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WaffenSS/번역실/오키나와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키나와 전투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

톰슨 기관단총으로 일본군 저격수를 제압하는 1 해병사단 소속 해병
날짜1945년 4월 1일 ~ 1945년 6월 21일
장소
결과 미국의 승리
교전국
미국의 기 미국 일본의 기 일본
지휘관
사이몬 볼리바르 부크너 주니어
조셉 스틸웰
우시지마 미쓰루
병력
정규군 548,000명 정규군 107,000명
민병 24,000여명
피해 규모
1전사 또는 실종 - 2,500명
부상 - 38,000명
비전투 부상 - 33,096명
격침 함선 - 38척
항공기 손실 - 763대
1전사 - 10,000명
포로 - 7,455명
격침 함선 - 16척
항공기 손실 - 7,800대

틀:Campaignbox Ryukyus 틀:Campaignbox Pacific Ocean

The Battle of Okinawa, fought on the island of Okinawa in the Ryukyu Islands (south of the four big islands of Japan), 26 30' 00N 127 56' 00E,was the largest amphibious assault during the Pacific campaign of World War II[1] It was also the largest sea-land-air battle in history, running from late March through June 1945. After the battle, the U.S. occupied Okinawa, and set up the Government of the Ryukyu Islands.

Neither side expected it to be the last major battle of the war, which it was. The Americans were planning Operation Downfall, the invasion of the main islands of Japan, which never happened, due to the Japanese surrender after the American use of the two atomic bombs in August 1945 (first in Hiroshima on August 6, 1945, and a second time in Nagasaki on August 9, 1945) and the Soviet Union declaring war on Japan.

The battle has been referred to as "Typhoon of Steel" in English, and "tetsu no ame," "tetsu no bōfū" by Okinawans, which mean "rain of steel" and "violent wind of steel" respectively, referring to the intensity of gunfire that characterized this battle and sheer number of American boats and tanks that landed on the island.

At some battles, such as Iwo Jima, there had been no civilians, but Okinawa had a large indigenous civilian population, and the civilian losses in the battle were at least 150,000. American losses were over 72,000 casualties, of whom 12,500 were killed or missing, over twice the number killed at Iwo Jima and Guadalcanal combined. Several thousand soldiers who died indirectly (from wounds and other causes), at a later date, are not included. About a third of the civilian population of the island were killed in the Spring of 1945. There were about 100,000 Japanese soldiers killed and 7,000 captured. Some of the soldiers committed seppuku or simply blew themselves up with grenades. Some of the civilians, having been convinced by Japanese propaganda that the Americans were barbarians who committed horrible atrocities, killed their families and themselves to avoid capture.

지휘관들[편집]

The American land campaign was controlled by the Tenth Army, commanded by Lieutenant General Simon Bolivar Buckner, Jr. The army had two corps under its command, III Amphibious Corps, consisting of 1st and 6th Marine Divisions, with 2nd Marine Division as an afloat reserve, and XXIV Corps, consisting of the 7th, 27th, 77th and 96th Infantry Divisions. At the very end of the campaign, Buckner was killed by ricocheting shell fragments, becoming the most senior US casualty in the entire war.

Brigadier General Pedro del Valle was the commander of the 1st Marine Division which participated in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which led to victory in Okinawa, the capture of the Shuri Castle.

The Japanese land campaign (mainly defensive) was conducted by the 100,000 strong 32nd Army. It initially consisted of the 9th, 24th, and 62d Divisions, and the 44th Independent Brigade. The 9th Division was moved to Formosa prior to the invasion, resulting in shuffling of Japanese Defensive plans. Primary resistance was led in the south by General Mitsuru Ushijima, his second in command Gen. Cho and Major Hiromichi Yahara his chief of staff. Yahara advocated a defensive strategy, whilst Cho advocated an offensive one. Cho's urgings led to a disastrous land and sea attack that led to the near massacre of the attacking Japanese troops by the superior firepower of the US Soldiers and Marines. From then on Ushijima adopted the more successful tactics advocated by Maj. Yahara. Ushijima and Cho committed suicide in their command headquarters on Hill 89 in the closing hours of the battle. Major Yahara was the senior most officer to surrender on the island, and authored the book, The Battle for Okinawa. In the less-talked-about north of Okinawa, General Takehido Udo commanded.

A Corsair fighter fires rocket projectiles on a run against a Japanese stronghold on Okinawa

1945년 4월 1일 이전[편집]

United States submarines had, by late 1944, wreaked havoc upon Japanese shipping. The troop ship Toyama Maru was sunk, on its way to Okinawa, by the USS Sturgeon (SS-187). This caused a loss of about 5,600 men. Since this sinking occurred nine months before the land campaign, these Japanese deaths are usually not figured in accounts of the battle losses. The Sturgeon escaped, despite being pummeled by depth charges.

