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루스 원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키루스 실린더(استوانه کوروش Ostovane-ye Kūrosh) 또는 키루스 헌장(منشور کوروش Manshūre Kūrosh)에 대한 설명.

성경에 고레스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 키루스 2세의 업적을 기록한 실린더이다.

키루스 실린더 정면

BC 6세기 만들어져 1879년 메소포타미아(현대 이라크)의 바빌론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현재는 키루스 실린더를 발견한 탐험대를 후원한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 이 소장하고 있다. 이 키루스 실린더는 기원전 539년 신바빌로니아 제국이 키루스의 침략을 받아 페르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을 때, 키루스 왕의 명령을 바탕으로 제작, 공표되었다.

키루스 실린더는 키루스를 찬양하고, 그의 계보를 기록하고, 그를 왕중의 왕으로 표현한다. 키루스에 의해 패배하고 퇴위한 바빌로니아 왕 나보니두스는 바빌로니아 사람들에게는 독재자로 비난 받고 있었다. 이 시기에 바빌로니아의 신 마르두크가 바빌로니아인들에게 평화와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키루스를 선택한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 글은 바빌로니아 사람들에게 키루스가 그들의 새로운 통치자로 환영 받았고, 평화롭게 입성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키루스와 그의 아들 캄비세스 2세를 보호하고 도와달라고 마르두크에게 기원했다고 한다. 그리고, 키루스를 그들의 삶을 향상시킨 바빌로니아 시민들의 보호자로 추앙하고, 포로된 사람들을 본국으로 송환하고, 메소포타미아 전역과 그 밖의 지역에 걸쳐 각 지역의 종교 시설 등을 복원했다고 기록한다. 그리고, 키루스가 어떻게 바빌론의 성벽을 수리하였는지에 대한 설명으로 끝을 맺는다.

실린더의 본문은 바빌로니아 포로가 되었던 유대인들의 송환에 대한 키루스의 정책의 증거라고 성서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어 왔다.[1] 이 해석은 메소포타미아 부근 내용만 언급하고, 유대인이나 예루살렘 또는 유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논란이 있었다. 실린더는 또한 이란의 마지막 (Shah)인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에 의해 세계 최초의 인권 선언이라고 언급되었다. 이는 일부 역사가들에 의해 거부된 내용이기도 하다. 전 영국박물관 관장인 닐 맥그리거(Neil MacGregor)는 키루스 실린더에 대해서 "우리가 알고 있는한 다른 국적과 신념을 가진 사람들을 포용하기 위한 새로운 종류의 국가 제도 운영에 대한 첫 번째 시도이다."라고 말했다[2]. 키루스 실린더는 페르시아 제국의 건국 25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971년 테헤란에 전시한 제국주의 국가가 이란의 국가 상징으로 채택했다.[3] 10월 14일 모하마드 레자 샤의 여동생 아샤프 파할비 공주는 유엔 사무총장 우 탄트에게 키루스 실린더를 복제해서 선물한 바 있다. 공주는 "키루스가 남긴 것은 인간에 대한 이해, 관용, 용기, 동정심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간의 자유라는 유산이었다"고 주장했다.

개요[편집]

키루스 실린더 (Cyrus Cylinder)는 최대 지름이 22.5 센티미터 (8.9 인치) × 10 센티미터 (3.9 인치) 인 구운 점토의 통 모양 실린더이다. 원뿔 모양의 찰흙 층 주변에 여러 단계로 만들어졌으며, 그 내부에는 큰 회색 돌이 포함되어 있다. 글을 새기기 위해서 마지막 점토의 미세한 층을 더했는데, 그 층을 잘 살리기 위해서 중간에는 여러 층의 점토를 덧대어 제작하였다. 발굴 당시에 키루스 실린더는 여러 조각으로 부서져서 발굴되었다. 오늘날에는 1972년 두 개의 큰 조각을 합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키루스 실린더 발굴자 Hormuzd.Rassam

1879년 Hormuzd Rassam이 발견한 실린더의 본체는 "A"라고 명명하였다. 그것은 1961년 다시 가마에서 구워 냈고, 석고를 추가로 충전하는 복원을 진행했다. 작은 조각 "B"는 8.6 센티미터 (3.4 인치) X 5.6 센티미터 (2.2 인치)의 크기이다. 조각 "B"는 예일 대학교의 J.B.Nies에 의해 골동품 상인으로부터 구입되었다. Nies는 1920년에 이 조각의 본문을 공표했다. 이 조각은 1879년에 원래 발굴 작업을하는 동안 실린더 본체에서 떨어져 나갔고 발굴 작업에서 제외되어 Rassam의 쓰레기 더미에서 회수되었다. 뮌스터 대학 (University of Münster)의 폴 리차드 버거 (Paul-Richard Berger)가 1970년에 그것을 확실하게 확인하기 전까지는 실린더의 일부로 확인되지 않았다. 예일 대학 (Yale University)은 영국 박물관 (British Museum) 소장품에서 "쐐기문자판(a cuneiform tablet)"과 교환하기 위해 영국 박물관에 무기한으로 조각을 빌려주었다.

