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 사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나 사변(일본어: 支那事変)은 일본 제국중일 전쟁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명칭이다. 우스이 카츠미에 따르면, 1941년 12월 10일 명명된 대동아 전쟁이 "지나 사변"이라는 용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명칭으로서 "지나 사변"이라는 용어는 대동아 전쟁이라는 용어 사용 이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1] 한편 기타 하루아키는 중국과 일본의 전쟁이 태평양 전쟁 기간 중에도 계속되었기 때문에 "지나 사변"은 태평양 전쟁이 끝난 시기와 동일하다고 주장했다.[2] 지나 사변의 명칭 자체는 당시 일본이 중국을 부르던 명칭인 "지나"와 병력을 사용하게 되는 난리라는 뜻을 가진 "사변"이 결합한 단어이다.

명칭의 변화[편집]

중일 전쟁은 국제법상 필요한 국가의 교전 개시 의사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전쟁이라고 불리지 않았다.[3] 일본 정부는 최초에 중일 전쟁을 북지사변(일본어: 北支事変)이라고 불렀고, 이후에는 해당 명칭을 지나 사변(일본어: 支那事変)으로 변경했다.[3] 이는 중일 전쟁 중이던 때에 다나카 신이치가 각료회의에서 "북지사변은 지나사변으로 명칭을 변경해야 합니다. 상대가 확장 정책을 펴고 있는데 우리만 확장 정책을 펴지 않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라고 건의한데서 비롯되었다.[4]

1945년 12월 8일부터 12월 17일까지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지시에 따라 각 신문에 게재된 '태평양전쟁사'에서는 "지나사변"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1946년 4월에 연재를 정리하고 간행한 『태평양 전쟁사- 펑톈 사건부터 무조건 항복까지』에서는 '일지사변'(일본어: 日支事変)이 되었다.[5] 연합국 최고사령부는 1946년 11월호에 실린 아오노 도시요시의 「중견작가론 노트」에서 '시나사변'으로 표기한 것에 대해 시나 사변을 일화 사변으로 수정하라고 명령했다.[6]

오늘날 "지나"라는 표현은 중국인에게 멸칭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에 일본 사학계는 보다 중립적인 "일중전쟁"(일본어: 日中戰爭) 또는 연합국 점령기 때부터 쓰인 "일화사변"(일본어: 日華事変)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일부 일본 우익은 여전히 중일 전쟁을 지나사변이라고 칭하고 있다.

각주[편집]

  1. 臼井勝美「「支那事変」考」駒澤大学大学院史学会『駒澤大学 史学論集』第34号 (2004.4)、ISSN 0286-5653、1頁。
  2. 北 (1994)、20頁
  3. 昭和12年9月2日閣議決定、事変呼称ニ関スル件「今回ノ事変ハ之ヲ支那事変ト称ス」
  4. 田中新一「日華事変拡大か不拡大か」『別冊知性 5 秘められた昭和史』河出書房、1956年12月号。
  5. 庄司 (2018)、1頁。
  6. 庄司 (2018)、2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