Additionally, before the battle, the evacuation ship Tsushima Maru was sunk by the USS Bowfin (SS-287) and 1,484 women and children died.

On October 10, 1944, Okinawa gained a dubious shorthand for disaster — the numerals 10-10. Waves of bombers pummeled the nearly-defenseless island, causing untold wreckage on land; over 80% of Naha was destroyed, and more than 65 boats were sunk. Japanese anti-aircraft technology was not up to combating the nimble American planes.

일본의 방어 준비[편집]

Realizing that he could never defend the entire island, Ushijima centered his defense around the historical capital, Shuri Castle, and the steep ridges on which it was built. This provided the Japanese with a heavy defense line that could be flanked only from the sea. For the first time in the Pacific War, the Japanese not only had ample time to dig elaborate fortifications, much as they had on Iwo Jima, they also had large numbers of tanks and artillery pieces. This relative abundance of materiel, matched with thousands of troops and the knowledge of three years fighting the Americans, ensured that the Okinawa defenses would be the hardest that the US faced during the war. Ushijima knew the Americans could not be stopped, but he wanted to make them pay for every yard of advance.

상륙[편집]

상륙 작전은 1945년 4월 1일 시작되어, 82일간 계속되었다.

북쪽[편집]

The Americans swept across the thin part of the south-central part of the island, with relative ease by World War II standards, soon taking the lightly-held north, though there was fierce fighting at Yae-dake Mountain, and took the Kadena Air Base and the Yomitan Air Basesas of 2005, Kadena remains the largest American air base in Asia, and its runways can handle big planes. The entire north fell on April 20.

Few Americans encountered the feared Habu snake, soon discarding their cumbersome leggings. Far worse awaited them in the south, the north was only a "warm-up" for what was to come in the south.

남쪽[편집]

Fighting in the south was hardest: the Japanese soldiers hid in caves armed with hidden machine guns and explosives; American forces often lost many men before clearing the Japanese out from each cave or other hiding place. The American advance was inexorable but resulted in massive casualties sustained by both sides.

On May 29, 1945, after five weeks of fighting Brigadier General Pedro del Valle ordered Company A of the 1st Battalion 5th Marines to capture the Shuri Castle, a medieval fortress of the ancient Ryukyuan kings. Seizure of the Shuri Castle represented a moral blow for the Japanese and was an undeniable milestone in the Okinawa campaign. The island fell on about June 21, though some Japanese continued fighting, including the future governor of Okinawa prefecture, Masahide Ota.

전투 피로증[편집]

U.S. forces suffered their highest ever casualty rate for combat stress reaction during the entire battle, at 48% above other casualties compared to 30% in the Korean War.

인용 및 사례[편집]

  • "7,613 were killed and missing in action, and the remaining sixty-four-odd thousand were almost equally divided between those wounded seriously enough to be out of action more than a week and non-battle casualties, chiefly victims of battle fatigue." (Feifer)
  • "Ninety percent of the buildings on the island were completely destroyed, and the lush tropical landscape was turned into a vast field of mud, lead, decay and maggots." [1]
  • "By the end of May monsoon rains which turned contested slopes and roads into a morass exacerbated both the tactical and medical situations. The ground advance began to resemble a World War I battlefield as troops became mired in mud and flooded roads greatly inhibited evacuation of wounded to the rear. Troops lived on a field sodden by rain, part garbage dump and part graveyard. Unburied Japanese bodies decayed, sank in the mud, and became part of a noxious stew. Anyone sliding down the greasy slopes could easily find their pockets full of maggots at the end of the journey." [2]
  • "While on Okinawa, the marines and soldiers were going through their crucible of hell brought on by rain, heat, poison snakes, mosquitoes...the stench of human feces and rotting human flesh filled with maggots...." [3]

연합군의 합류[편집]

Although the land battle was entirely a US campaign, Allied naval ships added to the air bombardment principally supplied by the U.S. Navy. Task Force 57, a carrier group with British, Australian and New Zealand ships and personnel provided about 20% of the available naval air power.

Task Force 57 was assigned the task of neutralising the Japanese airfields in the Sakishima Gunto, which it did from 26 March until 10 April. On 10 April, its attentions were transferred to airfields on northern Taiwan. The force withdrew to San Pedro Bay on 23 April. Although by then a commonplace event for the U.S. Navy, this was the longest time that a Royal Naval force of that size had been maintained at sea.

From 4 May 1945, Task Force 57 returned to action, subduing the airfields as before, this time with naval bombardment as well as aircraft. A number of Kami-kaze suicide attacks caused significant damage but only a brief interruption to the force's work. They finally withdrew to Guam and Manus Island on 25 May.