기원전 539년에 실린더가 키루스 대왕의 바빌론 정복을 분명히 기록하기는 했지만, 그 생성 날짜는 분명하지 않다. 기원전 539년 이후로 키루스가 바빌론을 통치하던 초기 시기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 박물관 (British Museum)은 원통의 제작 시기를 기원전 539-530년으로 정했다.

키루스 실린더의 내용은 이러하다

키루스 실린더 발췌본

1 ~ 19 행: 바빌론의 왕인 나보니두스를 부끄러워하면서 키루스를 신 마르두크와 연결시키는 서두;

20-22 행: 키루스의 왕의 칭호와 계보, 그리고 바빌론에 평화롭게 입성 함;

22 ~ 34 행: 키루스의 바빌론 치세 정책에 대한 찬사.

34-35 행: 키루스와 그의 아들 캄비세스를 위해 마르둑에게 기원.

36-37 행: 키루스가 백성들을 평화롭게 살게하고 신들에게 바친 헌물을 증가 시켰다는 선언.

38-45 행: 바빌론에 있는 키루스에 의해 건설된 건물 건축 활동의 세부 사항.

최근 관련된 조각 발견 내용[편집]

2010 영국박물관은 1881년부터 박물관에 보관하던 두 개의 점토 조각을 해독했다고 발표했는데, 그 조각에는 키루스 실린더와 똑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 조각은 바빌론 근처 다일렘이라는 작은 지역에서 출토되었고, Wilfred Lambert 교수와 Irving Finkel과 영국 박물관 중동 지역 전시 담당이 발굴했다고 한다. 이 내용은 키루스 실린더가 더 작은 도시까지 전해진 확실한 전달 내용이라는 증거이다.[4]

페르시아 작품인 키루스 실린더의 메소포타미아 유물들의 유사점[편집]

키루스 실린더는 오래된 메소포타미아 왕의 비문과 뚜렷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주목할 두 가지 예는 기원전 722년 1월에 바빌론 왕좌를 장악 한 Marduk-apla-iddina 2세의 것과 12년 후 바빌론을 정복한 앗시리아의 사르곤 2 세의 것이다. Marduk-apla-iddina는 정복자로서 키루스가 바빌론을 정복했을 때 당했던 것과 유사한 정통성 문제에 직면한다. 그는 마르둑(그들이 섬기는 신)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선언하며 자신의 정복의 정당성 -정통성-을 부여한다. 그의 정통성에 지지를 얻었을 때, 그는 성스러운 의식을 수행하고 성지를 회복했다. 그는 바빌로니아의 초기 왕이 성전 기초에 둔 왕의 비문을 발견했다고 말하면서, 그 왕들은 자신의 정복을 만족하며 평온하고 명예롭게 떠났다고 선언한다. 이런 스타일의 주장은 키루스의 실린더에도 언급된다. 12년 후 앗시리아 왕 사곤 2 세는 Marduk-apla-iddina를 물리치고 추방하여 바빌로니아의 왕권을 차지했다. 사르곤의 연대기는 그가 바빌로니아 군주의 임무를 수행하고 신을 존중하며 사원을 유지하고 도시 엘리트의 특권을 존중하고 지지하는 방법을 표현하고 있다. 키루스 실린더도 동일한 내용을 언급했다. 키루스가 폐위한 바빌론 왕 나보니두스는 동일한 스타일의 실린더를 제작하였고, 그것은 대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실린더의 내용은 수 세기 동안 전해 내려온 바빌론 전통과 강한 연속성을 나타낸다. 정복자들의 강함과 정통성을 선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작된 것이다. Kuhrt가 말한 것처럼 :

실린더는 바빌론 시민들이 새로운 왕을 지지해야 하는 압제된 상황을 반영한다 … 이 맥락에서, 패배한 전임 왕의 치세는 자동적으로 나쁘게 묘사되었다 - 당연히 치세를 못하니 망하지 않겠습니까? 묵시적으로, 또 당연히 전임자의 모든 행위는 필연적으로 폄하되었다.

키루스 실린더가 바빌론에서 제작된 다른 실린더와 서술 방법이 유사한 것은, 이 실린더가 키루스의 명에 의해 마르둑을 숭배하는 바빌론 성직자에 의해 저술 되었음을 암시한다. 같은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나보니두스의 것과 비교해 보자. 나보니두스의 것은 전임 바빌론 통치자는 마르둑의 성직자의 적이고, 키루스는 바빌론의 해방자로서 등장했다고 표현하고 있다. 두 작품은 나보니두스에 비해서 키루스가 왕으로서의 자질이 뛰어나다는 것을 잘 강조하고 있다.

