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질문방/2023년 제4주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질문방
2023년 제4주
2023년 1월
52 26 27 28 29 30 31 1
1 2 3 4 5 6 7 8
2 9 10 11 12 13 14 15
3 16 17 18 19 20 21 22
4 23 24 25 26 27 28 29
5 30 31 1 2 3 4 5

유저박스 어떻게 만들 수 있나요?[편집]

유저박스 모음 - 교육 - 전공 분야 에 표기되어 있지 않은 전공 하나를 추가하고 싶은데 어떻게 만들 수 있나요?

위키백과:유저박스/유저박스 모음/교육 해당 리스트에서 '편집'을 누르면 별도로 사진을 첨부하는 곳이 없는 것 같은데 어떻게 만드나요? DBS777 (토론) 2023년 1월 23일 (월) 21:54 (KST)

@DBS777: {{유저박스}} 사용하시면 기존에 없던 원하시는 유저박스를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틀 설명 잘 읽어보시면 id 변수나 info 변수에 사진 첨부도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 ginaan기나ㅏㄴ(˵⚈ε⚈˵) 2023년 1월 23일 (월) 22:04 (KST)

en:Province No. 1 이 지역은 뭐라고 번역하는 게 좋을까요?[편집]

네팔의 주 같은데, 특이하게 각 나라 언어판을 보면 (각 언어는 잘 모르지만) 지명인데도 불구하고, 각 나라 언어로 번역한 명칭을 쓰는 것 같은데, 일어 위키 제목이 第一州 인거 같으니 "제1주"라고 하는게 맞을까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4일 (화) 16:15 (KST)

두산백과에서도 '제1주'라 표현하네요. 개인적으로 제1주가 가장 좋은 표제어라 생각합니다. :) 링크 Luminosity (talk) 2023년 1월 24일 (화) 23:28 (KST)

'assemblage' 번역하기[편집]

Evidence of Middle Palaeolithic Levallois technology has been found in the lithic assemblage of Guanyindong Cave site in southwest China, dated to approximately 170,000–80,000 years ago.

제가 이 구절을 번역하고 있넌데, 여기서 'Assemblage'를 도저히 어떻게 번역해야 하는지 감이 안오더라고요. 사전에는 집합체, 모임이라 나오는데 많이 어색하니까요... 이걸 어떻게 번역하면 좋을까요? Luminosity (talk) 2023년 1월 24일 (화) 23:46 (KST)

@Luminosity00: 'Lithic assemblage' 같은 경우 단순히 '석기 유적'으로 해도 될 것 같긴 한데, 좀 더 의미를 살리려면 '석기 유물군' 정도로 써도 될 것 같네요. LR 토론 / 기여 2023년 1월 24일 (화) 23:51 (KST)
정말 감사합니다! Luminosity (talk) 2023년 1월 24일 (화) 23:58 (KST)

틀:Cite act이 왜 오작동하는걸까요?[편집]

작성 안한 문서에 이 틀이 있어서 쓰려고 틀을 en:Template:Cite act를 그대로 도입하여 가져왔는데도 불구하고, 이제보니 플로린 크추 각주 12번(영어판에 17번 각주와 같습니다)에서 날짜 부분이 오류가 나고 있습니다. 같은 부분을 인용을 한 en:Florin Cîțu에서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데 말이죠. 틀을 아예 그대로 가져왔는데, 어째서 이런일이 벌어진건지 감도 안잡히네요. 왜 그러는건지 궁금하네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6일 (목) 20:44 (KST)

이렇게 수정했습니다. #time 파서 함수의 경우 기본값으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한국어로,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영어로 표시됩니다. 영어는 영어끼리, 한국어는 한국어끼리 비교해야 합니다. --ted (토론) 2023년 1월 26일 (목) 21:40 (KST)
정말 감사합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6일 (목) 21:48 (KST)

문서 편집 시 목차 삽입 관련 질문입니다[편집]

윤이상 문서를 들어가면 왼쪽에 목차가 나오는데 편집 시에는 어떻게 추가하는지 몰라 질문합니다


틀 같은것을 사용해야 하는건가요? Strawberriesonmyhand (토론) 2023년 1월 27일 (금) 12:05 (KST)

도움말:문단 만들기#목차 항목을 참고하십시오. 문단을 더 많이 만들면 목차는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ted (토론) 2023년 1월 27일 (금) 13:37 (KST)

틀:산 정보/시험장#Mount Baker에서 오작동하는 원인[편집]

틀:산 정보/연습장은 영어판에서 가져와서 후에 틀:산 정보에 적용하려고 시험장 틀:산 정보/시험장에 시험중인데, en:Template:Infobox mountain/testcases#Mount Baker에서는 틀:산 정보/시험장#Mount Baker에서 와는 달리, {{#coordinates:}}: 문서당 기본 태그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없습니다 오류도 뜨지 않고 한 문서안에 여러가지 좌표가 되고, Error {{native name checker}}: parameter value is malformed 오류도 뜨지 않는데 한국어판에서만 오작동중입니다. 왜 그런지 이유를 몰라 이렇게 물어봅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7일 (금) 20:21 (KST)