전투 종결 이후[편집]

The most famous American casualty was the war correspondent Ernie Pyle, who was killed by Japanese sniper fire on Ie Shima, just off the northwest coast of Okinawa. [2]

U.S. General Simon Bolivar Buckner, Jr. was killed by a Japanese ricocheting artillery shell while inspecting his troops at the front line, just 4 days before the end of the battle. He was the highest-ranking American to die during the war. His death, so near the end of the battle and the war, was ironic, for it was Buckner's decision to attack the Japanese defenses head-on, which proved to be extremely costly in American lives although the attack was ultimately successful. It was also his failure to detect the Japanese retreat to their second line of defense that led to the greatest slaughter on Okinawa in the latter stages of the battle, including the deaths of uncounted thousands of civilians.

General del Valle was awarded a Distinguished Service Medal for his leadership in the fight to take Okinawa and the subsequent occupation and reorganization of Okinawa.

Many military historians believe that Okinawa led directly to American use of the atomic bomb, on Hiroshima and Nagasaki. A prominent holder of this view is Victor Davis Hanson, who states it explicitly in his book Ripples of Battle. The theory goes: because the Japanese on Okinawa, including native Okinawans, were so fierce in their defense (even when cut off, and without supplies), and because casualties were so appalling, many American strategists looked for an alternative means to subdue mainland Japan, other than a direct invasion. This means presented itself, with the advent of atomic bombs, which worked admirably in convincing the Japanese to sue for peace, without American casualties. Ironically, the American conventional fire-bombing of major Japanese cities (which had been going on for months before Okinawa) was far more effective at killing civilians than the atomic bombs and, had the Americans simply continued, or expanded this, the Japanese would likely have surrendered anyway. Nevertheless, the bombs were a powerful symbolic display of American power, and the Japanese capitulated, obviating the need for an invasion of the home islands.

In 1945, Winston Churchill called the battle "among the most intense and famous in military history."

참고 문헌[편집]

  1. .
    26 30' 00N 127 56' 00E에 위치한 류큐 제도오키나와 섬에서 미국일본의 전투인 오키나와 전투제2차 세계 대전태평양 전쟁때에 가장 큰 amphibious assault이었다.
    The planning for the amphibious assault and ensuing battle was codenamed Operation Iceberg by the Allies.
  2. Reid, Chip."Ernie Pyle, trail-blazing war correspondent — Brought home the tragedy of D-Day and the rest of WWII", NBC News, June 7, 2004. (URL accessed April 26, 2006)
  • Feifer, George (1992), Tennozan: The Battle of Okinawa and the Atomic Bomb ISBN 0-395-70066-3
  • Keegan, John, The Second World War ISBN 0-7126-7384-2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 Battle of Okinawa, GlobalSecurity.org. Retrieved January 8, 2006.

더 읽어보기[편집]

한국어 웹사이트에서 찾은 추가 자료[편집]

http://www.hani.co.kr/section-009000000/2005/04/009000000200504191704019.html

오키나와 전쟁

주민·어린 병사등 ‘전쟁 희생자’ 명확히자살 특공대 등 과정·배경 2쪽 걸쳐 상술

한·중 교과서 언급없어 ‘잊혀진 역사’ 일본 후소샤판 ‘영웅적 전투’ 로 왜곡

오키나와 전투는 아시아·태평양 전쟁 중 미군과 일본군 사이에 벌어진 최대 규모의 전투였다. 그러나 동아시아 세 나라의 역사 교과서에서 오키나와전은 ‘잊혀진 전쟁’이나 다름없다. 자국사 중심의 서술을 택한 한국·중국의 역사교과서에 오키나와전은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 한국의 경우, 선택과목인 <세계사> 교과서에서도 오키나와전을 소개하는 서술이 없다.

반면 일본 후소사판 역사교과서는 비장한 어조로 이를 자세히 소개한다. “일본군은 전함 야마토호를 출전시켜 최후의 해상특공대를 출격시켰지만, (미군의) 맹공을 받아 오키나와에 도달하지 못하고 격침됐다. 오키나와에서는 혈근황대의 소년과 히메유리 부대의 소녀들마저 용감히 싸워… 10만명에 가까운 병사가 전사했다.” 23살때 오키나와에서 전사한 특공대원의 유서도 따로 소개한다. 여기서 오키나와전은 ‘군국주의’에 대한 향수를 부추기는 영웅적 역사다.

반면 도쿄서적판 역사교과서는 “미군은 오키나와에 상륙해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오키나와인들은 아이·학생을 포함해 많은 희생자를 냈다”는 본문 서술과 “이 전쟁에서 현민 희생자는 당시 현 인구의 4분의1에 해당하는 12만명 이상으로 추정된다”는 관련 사진 설명문이 전부다. 이 교과서만 보자면, 오키나와전 ‘희생자’의 실체는 전혀 짐작할 수 없게 돼 있다.

