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아덴만 여명 작전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4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8월)

민간인 부상[편집]

선장 부상을 기타가 아니라, 왼쪽에 배치해야 하는것 아닌가요?--1 (토론) 2011년 1월 27일 (목) 13:27 (KST)답변

왼쪽에 배치하는 것은 교전국인 "대한민국 해군", "오만 왕립 해군", "미국 제5함대"의 피해 상황이라는 것인데, 민간인의 부상은 해당 교전국의 피해상황은 아니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Min's (토론) 2011년 1월 27일 (목) 13:34 (KST)답변
민간인은 Min's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어느 곳에 속하지 않는(전투 병력이 아니므로) '대한민국'의 민간인이니까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1월 27일 (목) 13:42 (KST)답변
한국 전쟁, 연평도 포격처럼 전쟁이나 전투 문서에서도 민간인 희생자를 같은 곳에 배치하고 있는데요. 해적들도 적으로 간주하고 공격한건데....., 민간인이라고 쓰면 될듯한데요.--1 (토론) 2011년 1월 27일 (목) 13:52 (KST)답변
아마, 그것은 민간인도 전투에 참여하기도 하고, 참전 군인의 학살도 있었기에 그런 거 같습니다.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1월 27일 (목) 13:54 (KST)답변
연평도 포격이 민간인이 전투에 참여했나요?--1 (토론) 2011년 1월 27일 (목) 13:57 (KST)답변
그것은 두 나라간의 (문제로 추정되는) 사건이지 않나요? 이 작전은 오만 왕립 해군 및 미군 제5함대도 간접적으로나마, 참여했구요. 일부 중국 언론의 주장에 의하면, 중국, 러시아 등도 참여 했구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1월 27일 (목) 14:00 (KST)답변
인질 구출을 목적으로 하는 작전이었으므로, 저도 한국측 피해로 두는게 맞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125.177.194.9 (토론) 2011년 1월 27일 (목) 20:47 (KST)답변
인질 구출을 목적으로 하였으니, 더더욱 제3의 피해(?)라고 보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만약, 대한민국 해군의 (또는 연합군의) 타국 함선 인질 구출 작전에서 벌어진 인질의 피해가 발생하였어도 해군측(또는 연합군) 피해로 보실 수 있을까요? 한국 전쟁의 경우, 어떤 기준으로 남북의 민간인 피해를 나누었는 지는 모르겠네요. 아마, 지역을 기준으로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만.. 그렇다면, 거창 양민학살 사건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은 남측 민간인들이 학살당했으므로, 남측 피해가 되나요? 뭐, 아직까지도 한국 전쟁은 학살이나 전투 등의 피해 인원이 논란이 되긴 합니다만... (글이 꼬였네요. 양해 부탁합니다.)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1월 27일 (목) 22:41 (KST)답변
연평 포격은 북이 남측을 공격해서 남측 군/민이 피해를 본거니 민간인 또한 남한의 피해에 포함되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 여기에는 동의하시는지요? 이번 인질극은 소말리아 해적이 한국 선박을 탈취했고 이를 탈환하기 위한(국민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군사활동이었으니, 그 과정 중 국민과 재산 피해 역시 한국 측 피해로 보는게 타당하지 않을까요? 125.177.194.9 (토론) 2011년 1월 27일 (목) 23:01 (KST)답변
그 점에는 동의합니다. 그렇다면, 만약, 한국인 선원이 아닌, 미얀마 선원이 부상을 입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대한민국 국민은 아니지만, 선장과 같은 민간인 선원입니다.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1월 27일 (목) 23:27 (KST)답변
그러네요, 꽤 흥미롭네요. 연평도에 필리핀 노동자가 있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한국인과 결혼한 베트남 여자였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해운사는 한국 회사이나 선박의 소유주가 해당회사가 아닌 외국회사로부터 리스한 것이었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외국으로 판매가 완료되어 인도중이던 화물이 유실되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법에서는 어떻게 해석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소말리아 해적이 납치한 시점에 해당 선박에 있었고, 이 사건으로 인해 피해를 보았다면 광의적으로는 모두 한국측 피해로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만약 해당 사건을 취재하던 소말리아 언론이 예를 들어 유탄에 의해 피해를 입었다면, 그건 제 3의 피해로 볼 수 있겠지만요. 125.177.194.9 (토론) 2011년 1월 28일 (금) 19:36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0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3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0월 31일 (수) 09:26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8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8월 3일 (토) 22:5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