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계점 (집합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집합론에서 임계점(臨界點, 영어: critical point)은 주어진 기본 매장이 보존하지 못하는 최소의 순서수이다.

정의[편집]

집합론의 언어 를 생각하자. 추이적 집합 , 사이의, 언어의 기본 매장 를 생각하자. 또한, 에 속한 집합만을 사용한 공식으로 정의된다고 하자.

그렇다면, 는 순서수를 순서수로 대응시킨다. 즉,

이다. 또한, 는 순증가 함수이며, 는 그 고정점이다.

이 경우, 임계점고정점인 최소의 순서수이다.

폰 노이만 전체 라고 한다면, 기본 매장 의 임계점은 항상 가측 기수이다. 즉, 가측 기수에 정의하는 극대 필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성질[편집]

기본 매장의 임계점의 개념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큰 기수들을 정의할 수 있다. 아래 표에서

  • 는 임의의 순서수를 뜻한다.
  • 은 임의의 유한 순서수를 뜻한다.
  • 이다.
큰 기수 개념 기본 매장 의 성질
가측 기수 (임의)
-초강기수(영어: superstrong cardinal)
-거대 기수(영어: -huge cardinal)

0-거대 기수의 개념은 가측 기수의 개념과 동치이다.

이보다 약간 복잡한 예로, 다음과 같은 꼴의 큰 기수들을 정의할 수 있다.

가 ~기수라는 것은, 임의의 에 대하여, 성질 를 만족시키는 추이적 모형 기본 매장 이 존재함을 뜻한다.
큰 기수 개념 기본 매장 의 성질
초콤팩트 기수 순서수 ,
강기수(영어: strong cardinal) 순서수
우딘 기수(영어: Woodin cardinal) 함수 , ,

외부 링크[편집]

  • Hamkins, Joel David; Gitman, Victoria. “Huge cardinal”. 《Cantor’s Attic》 (영어). 2016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9일에 확인함. 
  • Hamkins, Joel David; Gitman, Victoria. “Strong cardinal”. 《Cantor’s Attic》 (영어). 2016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9일에 확인함. 
  • Hamkins, Joel David; Gitman, Victoria. “Superstrong cardinal”. 《Cantor’s Attic》 (영어). 2016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