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자리 이오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쌍둥이자리 이오타
명칭
다른 이름 ι Ori, 60 Geminorum, BD+28° 1385, FK5 282, HD 58207, HIP 36046, HR 2821, SAO 79374.[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쌍둥이자리
적경(α) 07h 25m 43.59532s[2]
적위(δ) +27° 47′ 53.0929″[2]
겉보기등급(m) 3.791[3]
절대등급(M) +0.859[4]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27.10 ± 0.2 밀리초각[2]
성질
광도 48 L
나이 4.16±2.54 억년[4]
분광형 G9 III[5]
추가 사항
질량 1.89 태양질량[6]
표면온도 4,753±15 K
중원소 함량 (Fe/H) −0.17±0.07
표면 중력 (log g) 2.8±0.05
자전 속도 7.26±0.16[7]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쌍둥이자리 이오타(ι Geminorum, ι Gem)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4등급 항성이다. 하늘에서는 카스토르, 폴룩스와 이등변 삼각형을 이루며, 5등성인 쌍둥이자리 64, 65로부터 1도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다.[8][9]

명명법[편집]

五諸侯(Wu Zhū Hóu)는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정수에 속해있다. 따라서 ι 쌍둥이자리 자체를 五諸侯三 라고도 한다. ( Wu Zhū Hóu sān, 영어: the Third Star of Five Feudal Kings). 라틴어로 앞발을 의미하는 고유명인 Propus라고 불렸기도 하지만, 다른 항성에 이 이름이 부여됐다.[10][11][12]

속성[편집]

쌍둥이자리 이오타는 27.1의 연주시차로 측정되어, 태양으로부터 약 120.4광년 떨어져 있다. 또한, G9III의 거성임이 확인되었다. 이 별은 태양의 1.89배 질량을 갖고 있지만 반지름은, 태양 반경의 10배로 확인됐다. 유효 온도 4753K로 태양의 48배 밝기로 외기에서 빛이 난다.[2][13][13][4][6][7][7]

참고 문헌[편집]

  1. “iot Gem”.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6년 12월 4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3. Jennens, P. A.; Helfer, H. L. (September 1975), “A new photometric metal abundance and luminosity calibration for field G and K 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172 (3): 667–679, Bibcode:1975MNRAS.172..667J, doi:10.1093/mnras/172.3.667. 
  4. Soubiran, C.; 외. (March 2008), “Vertical distribution of Galactic disk stars. IV. AMR and AVR from clump gia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80 (1): 91–101, arXiv:0712.1370, Bibcode:2008A&A...480...91S, doi:10.1051/0004-6361:20078788, S2CID 16602121. 
  5. Morgan, W. W.; Keenan, P. C. (1973), “Spectral Classification”,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11: 29, Bibcode:1973ARA&A..11...29M, doi:10.1146/annurev.aa.11.090173.000333. 
  6. Luck, R. Earle (September 2015), “Abundances in the Local Region. I. G and K Giants”, 《The Astronomical Journal》 150 (3): 23, arXiv:1507.01466, Bibcode:2015AJ....150...88L, doi:10.1088/0004-6256/150/3/88, S2CID 118505114, 88. 
  7. Massarotti, Alessandro; 외. (January 2008), “Rotational and radial velocities for a sample of 761 HIPPARCOS giants and the role of binarity”,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1): 209–231, Bibcode:2008AJ....135..209M, doi:10.1088/0004-6256/135/1/209. 
  8. Eggleton, P. P.; Tokovinin, A. A.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S2CID 14878976. 
  9. O'Meara, Steve (2007), 《Herschel 400 Observing Gu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6쪽, ISBN 978-0521858939. 
  10. 陳久金 (2005). 《中國星座神話》 [Chinese horoscope mythology] (중국어). 五南圖書出版股份有限公司. ISBN 978-986-7332-25-7. 
  11.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Bright Star Sino-British comparison table] (중국어). 香港太空館. 2011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8일에 확인함. 
  12. “Naming stars”. IAU. 2018년 11월 29일에 확인함. 
  13. Puzeras, E.; 외. (October 2010), “High-resolution spectroscopic study of red clump stars in the Galaxy: iron-group eleme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8 (2): 1225–1232, arXiv:1006.3857, Bibcode:2010MNRAS.408.1225P, doi:10.1111/j.1365-2966.2010.17195.x, S2CID 44228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