그 진실은 한중일 공동교과서 <미래를 여는 역사>에 있다. 2쪽에 걸쳐 오키나와전의 전개와 배경을 상세히 적었다. “사람이 폭탄을 안고 돌격한 특공대가 가장 많이 투입된 전투”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오키나와 현 자료를 인용해, 미군 1만2500명, 일본군 9만4000명, 주민 9만4000명이 전투 중 사망했고, 이후 말라리아 지대에 강제 이주돼 사망한 사람도 수만명에 이른다고 적었다.

“주민 사망자 중에는 전투에 휘말려 죽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일본군에 의해 집단자결로 내몰려 죽은 경우와 스파이 혐의로 살해된 경우, 피난했던 참호에서 군대가 쫓아내 죽은 경우가 다수 포함됐다”고 밝혔다.

90년대 들어 오키나와에 세워진 ‘평화의 주춧돌’에는 가해자·피해자를 가리지 않고 23만9209명의 전사자 이름이 새겨져 있고, 이 가운데는 한국인 341명, 대만인 28명 등의 이름도 있다고 소개했다. “한반도에서 무려 1만명이 (오키나와로) 끌려와 진지구축과 탄약운반에 동원됐고, 100개가 넘는 오키나와의 군 ‘위안소’에 조선 여성 다수가 일본군 위안부로 수용됐다”고 적었다.

<미래를 여는 역사>는 이런 서술을 통해 오키나와전의 ‘희생자’가 누구인지를 분명히 했다. 변방의 주민으로 지내다 ‘총알받이’로 내몰린 오키나와 주민,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끌려온 한국인·대만인 등의 식민지 주민, 그리고 군국주의에 세뇌당해 스스로를 ‘소모전’에 바친 어린 병사들이 이 전쟁의 희생자다. <미래를 여는 역사>는 “이런 쓰라린 경험을 통해 평화에 대한 강한 염원이 오키나와 사람들의 마음 속에 새겨지게 됐다”고 적었다. 오키나와전을 세 나라 학생들에게 동시에 가르치는 이유다. ‘평화에 대한 강한 염원’은 이제 오키나와를 넘어 동아시아 전체로 확산돼야 마땅하다는 게, 공동교과서 집필진들의 믿음이다.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미-일 최대규모 격전 3달 새 20여만 명 숨져

본토진격 늦추려 일 ‘결사항전’ 명령



△ 박중현 중경고 교사


오키나와는 한국의 제주도와 닮았다. 바다와 하늘 사이에 펼쳐진 푸르름 속에서, 감춰진 아픔을 안고 사는 두 섬의 역사가 닮았다. 아시아·태평양 전쟁 막바지에 치른 오키나와의 무고한 희생과 해방과 분단의 과정에서 치른 제주의 아픔이 그것이다. 민중의 뜻과는 상관없는 국가 권력에 의해 고통을 겪었고, 지금까지도 본토 대중들의 무관심과 외면 속에 응어리진 가슴을 제대로 풀어낼 기회조차 없었다는 점도 닮았다.

오키나와 전투는 1945년 3월부터 6월까지, 오키나와 주둔 군인 및 일반 주민 20여 만명의 사망자와 더많은 부상자를 낸 전투다. 당시 미국은 남북 120㎞에 불과한 오키나와 본도를 전함 1500여 척, 전투부대 18만명을 동원해 공격했다. 오키나와의 일본군은 현지 징집인원까지 합쳐 11만명이었다. 작은 섬에서 석달간이나 전투가 계속된 것은 일본 군부가 미군의 전력 약화와 본토 진격을 늦추기 위해 ‘결사항전’을 명령했기 때문이다.

미드웨이 해전부터 밀리기 시작한 일본군은 진주만 폭격 1년 뒤인 1942년 12월 파푸아뉴기니 섬의 옥쇄를 시작으로 본토에 이르는 각 섬들에서 옥쇄를 명령하였다. 일본군은 미군을 “피도 눈물도 없는 잔혹한 동물”로 묘사하며 “포로가 되면 여자들은 능욕당하고, 남자들은 사지가 찢겨 죽는다”고 선전하며 항복이 아닌 죽음을 강요했다. 요미탄의 치비치리 동굴에 있던 주민은 칼과 낫, 끈 등으로 가족과 주민끼리 서로 죽이며 ‘집단 자결’했다. 일본군은 미군에 협조하는 오키나와 사람을 찾아낸다는 구실로 ‘스파이 사냥’을 벌이며 주민을 살해하고, 서로를 불신과 감시의 대상으로 만들어 버렸다.

