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경제/번역장/경제적 균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균형 가격:
*P - 가격
*Q - 재화의 수량
*S - 공급
*D - 수요
*P0 - 균형 가격
*A - 초과 수요 - P<P0일때
*B - 초과 공급 - P>P0일때

경제학에서, 경제적 균형은 간단히 말해서 경제적 힘들이 균형을 이루며 균형 상태의 값을 이루는 경제적 변수들이 외부적인 힘에 의해 변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킨다.(다듬을 필요성이 있어 해당 문장을 주석처리했습니다) 시장 균형 상태는, 예를 들면, refers to a condition where a market price is established through competition such that the amount of goods or services sought by buyers is equal to the amount of goods or services produced by sellers. This price is often called the equilibrium or market clearing price and will tend not to change unless demand or supply change.

특성[편집]

가격이 균형점을 지나면 초과 공급이 발생하며, 균형점 아래에 있으면 공급의 부족이 발생한다. 다른 공급 곡선들과 다른 수요 곡선들은 다른 경제적 균형점을 만든다. 가장 단순한 미시경제학의 예에서 시장에 수요와 공급이 발생할때, 우리는 시장에 하나의 정체된 균형점을 얻는다; 하지만, 경제적 균형점은 시장이 아닌 곳에서도 발견될수 있으며 정체되어 있지 않고 변동할 수 있다. 균형은 하나의 시장의 치우친 균형에 반대되는, 다-시장 혹은 일반 균형일 수도 있다.(해당 문장 주석처리함)

균형이란말이 쓰이는 보통의 뜻과 같이 (예를 들면 화학의 경우), 경제학에서의 균형이란말은 '공급과 수요 사이의 안정' 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균형 상태에서 생산이 증가한다면 균형이 깨지고 전체적인 시장의 균형가격은 내려갈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균형점이 찾아 질 것이다. 새로운 균형점이 찾아진 후에는 다시금 가격의 변동이 없을 것이나, 외부에서의 새로운 자극이 (예를 들어 생산 또는 수요의 변동) 생긴다면, 즉 기술의 발전이나 사람들의 취향이 바뀐다면 다시금 균형이 생길 것이다; 하지만 내부에서의 자극으로는 수량이나 가격이 변하지 않을 것이다 That is, there are no endogenous forces leading to the price or the quantity. <<여기 마지막 문장이 조금 이상하게 번역이 됐네요, 해놓고 보니까 -ㅅ-, 내부에서의 충격으로는 수량이나 가격이 변하지 않는다는 말을 어떻게 하면 좀더 Korean-friendly하게 될까요 :(

endogenous force는 거시의 내생변수/외생변수 개념인 것 같은데(endogenous veriables),'내생변수의 변화로는 수량이나 가격이 변하지 않는다.'정도로 하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Not all economic equilibria are stable. For an equilibrium to be stable, a small deviation from equilibrium leads to economic forces that returns an economic sub-system toward the original equilibrium. For example, if a movement out of supply/demand equilibrium leads to an excess supply (glut) that induces price declines which return the market to a situation where the quantity demanded equals the quantity supplied. If supply and demand curves intersect more than once, then both stable and unstable equilibria are found.

There is nothing inherently good or bad about equilibrium, so it is a mistake to attach normative meaning to this concept. For example, food markets may be in equilibrium at the same time that people are starving (because they cannot afford to pay the high equilibrium price).

해석들[편집]

대부분의 해석들에서, 아담 스미스같은 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은 자유 시장(free market)이 가격 기능(Price mechanism)으로서 경제적 균형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어떠한 초과 공급 (시장 잉여(surplus) 혹은 공급 과잉)은 (생산의 경제적 유인(incentive)을 줄이고 상품(product)을 판매함으로써) 공급량을 줄이고 (소비자들에게 하락된 가격을 제시함으로써) 수요량을 늘려서 가격 하락을 불러온다는 이다. 이것은 자동적으로 공급 과잉을 제거한다. 비슷한 예로 규제가 없는 시장(unfettered market)에서는, 그 어떤 초과 수요(혹은 공급)이라도 (소비자에게 너무 비싼 가격이 제시됨으로써) 수요량을 줄이고 (생산의 유인을 늘리고 상품 판매도 늘어나서)(as the incentive to produce and sell a product rises - 이거 좀 이상한데, 좀 다듬어주세요) 공급량을 늘려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As before, the disequilibrium (here, the shortage) disappears. This automatic abolition of market non-clearing situations distinguishes markets from central planning schemes, which often have a difficult time getting prices right and suffer from persistent shortages of goods and services.

This view came under attack from at least two viewpoints. Modern mainstream economics points to cases where equilibrium does not correspond to market clearing (but instead to unemployment), as with the efficiency wage hypothesis in labor economics. In some ways parallel is the phenomenon of credit rationing, in which banks hold interest rates low in order to create an excess demand for loans, so that they can pick and choose whom to lend to. Further, economic equilibrium can correspond with monopoly, where the monopolistic firm maintains an artificial shortage in order to prop up prices and to maximize profits. Finally,Keynesian macroeconomics points to underemployment equilibrium, where a surplus of labor (i.e., cyclical unemployment) co-exists for a long time with a shortage of aggregate demand.

On the other hand, the Austrian School and Joseph Schumpeter maintained that in the short term equilibrium is never attained as everyone was always trying to take advantage of the pricing system and so there was always some dynamism in the system. The free market's strength was not creating a static or a general equilibrium but instead in organising resources to meet individual desires and discovering the best methods to carry the economy forward.

See also[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