존 말코비치(John Malkovich)의 연기를 들 수 있다.

외모에 따라서 배역의 다른데 주로 연기력이 좋은 배우들이 '저명한 정치인', '저명한 대기업 회장'같은 인물들을 연기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메소드 연기(영어: Method acting)에 편승한 자신의 연기력으로 높은 사람들을 재연함으로 자신의 연기력을 과시한다. 이러한 경우 배우 중 아무나 연기할 수 없고, 배우 중 인기가 많거나, 배우 중 연기를 잘 하거나 둘 중 하나인 경우다.

연극의 장르(프랑스어: Genre)에 등장하는 배역을 맡은 배우가 가공의 인물을 구현하는 연기력이 요구된다. 뛰어난 연기력을 보여줄 때는 메소드 연기(영어: Method acting)라는 수식어가 붙는다.[3]

관련 서적

  • 드니 디드로 저. 주미사 역. 《배우에 관한 역설》. 문학과지성사. 2001년. ISBN 9788932012841
  • 박성봉. 《연기 미학》. 일빛. 2011년. ISBN 9788956451534
  • 박성봉. 《대중연기의 미학》. 동연. 2012년. ISBN 9788964471876
  • 박성봉. 《세계 연기 예술의 역사》. 동연. 2014년. ISBN 9788964472415
  • 허용호. 《연기술과 배우훈련 : 연기자 만들기의 실체》. 집문당. 2015년. ISBN 9788930311243

각주

  1. 현대에도 배우들이 저명한 정치인, 저명한 기업인을 연기하는 클리셰(프랑스어: cliché)가 많다.
  2. 엄지혜. 진중권 학자 “가장 철학적인 동물은 인간이 아니야”. 채널예스. 2017년 2월 1일.
  3. 관련 논문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남자 배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미디어 공용에 여자 배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