동굴에서 최후의 저항을 하는 동안 일본군은 주민의 식량을 뺏고, 동굴 입구에 일반 주민을 배치해 총알받이로 삼았다. 일본군은 현지 여학생들을 군에 입대시켜 히메유리부대라는 종군 간호부대로 삼았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미군의 가스탄 공격으로 동굴 안에서 몰살당했다. 전쟁이 끝난 뒤 2주일 동안 동굴에서 나온 피난민의 수는 무려 8만여 명에 달했으며, 그 가운데 절반은 부상자였다.

이 와중에 사망한 애꿎은 한국인 징병·징용 및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도 1만여 명(추정)에 달했다. 일본군은 조선인들이 이적행위를 할 수 있다며 따로 감금시키고, 이들을 집단 총살했다. 미군 상륙 뒤에는 한국인들에게 막대기를 주고 적진으로 뛰어들라는 명령을 하고 이를 어기는 경우 군도로 처형했다.

일제는 오키나와인들에게 천황제와 ‘집단자결’이라는 허구적 이데올로기로 죽음을 강요하거나 사지로 몰아 넣었다. 최근 일본 우익의 역사왜곡은 수많은 사람을 다시 전쟁의 문법에 꿰어 맞추기 위한 시도다. 동아시아인들이 이를 우려하는 것은 내가 사는 땅이 제2의 오키나와가 되고, 나 자신이 ‘집단자결'의 대상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래를 여는 역사>가 근현대사의 많은 전투 가운데 오키나와전에 각별한 관심을 갖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오키나와의 푸른 하늘에 은빛 전투기가 아닌 하얀 갈매기가 날고, 정열의 꽃 하이비스카스가 환하게 피는 날, 동아시아는 평화의 노래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박중현 중경고 교사


"군대는 주민을 보호하지 않는다”

오키나와 주민의 피맺힌 깨달음


과거 류쿠(琉球)로 불렸던 오키나와는 일본 남단 약 1000km에 걸쳐 있는 섬들로 이뤄진 곳이다. 오키나와는 원래 독립 왕국이었다. 15~16세기 대교역시대에는 명·조선·일본과 활발한 대외 무역활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류쿠는 1609년 사쓰마 번(오늘날 가고시마 현)의 무력 침공·합병으로 명과 사쓰마 번의 지배를 받는 양속(兩屬:양 쪽에 속함)관계를 갖게 됐다. 이후 류쿠왕국은 1872년 류쿠번으로 격하되고, 1879년 군대와 경찰을 동원한 일본정부에 의해 국왕이 폐위된 뒤, 오키나와현으로 개칭됐다. 1945년 패전이후에는 미군 점령 아래 있다가 1972년 일본으로 복귀했다.

미군은 오키나와 상륙 직후부터 요미탄과 가데나 기지를 점령해 이를 단기간에 확장·정비하고, 남부 전선의 군사 작전, 일본 본토 폭격, 군수물자의 수송 등을 위한 군사기지로 사용했다. 이는 오늘날도 계속돼 오키나와는 동아시아 주둔 미군의 후방 보급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맥아더가 오키나와를 ‘우리의 천연국경’이라 했듯이, 중국을 가상 적국으로 설정한 미국에게 오키나와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현재 오키나와 미군기지의 규모는 전체 현 면적의 10%를 넘고 있다. 미군기지의 편의성을 가장 중시하는 미국의 입장은 ‘오키나와에 미군기지가 있는 것이 아니라 미군기지 속에 오키나와가 있다’는 말로 축약된다.

그러나 미군에 기생하는 삶에서 벗어나 평화와 환경보전을 주장하는 오키나와인들의 목소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오키나와인들의 상당수는 한 평씩의 땅을 사들여, 자기 땅 위에 있는 미군 기지의 철수를 요구하는 투쟁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들은 미군 기지 옆에 망루를 설치해 매일 뜨고 내리는 항공기들을 감시하고 있다. 지난 1987년 전국 체육대회가 열리던 요미탄 경기장에서 식료품점을 운영하는 평범한 시민인 치바나 쇼이치가 전쟁의 표상인 히노마루(일장기)를 끌어내려 불태운 것은 오키나와인들의 저항을 상징하는 사건이다. 당시 체전 개막행사에 참가한 고교 악대는 기미가요(국가)의 연주를 거부했고, 한 여학생은 일장기를 하수구에 처박았다.

이런 투쟁의 배경에는 오키나와전을 통해 평화의 소중함을 체득한 오키나와 사람들의 믿음이 자리잡고 있다. ‘군대는 주민을 보호하지 않는다’는 이들의 깨달음은 미군기지의 철수가 전쟁 없는 오키나와를 이룰 수 있다는 신념으로 굳어졌다.

