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朝鮮王朝實錄 五臺山史庫本)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보
종목국보 제151-3호
(1973년 12월 31일 지정)
수량75책(27책:1973년 지정, 47책:2007년 지정, 1책:2019년 지정)[1]
시대조선시대
관리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朝鮮王朝實錄 五臺山史庫本)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왕조실록이다.

1973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51-3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본(朝鮮王朝實錄 五臺山本)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2]

개요[편집]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태조에서부터 조선 철종 때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편년체(編年體: 역사적 사실을 일어난 순서대로 기술하는 역사서술의 한 방식)로 기록한 책이다.

오대산사고는 1606년(선조 39) 경에 설치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전주사고본을 제외한 나머지 실록들이 모두 소실되자 조선정부는 1603년(선조 36) 7월부터 1606년 3월까지 전주사고본을 바탕으로 태조부터 명종까지의 실록 4부를 재간행했다. 그리고 강화·태백산·묘향산·오대산 등지에 사고를 새로 건축하여 서울의 춘추관사고와 함께 5곳의 사고에 실록을 보관하였다. 당시 실록을 재간행할 때 4부 중 3부는 정본(正本)으로 인쇄했지만, 전란 이후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나머지 1부는 정본 인쇄를 하지 못했다. 이에 조선정부는 최종 교정쇄본을 장정(裝幀)하여 정본을 대신하도록 했는데, 이 교정쇄본이 오대산사고에 보관되었다. 따라서 오대산사고본 실록 중 태조~명종실록은 교정쇄본이고 이후에 소장된 선조~철종실록은 정본이다.

오대산사고본 실록은 일제강점기인 1913년경에 일제에 의해 동경제국대학 도서관에 기증하는 방식으로 반출되었고, 1923년 관동대지진 당시 화재로 인해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화를 면한 오대산사고본 실록 중 27책이 1932년에 경성제국대학으로 이관된 이후 서울대학교 규장각으로 이어졌다. 오대산사고본실록 27책은 1973년 국보로 지정되었고, 이후 일본에 남아있던 오대산본 실록 47책이 2006년에 환수(2007. 2. 26 국보 추가지정), 환수문화재 추가 지정 1책(2019. 6. 26 국보 추가지정)되어 현재 75책이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목록[편집]

75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3]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문화재청고시제2019-79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지정 및 변경), 제19531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9. 6. 26. / 604 페이지 / 922.4KB : 환수문화재 추가 지정(1책) 에 따른 수량 변경
  2.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제17328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0. 8. 25. / 63 페이지 / 1.2MB
  3. “(국영문 동시 배포) 국립고궁박물관, ‘이달(11월)의 추천 유물’로 ‘오대산사고본’ 소개”. 2021년 11월 1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