키루스 실린더의 내용에 대한 논란[편집]

월튼과 힐 (Walton and Hill)이 말했듯이, 사람들에 의해 찬사를 받은 평화로운 왕권 교체라는 주장에 대해 "일반적인 정복자의 표현 방법이며 사실이 아닐 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 시카고 대학의 브루스 링컨 (Bruce Lincoln) 신학 교수는 해방자로서 자신의 군대가 "위대한 제국의 환타지"중 하나라고 환영한다고 선전하면서, 한편 바빌로니아 군이 기원전 522년에 페르시아 통치에 반대하여 반복적으로 반기를 들고, 기원전 484년과 482년에 반란군이 국가 독립과 바빌론 왕의 재기를 위해 노력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아마도 그들은 실린더에 적힌 것처럼 페르시아인에게 우호적이지 아닐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키루스 실린더의 노예 해방과 종교 자유에 대한 언급을 보면, 그 당시로 보면 굉장히 파격적인 내용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성경을 믿는 사람들은 해당 내용이 이미 기록되어 있었고, 키루스 실린더에 그 내용이 증명된 것이라 주장하며, 성경이 사실이라는 입장을 증명하는데 키루스(성경명 고레스) 실린더를 주로 언급한다.[5][6]

인권 선언문으로서 키루스 실린더[편집]

1960년대 후반에 이란의 마지막 샤 (Shah)가 "세계 최초의 인권 선언"이라고 선언했을 때 키루스 실린더는 새로운 주목을 받았다. 키루스 실린더는 샤의 정치 이데올로기의 핵심 상징이었고 일부 역사가들과 학자들의 의견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부 논평가들에 의해 여전히 인권 헌장으로 간주되고 있다.[7]

팔 라비 이란 정부의 견해[편집]

키루스 실린더는 팔라비 이란 제국 시대 제국의 공식 엠블럼으로 사용된다.

키루스 실린더는 이란 혁명 이전 정부 (Shah Mohammed Reza Pahlavi)가 1967년에 발표 한 '이란의 백색 혁명 (The White Revolution of Iran)'에서 최초의 '인권 선언'이라고 불렸다. Shah는 키루스를 정부 이데올로기에서 핵심 인물로 규명하고 그의 정부를 아케메네스 왕조와 관련시켰다. 그는 "우리 제국의 역사는 인류 역사상 가장 인간적인 원칙, 정의와 자유의 옹호가 가장 주목할만한 문서 중 하나로 간주되어야하는 키루스의 유명한 인권 선언으로 시작되었다"고 썼다. Shah는 키루스를 "사람들에게 인권과 정의와 자유"를 주기 위하여 실천한 역사상 첫번째 통치자로 설명한다. 1968년 Shah는 '키루스 실린더'가 현대 인권 선언의 선구자라고 말하면서 테헤란에서 처음으로 유엔 인권 회의를 열었다.

1971년 새해 연설에서 Shah는 페르시아 군주국 2,500년을 축하하기 위해 거행된 행사에서 1971년을 키루스의 해(Cyrus the Great Year)라고 선언했다. 키루스 선언은 이란이 세계 문명에 기여한 공헌이 인정될만한 현대 이란의 자랑거리 역할을 한 것이다. 기념의 주요 주제는 이란의 Shah와 페르시아 과거의 유명한 왕, 특히 키루스와 관련이 있는 이란의 정치 체제 시스템이었다. Shah는 아케메네스 제국시기를 "과거의 제국이 희망하는 사회의 모델이자 슬로건으로 가장 잘 완성된 모델"으로 보았다. 기념을 위한 상징으로 키루스 실린더가 채택되었으며, 이란의 잡지와 저널은 고대 페르시아 역사에 관한 수 많은 기사를 실었다. 대영 박물관은 축제 기간 동안 원래의 키루스 실린더를 이란 정부에 대여해 주었다. 그것은 테헤란에 있는 샤 히드 기념탑 (현재 보르제 아자디)에 전시되었다. 2,500년의 축하 행사는 1971년 10월 12일에 시작되어 파사르가다에에 있는 키루스의 무덤에서 화려한 퍼레이드로 진행되었고, 1 주일 후 최고점에 달했다. 10월 14일, Shah의 여동생, Ashraf Pahlavi 공주는 U Thant 유엔 사무 총장에게 키루스 실린더의 복제품을 선물했다. 공주는 "키루스의 유산은 인간 이해, 관용, 용기, 연민,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의 자유"라고 주장했다. 유엔 총회는 유엔 총회가 "무력 충돌에 관한 인권 존중의 문제"를 다루기 위한 노력과 함께 연결하는 선물로 실린더를 받아들였다. 그 후 복제품 키루스 실린더는 뉴욕시의 유엔 본부 2층 복도에 보관되었다. 유엔은 이 실린더를 "고대 인권 선언"으로 계속 홍보하고있다.[8][9]