박중현



1945년 6월 21일 오키나와 - 함락되는 오키나와

1945년 4월 부터 시작되어 3개월간을 끌었던 태평양 전투 중 가장 치열했던 오키나와 전투가 막을 내렸습니다.

나미츠 제독은 오키나와 방어군이 오늘로서 30,000명이 희생되며 사실상 해체됐음을 선언하였습니다. 전쟁 기간동안 오키나와의 도민 90000명이 희생되고 전쟁 마지막 3일 동안은 무려 9000명의 일본군이 목숨을 잃을 정도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일본 본토를 방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던 오키나와가 이제 일본 본토를 공격하는 미공군의 B-29폭격기들의 기지로 사용될 운명에 놓였습니다. 미 공군은 왕복 4,800km 거리의 마리나스섬이 아닌 이 오끼나와에서 출격하게 되어 상당한 시간과 연료를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일본의 미래에는 어두운 구름이 드리워졌습니다. 7월 26일 영국, 미국, 소련의 정상들은 포츠담에서 모여 전쟁후 일본의 처리 방침과 의논하였고 일본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였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이를 묵살하였고 그로 인해 비참한 종말을 맞이하게 됩니다.

\

한국인 위령탑

오키나와 전투에서 사망한 한국인의 영령을 모시고 있다. 비석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다.

[1941년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자 한국의 청년들이 일본의 강제 징병으로 대륙과 남양 여러 전선에 배치될 적에 이곳에 징병 징용된 사람 1만 여명이 무수한 고초를 겪었던 것만이 아니라 혹은 전사도 하고 혹은 학살도 당하여 아깝게도 희생의 제물이 되고 말았다. 조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그들 원혼은 파도 드높은 이곳 하늘을 멀리 떠돌며 비되어 흩뿌리고 바람 되어 불 것이다. 우리는 외로운 영혼들을 위로하고자 여기 온 민족의 이름으로 탑을 세우고 정성을 모아 영령들께 삼가 원하오니 부디 명복을 받으시고 편안히 쉬소서]

한국어 뿐만 아니라 3개 국어로 번역되어 있다.

또한 기노완시의 가가즈공원내에는 전사한 당시의 한국인 병사 386명의 영령을 위로하기 위한 청구의 탑이 세워져 있다

아름다운 바다와 함께 신성한 분위기가 감도는 섬이다. 오키나와의 공예와 관광시설 등. 많은 관광명소가 자리잡고 있다. 전투사적지 국정공원은 영원한 평화의 소중함을 되새겨 주는 장소이다.


오키나와 평화기원당

전쟁의 비극을 두 번 다시 반복하지 않도록 평화에의 염원을 두고 건립하였다. 당내에는 야마다신잔(山田眞山)화백의 평생역작인 "평화기원상"이 안치되어있으며, 평화를 기원하는 오키나와의 상징으로 되어 있다. 세계 일류화가들의 그림도 전시되어 있으며 미술관, 평화의 종과 명상의 숲도 있어서 오키나와 관광지역으로 반드시 볼만한 장소이다.

문의안내 : 系滿市摩文仁448-2 098(977)3011(代) 
오픈시간 : 09:00 ~ 17:30 
요금안내 : 어른 520엔, 어린이 250엔 
교통안내 : 係滿市에서 米須線 平和記念堂入口하차 350엔 



히메유리 평화기원 자료관


히메유리 탑의 뒤에 있다. 오키나와 전쟁에서 자결한 여학생들의 진혼과 세계평화를 갈구하는 사람들의 염원을 받들어 세운 자료관이다.

문의안내 : 係滿市伊原671-1 098(977)2100

옛 일본해군사령부 지하요새

전쟁이 치열했던 오키나와지역의 일본해군 오키나와 방면 군관 사령부가 있었던 지하요새이다. 오타미노루(大田室)사령관 이외에 다수의 장병이 이곳에서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지하요새내부에는 사령관실 등 당시의 모습 그대로를 보존하고 있다.

