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알라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인알라미
궁수자리. 궁수자리 누(ν→ν¹+ν²)는 황도(하늘색 선) 위에 있다.
궁수자리. 궁수자리 누(ν→ν¹+ν²)는 황도(하늘색 선) 위에 있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궁수자리 누¹(ν¹Sgr, Nu¹ Sgr)
플램스티드 명명법 궁수자리 32(32 Sgr)
밝은 별 목록 HR 7116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74974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87426
소천성표 BD −22° 4907
히파르코스 목록 HIP 92761
다른 이름 WDS J18542-2245.[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궁수자리
적경(α) 18h 54m 10.17695s[2]
적위(δ) −22° 44′ 41.4247″[2]
겉보기등급(m) +4.86[3]
절대등급(M) −3.91[4]
위치천문학
적경 고유운동 +2.59 mas/yr[2]
적위 고유운동 −8.41 mas/yr[2]
연주시차 2.90 ± 0.30 mas[2]
성질
분광형 G2/K1 Ib/II + B9.2p[5]
U-B 색지수 +1.34[3]
B-V 색지수 +1.43[3]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아인알라미(Ainalrami) 또는 궁수자리 누¹(Nu¹ Sgr, ν¹ Sgr)은 지구로부터 궁수자리 방향으로 약 1100 광년 떨어져 있는 다중성계이다.[6] 이 계의 구성원 셋은 각각 궁수자리 누¹ A(계의 명칭 아인알라미가 공식적으로 부여된 천체)[7], B, C[8]이다. 이들 중 A와 B는 각자가 다시 분광쌍성이다.[6]

명명법[편집]

궁수자리 누¹은 이 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시한 이름이다.

궁수자리 누¹과 누²(둘을 합쳐 '궁수자리 누' ν Sgr로 표기)는 전통적 명칭 '아인 알 라미'로 불려 왔는데 이 명칭은 아랍어 عين الرامي (아인 알-라미, '궁수')에서 왔다.[9]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정리하고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결성했다.[10] WGSN의 명칭부여 규칙에 따르면 고유명칭은 전체가 아니라 계를 구성하는 하나하나의 별에 붙이게 되어 있다.[11] 이 규칙에 따라 IAU는 2017년 9월 5일 고유명칭 아인알라미(Ainalrami)를 궁수자리 누¹ A에 부여했으며 현재 이 명칭은 IAU 인증 항성명칭목록에 포함되어 있다.[7]

궁수자리 누¹과 누²는 궁수자리 타우, 궁수자리 프시, 궁수자리 오메가, 궁수자리 60, 궁수자리 제타와 함께 '알 우드히'(Al Udḥiyy, '타조들의 둥지')를 구성한다.[9]

속성[편집]

궁수자리 누¹은 분광형 K1의 밝은 거성으로 겉보기등급은 +4.86이다. 누¹은 극소변광성(microvariable)으로 2.3043일을 1주기로 0.0078 등급만큼의 밝기 진폭을 보인다.[12] 1982년 주성보다 더 뜨거운 반성 궁수자리 누¹ B가 발견되었으며 B의 분광형은 B9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13] A와 B는 약 370 일을 1주기로 질량 중심을 공전하고 있다.[6] 겉보기 등급 +11.2의 반성 궁수자리 누¹ C는[8] A-B로부터 2.5 초각만큼 떨어져 A-B를 공전하고 있다.[6]

각주[편집]

  1. “nu01 Sg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7년 7월 6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Lutz, T. E.; Lutz, J. H. (June 1977), “Spectral classification and UBV photometry of bright visual double stars”, 《Astronomical Journal》 82: 431–434, Bibcode:1977AJ.....82..431L, doi:10.1086/112066. 
  4. Cardini, D. (January 2005), “Mg II chromospheric radiative loss rates in cool active and quiet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0: 303–311, arXiv:astro-ph/0409683, Bibcode:2005A&A...430..303C, doi:10.1051/0004-6361:20041440. 
  5. Parsons, Sidney B.; Ake, Thomas B. (1998), “Ultraviolet and Optical Studies of Binaries with Luminous Cool Primaries and Hot Companions. V. The Entire IUE Sample”,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119: 83, Bibcode:1998ApJS..119...83P, doi:10.1086/313152. 
  6.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7.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8.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2011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일에 확인함. 
  9.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355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10.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1.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PDF). 5쪽.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12. Koen, Chris; Eyer, Laurent (2002), “New periodic variables from the Hipparcos epoch photometr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31: 45, arXiv:astro-ph/0112194, Bibcode:2002MNRAS.331...45K, doi:10.1046/j.1365-8711.2002.05150.x. 
  13. Kondo, Y.; 외. (August 1982), “The early-type component in ν¹ Sagittarii”,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94: 647–649, Bibcode:1982PASP...94..647K, doi:10.1086/131037. 

좌표: 하늘 지도 18h 54m 10.17695s, −22° 44′ 41.4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