이슬람 공화국에 전시된 키루스 실린더[편집]

2010년 9월 전직 이란 대통령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Mormoud Ahmadinejad)는 공식적으로 이란 국립 박물관에서 키루스 실린더 전시회를 열었다. Pahlavi 시대 이후에, 실린더를 이란으로 가져온 것은 두 번째였다. 또한 이란 국내에서 가장 오래 진행되는 전시였다. Ahmadinejad는 키루스 실린더를 인간 가치의 화신이자 모든 인류를 위한 문화 유산으로 간주하고 이를 "첫번째 인권 헌장"이라고 부른다. 영국은 이 키루스 실린더를 이란 국립 박물관에 4 개월 동안 대여해 주었다.

실린더는 모든 사람이 생각과 선택의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으며 모든 개인은 서로 존중해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역사 헌장은 또한 억압과 싸우고, 억압받는 사람들을 보호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인권을 인정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키루스 실린더는 이란 국민이 항상 역사를 통해 공의와 헌신과 인간 가치의 깃발을 든다는 사실에 대한 증언이라고 이슬람은 이야기 한다.

학자들의 의견[편집]

"인권 헌장"으로서의 실린더의 해석은 일부 역사가들에 의해 다소 다른 의견이 있다고 기술되어왔다. 어떤 사람들은 인권 헌장이 아니라고 주장하였고, 팔레비 정권이 고안한 정치 선전으로 이야기 한다. 독일 역사 학자 Josef Wiesehöfer는 키루스를 인권 부문 선구자로 묘사 한 것은 이란의 이미지메이킹 전략이라고 언급했다. D. Fairchild Ruggles와 Helaine Silverman은 Shah의 목적이 이란 국가와 그의 정권을 정당화하고 고대 페르시아의 과거에 뿌리를 둔 정권임을 강조하여 이슬람 근본주의의 영향력 증가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Shah의 기념식 직후에 영국 박물관 (British Museum)의 C.B.F. 워커는 "키루스 실린더의 본질적인 성격은 인권이나 종교적 관용에 대한 일반적인 선언이 아니라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의 전통에서 키루스가 바빌론 도시를 복원하고 마르두크 종교인들의 신앙을 보전하는 것" 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일부 역사가들과 인권 작가들은 키루스 실린더를 인권 헌장으로 해석하는 것을 지지한다. 미국의 철학자 인 WJ 탈보트 (WJ Talbott)는 인권 개념은 20세기 개념이라고 믿지만 키루스를 "아마도 가장 초기의 종교적 관용 옹호자"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란의 변호사 히라드 압 타히 (Hirad Abtahi)는 실린더가 단순히 "왕의 통치를 합리화하는 도구"로 보는 것은 정당하지 못하다 고 주장한다. 키루스는 재임 중에 실린더를 발표하고 그 문서에 권위를 부여했다. 인기있는 야당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가시적인 외부 위협이 있는 것도 아니며, 아무도 그에게 그런 것을 작성하도록 강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전 이란 총리 하산 피르니아 (Hassan Pirnia)는 20세기 초에 글을 쓰면서 실린더가 "시대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인권에 대해 토론하고 당시 이란의 통치하에 있던 나라들의 모든 사람의 명예와 명성, 종교적 신념을 보호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라고 말했다.

각주[편집]

  1. CyrustheGreat (2016년 12월 4일). “고레스 실린더에 담긴 성경의 확실한 예언”. 2019년 2월 15일에 확인함. 
  2. “Cyrus Cylinder” (영어). 2019년 2월 9일. 
  3. “2,500 year celebration of the Persian Empire” (영어). 2019년 2월 9일. 
  4. “성경은 사실이다 - 역사학을 통한 증거”. 2017년 2월 18일. 2019년 2월 21일에 확인함. 
  5. “고레스 - 하나님의교회 말씀과진리”. 2019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21일에 확인함. 
  6. “고고학 —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2019년 2월 21일에 확인함. 
  7. '인류 최초의 인권선언', 이 작은 도기에 담겼다?”. 《오마이뉴스》. 2019.2.21.에 확인함. 
  8. Tzovaras, UN Photo/Michos (1977년 1월 1일). “Replica of the Edict of Cyrus At the United Nations” (영어). 2019년 2월 21일에 확인함. 
  9. “[숨어있는 세계사] 진흙 판에 쐐기 문자로 기록한 '종교의 자유'. 2019년 2월 2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