문의전화 : 098(850)4055 
오픈시간 : 08:30 ~ 17:30, 무휴 
요금안내 : 어른 410엔, 어린이 200엔 

(디펜스코리아) 51.오끼나와 상륙작전(1)

오끼나와는 규슈 남부에서 대만 쪽으로 뻗어있는 류큐 열도의 주도로서 규슈에서 650km, 대만에서 610km, 그리고 상하이에서 830km 떨어진 태평양 상의 요충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섬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길게 뻗은 모양으로 전체 길이가 96km, 폭은 가장 넓은 곳이 26km 정도로 면적은 1,230 제곱킬로미터 정도입니다. 농업이 주요 산업인 오끼나와는 변변한 산업도 없고 일본에게는 그리 귀중한 섬은 아니었으나 만일 미군에게 이 섬이 넘어갈 경우 문제는 심각했습니다. 미군이 이곳에 B-29기지를 건설할 경우 10톤의 폭탄을 가득 싣고도 충분히 규슈를 폭격할 수 있었습니다. 도꾜에서 2,000km 이상 떨어진 마리애나 기지의 B-29들이 도꾜를 폭격할 때 초기에는 3톤의 폭탄밖에 싣지 못했고, 르메이 소장이 제21폭격사령부의 사령관으로 부임한 이후에 고고도에 올라가지 않고, 방어 기총을 다 제거하고, 승무원도 3명을 줄인 이후에야 폭탄적재량을 6톤으로 늘릴 수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같은 숫자의 B-29라도 오끼나와에 기지를 둔 B-29들은 그 위력이 훨씬 강화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었습니다. 또한 오끼나와는 대군을 수용할만한 충분한 공간이 있었기 때문에 규슈 상륙을 위한 진공군의 출발기지 역할을 할 수 있었습니다.

오끼나와의 이러한 전략적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던 일본은 1944년 4월 1일에 제32군을 오끼나와로 파견하여 방어준비를 시작했고, 그 해 8월에 우시지마 미쯔루 중장이 제32군 사령관이 되면서 방어준비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그리하여 1945년 3월 말까지 제32군 휘하의 제24사단과 제62사단, 제44독립혼성여단, 제27전차연대 등 총 67,000 여명의 육군이 오끼나와에 집결했습니다. 여기에 해군부대 9,000 명을 더하여 정규군의 숫자는 76,000 여명이었으며 이와는 별도로 오끼나와 주민들로 이루어진 방위대가 있었는데 이들의 병력은 약 20,000 명 정도였고, 그 외에도 4,000 명 정도의 섬 주민이 행정이나 보급 등 일본군의 지원업무를 맡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제32군의 총병력은 약 100,000 명을 헤아렸습니다.

제32군은 장비도 상당히 충실한 편에 속했는데 그 이유는 필리핀 방면으로의 해상교통이 두절됨에 따라서 많은 장비가 오끼나와에 돌려졌기 때문으로 그 덕분에 제32군은 태평양 전쟁에서 싸운 일본군 부대 중에서 가장 강력한 화력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제32군은 해군 소속의 해안포 53문 이외에도 150mm 야포 52문, 150mm 직사포 12문, 70mm 및 75mm 야포 170문 등 70mm 이상 구경의 포를 287문이나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320mm 대형 박격포 24문, 81mm 박격포 96문과 흔히 Knee-Mortar라고 불리던 50mm 유탄발사기 1,100 문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75mm 대공포 72문, 20mm 대공포 54문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제32군의 포병대는 장비만 충실했던 것이 아니라 장병들의 훈련도 면에서도 당시 일본군 중에서 최고 수준을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제32군은 대전차 무기로서 47mm 대전차포 52문, 37mm 대전차포 27문을 보유하고 있었고, 전차는 57mm 주포를 장착한 중형전차 14대와 경전차 13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여기에 더하여 333정의 중기관총과 1,208정의 경기관총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포탄이나 기관총탄 또한 충분한 양이 비축되어 있었습니다.

일본군의 오끼나와 방어작전을 천호 작전이라고 불렀는데, 이 작전을 실시함에 있어 우시지마 중장은 이오지마에서와 마찬가지로 해안방어를 포기하고 섬의 남쪽에 있는 오끼나와 제2의 도시인 슈리를 중심으로 수많은 토치카를 건설하고 강력한 포병화력을 집중시킨 견고한 방어선을 형성하여 이 슈리 방어선에서 최대한 시간을 끄는 지연전을 전개하기로 했습니다.