질문 이후 건들인게 없는데, "문서당 기본 태그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없습니다"라고 글씨가 뜨는 오류는 사라졌으나, 여전히 후자의 오류는 있고, en:Template:Infobox mountain/testcases처럼 여러개의 좌표는 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상단 오른쪽 부분)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5:38 (KST)
여러 개의 좌표가 표시되지 않게 한 것은 "의도"된 것이며, Vector 2022 스킨을 기본값으로 일찍이 수용한 복수의 위키백과에서도 그대로 해당됩니다. 한국어 위키백과는 일찍이 Vector 2022 스킨을 도입하면서 phab:T281974의 의견을 준수하여 도입하였고, 영어 위키백과는 Vector 2022 스킨을 뒤늦게 기본값으로 도입하였으나 해당 의견은 미수용 상태입니다. 초반에는 영어 위키백과처럼 모듈 수정 없이 진행한 적이 있으나 개발팀에서는 기존 좌표 id가 아닌 mw-indicator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을 적극 권장한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사용자토론:Ykhwong/보관_문서/25#Request for translation) 영어 위키백과 쪽이 정상이고 한국어 위키백과 쪽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신 구체적인 이유가 있으신지요? '한국어판에서만 오작동중입니다.'라는 것이 어떠한 방식에 의해서 이루어진 분석인가요? --ted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7:08 (KST)
처음에는 "문서당 기본 태그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없습니다" 오류가 떴으니 그렇게 판단한것입니다. 그리고 여전히 parameter value is malformed 오류는 그대로 있구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8:37 (KST)
"문서당 기본 태그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없습니다" 이것은 실제로 영어 위키백과에서도 뜨는 메시지입니다. 상단 좌표에 여러 개가 오는 게 말이 안 되기 때문에 저 경고가 나타납니다. '/testcase'에서만 그런 메시지가 안 나타나도록 막혀있는 것이고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testcase'가 아닌 '/시험장'이기 때문에 인식이 안 되었던 것이었습니다.(갑자기 고쳐진 게 아니라 '시험장'을 인식하도록 제가 고쳐놓았습니다) 언어판을 가리지 않고 어디서든 나타날 수 있는 메시지이기에 말씀하신 사항이 한국어판에서'만'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하신 것에는 적절한 것은 아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parameter value is malformed" 메시지는 IP 사용자님께서 도입하신 틀:Native name checker모듈:Native name에서 비롯되고 있는데 해당 기능을 도입하신 IP 사용자님이 확인을 해주시는 편이 좋을 듯 합니다. 저는 지금 당장은 해당 문제의 원인은 모르나 확인이 된다면 알려드리겠습니다. --ted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20:04 (KST)
ykhwong님이 틀:Native name을 수정하셔서 그런지 지금은 해당 오류가 보이지 않네요. 일단 감사드립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20:30 (KST)

요즘 왜 사관 처리가 늦어지나요?[편집]

땅파기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8:31 (KST)

물론 재촉해서는 안되는걸 알고 있습니다만, 사관뿐만 아니라 백:이동 요청라던지 관리자분들께서 많이 처리가 늦는다는 점에서는 동의하네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8:52 (KST)

틀:나라 정보를 확대 개편하기 위해 en:Template:Infobox country를 가져와 틀:나라 정보/연습장에 소스를 넣고 시험장에서 테스트중인데, en:Template:Infobox country/testcases과 달리 틀:나라 정보/시험장에서 국기 부분과 국장부분이 출력이 안나오고있습니다. (정렬이 다른건 틀:나라 정보/styles.css이 영어판과 달라서 그런데, 영어판으로 맞추면 틀:옛 나라 정보에서 무슨 오류가 난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보니까 저 부분은 {{infobox country/imagetable}}을 쓰는 부분인데 소스는 같거든요(한국어판쪽은 영어/한국어 변수명 동시에 쓸수 있다는 점만 다릅니다) 왜이런 문제가 벌어지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8:50 (KST)

틀:나라 정보/styles.css의 기존 내용은 그대로 유지하되, 바로 뒤에다가 영어 위키백과의 스타일 내용을 복사하셔서 시험해보시기 바랍니다. 틀:나라 정보틀:옛 나라 정보가 ib-country 관련 클래스를 쓰는 경우가 없어서 스타일이 상호 충돌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ted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20:57 (KST)
기존걸 지우지 말고(즉, 덮어씌우기) 기존있는거에다가 추가하라는 말씀이신거죠? 근데 예전에 제가 덮어씌웠을때도, 국기 부분과 국장부분이 출력이 안나오는 문제는 여전했던지라...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21:00 (KST)
스타일을 영어판으로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여 말씀을 드린 것이지, 문제 해결을 위해 답변을 드린 것은 아닙니다. 해당 미출력 문제는 스타일이 올바르게 설정된 이후 해결을 시도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ted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21:04 (KST)
스타일 적용후도, 해결을 시도를 하는 중인데 아직도 왜인지 모르겠네요. 참 어렵군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00:42 (KST)
아직도 해결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도대체 같은 소스인데 왜그럴까요--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일 (수) 23:07 (KST)

