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과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과정〉(鄭瓜亭)은 고려 의종정서가 쓴 향가고려 가요이다. 제작 연대에 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다.[1]

특징[편집]

고려 가요 작품 중 작가가 밝혀진 유일한 작품으로, 억울한 누명을 쓰고 유배지로 귀양을 간 자신의 처지를 노래한 유배 문학 작품이다.

10구체 형식이며, 《악학궤범》에 실려 전한다.

지은이[편집]

정서는 인종의 총애를 받은 신하로 풍류(風流) 재예(才藝)에 뛰어난 사람이었다.

그가 궁중을 중심으로 한 문관계 내직과 환관계 내료들의 정쟁(政爭)으로 발생한 대령후 사건으로 조정의 여러 사람으로부터 참소를 받게 되자 그의 고향인 동래(東萊)에 귀향가게 되었다. 그때 의종이 오래 지나지 않아 곧 부르겠다고 했는데 오랫동안 아무 기별이 없자 이를 슬퍼하여 지어 불렀다고 한다.

내용[편집]

이 노래의 내용은 자기의 외로운 신세를 산접동새에 비기어 임금을 그리는 절절한 심정을 읊었으므로 '충신이 임금을 그리는 노래(忠臣戀主之詞)'라 하여 궁중음악으로 불렸다.

이 노래는 《동국통감》에는 〈정과정〉이라 하였고, 《악학궤범》에는 〈삼진작(三眞勺)〉이란 이름으로 실렸는데 이 삼진작이란 이름은 정과정에 붙인 악곡명이고, 가사명은 아니다. 즉 〈삼진작〉은 가사에 붙인 곡조 이름이다. 일진작이 가장 느리고, 이진작보다 삼진작이 더 빠른 것으로 보인다.

각주[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