문서 내 이미지 파일 관련[편집]

제가 며칠 전에 위키미디어 공용에 파일:새천년준비위원회 로고.svg를 수정했는데 어째서인지 한국어 위키백과의 대한민국 새천년준비위원회 문서에서는 해당 파일의 최신 버전이 아닌 예전 버전이 나옵니다. 무엇이 문제인가요?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18:54 (KST)

캐시 문제로 생각됩니다. 캐시를 purge해도 되지만, 시험삼아 250px → 245px로 줄여봤는데 새로운 이미지로 갱신하는 것으로 비쳐집니다. --ted (토론) 2023년 1월 28일 (토) 20:36 (KST)

초보입니다. 오늘 글 처음올렸는데 질문있습니다.[편집]

직송 기업에 대한 정보를 올렸는데 분류가 "초안 문서"가 되어있습니다. 이건 무슨 뜻인가요? 초보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B4%88%EC%95%88:%EC%A7%81%EC%86%A1 Zicsong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02:23 (KST)

해당 문서가 초안 '공간'으로 옮겨졌고 문서 상단에 {{초안 문서}}가 부착되었으므로, 분류가 '초안 문서'로 바뀐 것 입니다. 초안에 대해서는 위키백과:초안을 참고해 주세요. --Oliverius (συζήτηση) 2023년 1월 29일 (일) 12:42 (KST)

삭제 신청 관련[편집]

현재까지 분류:삭제 신청 분류에서 삭제 신청이 들어온 문서가 100개가 넘는데도 관리자가 처리하지 않은 경우가 남아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18:47 (KST)

관리자분에게 부담스러울진 모르겠지만, 관리자분 한분께 물어보는것도 좋겠습니다. 아무리 자율적으로 활동하시는 것이라지만, 백:이동 요청이라던지 백:사용자 관리 요청도 부쩍 처리가 늦어져서 악질 사용자를 놓치는 경우가 너무 많아졌습니다. 한번 물어볼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물론 보채지 말라는 지침도 어디서 본 것 같긴하지만, 이건 좀 너무 하다 싶더군요. 백:이동 요청은 제가 신청한지 1주일이 넘은것도 처리가 안되고 있고, 백:사용자 관리 요청도 처리가 꽤 늦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19:29 (KST)
안타깝지만 관리자들도 본인의 일이 있고 그 와중에 본인의 시간을 쪼개서 봉사를 하는 것 이기에 관리자에게 이야기를 한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20:12 (KST)
상진화 저 분도 답답하셔서 이런글 쓴 게 아닐까요? 제가 미리 서두에 아무리 자율적으로 활동하시는 것이라지만,라고 말을 하였고, 저도 요즘 들어서 이건 너무 지나칠 정도로 한국어 위키백과가 관리 처리가 늦어지는 점을 느꼈으니까요. 쓰레기를 봉사로 치우는 사람도 있겠지만, 위키백과가 운영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 조차 관리가 안되는데 이걸 어떻게 말이 안나올수가 있을까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20:20 (KST)

여러가지 문서의 적절한 역어를 찾습니다.[편집]

  • en:Ultra-prominent peak - 이것은 일어판에서는 "울트라 프로미넌트봉"이라고 번역했더군요. prominent를 고유어로 봐야할지?
  • en:Topographic prominence - 이것은 한국어판 문서가 있더군요. 이 문서는 돌출높이라고 번역을 했는데, "Topographic isolation" 문서는 "지형고립도"라고 번역했더라구요. (사실 이것도 "지형 고립"이 맞는것 같습니다만) 일어판에서는 "Topographic prominence"에서 "prominence" 단어를 고유어 처리하면서 제목을 "프로미넌스 (지리학)"이라고 했는데, 이걸 참고하면 "지형 프로미넌스" 정도 되려나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1월 29일 (일) 19:46 (KST)
  • 마땅한 번역어가 없어 보이는데 초돌출봉 아니면 극돌출봉 따위로 번역하면 어떨까 싶네요.
  • 김규한; 한하나 (2013). “회절 및 수심효과를 개선한 만내설계파 모델의 적용성 검토”.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5 (6): 349-356. 에서는 Topographic isolation을 지형 차폐 정도로 번역하였습니다. 그러나 지형차폐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지형 고립을 그대로 쓰는 것이 좋아 보이네요. Topographic prominence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상대높이라는 표제어로 실려 있습니다(영어 위키백과에서도 다른 이름으로 relative height라고 부른다고 되어 있네요). 아무래도 돌출높이는 위키백과에서 임의로 번역한 표현 같고 상대높이가 올바른 표현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영어 표현을 그대로 읽는 것보다는 임의로 번역하는 것이 더 옳은 것 같습니다.--Namoroka (토론) 2023년 2월 1일 (수) 17:0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