천호 작전에는 제32군이 주축이 된 오끼나와의 지상작전 이외에도 기꾸스이 작전이라고 부르는 육해군 공동의 가미까제 특공작전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규슈와 남서제도를 관장하는 제5항공함대 사령관인 우가끼 마또메 중장의 지휘 하에 실시될 이 작전은 일본 남부와 대만 등지에서 가미까제 특공기들이 출격하여 오끼나와 앞바다의 미군선단을 공격하려는 것으로 총 10회의 기꾸스이 작전이 계획되어 있었으며 작전 기간을 통하여 규슈와 시코쿠에서만 4,500 대의 가미까제 특공기를 출격시킬 예정이었습니다. 기꾸스이 작전의 개시일은 1945년 4월 1일로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일본군이 이렇듯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대기하고 있던 오끼나와를 점령하려는 미군의 전력 또한 태평양 전쟁 사상 최대의 병력이었습니다. 오끼나와 상륙작전(빙산작전)을 현장에서 총지휘하는 인물은 제5함대 사령관인 스프루언스 대장이었습니다. 그 밑에는 제58기동부대와 영국의 항공모함 기동부대인 제57기동부대, 그리고 통합원정군(제51기동부대, 켈리 터너 중장)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통합원정군에는 구형전함 중심의 포격부대(제54기동부대, 데요 소장)와 호위항공모함 중심의 상륙지원부대(제52기동부대, 블랜디 소장)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158척의 수송선과 184척의 LST 및 89척의 LSM이 상륙부대를 태우고 있었습니다. 상륙부대는 버크너 중장이 지휘하는 제10군이었는데 예하에는 육군제24군단(하지 소장)과 해병제3상륙군단(가이거 해병소장)이 있었습니다. 제24군단은 육군제7사단(아놀드 소장)과 제96사단(브래들리 소장)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해병제3상륙군단은 제1해병사단(벨 해병소장)과 제6해병사단(셰퍼드 해병소장)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제10군에는 이 밖에도 3개의 사단이 더 있었는데 오끼나와 상륙에 앞서 주변의 게라마 열도에 상륙할 임무를 가진 제77보병사단(브루스 소장)과 예비대인 제27사단(그리너 소장)과 제2해병사단(왓슨 해병소장)이었습니다. 이 중에서 2개의 예비사단을 제외한 5개 사단은 모두 전차대와 포병대 등이 증강된 사단으로 이 5개 사단의 병력만으로도 116,000 명에 달했습니다. 7개 사단과 각종 직할부대를 포함한 제10군의 총 병력은 183,000 여명이었으며 이들을 위한 보급품은 750,000 톤에 달했습니다.

통합원정군 중에서 포격부대는 구형전함 10척(텍사스, 메릴랜드, 아칸소, 콜로라도, 테네시, 네바다, 아이다호, 웨스트버지니아, 뉴멕시코, 뉴욕), 중순양함 8척(투스칼루사, 미니애폴리스, 샌프란시스코, 위치타, 펜사콜라, 포틀랜드, 인디애나폴리스, 솔트레이크시티), 경순양함 4척(모빌, 버밍햄, 센트루이스, 빌록시), 구축함 24척 및 호위구축함 8척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상륙지원부대는 호위항공모함 25척(시플리베이, 메이킨아일랜드, 팬쇼베이, 룽가포인트, 나토마베이, 사보아일랜드, 스티머베이, 안지오, 샴록베이, 마르쿠스아일랜드, 사지노베이, 사전트베이, 페트로프베이, 르디어드베이, 웨이크아일랜드, 툴라기, 마카사르스트레이트, 스와니, 체난고, 생가몬, 산티, 시트코베이, 브레톤, 홀랜디어, 화이트플레인즈), 구축함 16척 및 호위구축함 23척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호위항공모함 중에서 시트코베이와 브레톤은 해병제31비행단, 홀랜디어와 화이트플레인즈는 해병제33비행단의 항공기를 싣고 있어서 합계 콜세어 192대와 헬캣 30대를 운반하고 있었습니다.

제57기동부대는 버나드 롤링스 중장이 지휘하는 영국의 항공모함 기동부대로서 항공모함 4척(인도미터블, 빅토리어스, 인디퍼티거블, 일러스트리어스), 전함 2척(King George V, Howe), 경순양함 7척(Gambia, Uganda, Swiftsure, Black Prince, Euryalus, Argonaut, Quebec ), 구축함 15척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경순양함 중 우간다와 퀘벡은 캐나다 해군 소속이고, 갬비어는 뉴질랜드 해군 소속이었습니다. 오끼나와 작전 기간 동안 제57기동부대는 대만과 오끼나와 사이에 있는 사끼지마 제도와 대만의 비행장들을 공격하는 역할을 맡았는데 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대만에서 출격한 250 대의 가미까제 특공기들은 제57기동부대를 상대하느라고 오끼나와에는 거의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1945년 3월 14일, 제58기동부대는 오끼나와 상륙작전을 앞두고 일본의 항공전력을 꺾기 위한 임무를 띄고 울리시를 출항했습니다. 미처 제독이 지휘하는 제58기동부대는 정규항공모함 11척(호넷, 베닝턴, 와스프, 벙커힐, 에섹스, 핸콕, 엔터프라이즈, 인트레피드, 요크타운, 프랭클린), 경항공모함 6척(샌야신토, 벨로우드, 바탄, 캐봇, 랭글리, 인디펜던스), 고속전함 8척(노스캐롤라이나, 워싱턴, 사우스다코타, 인디애나, 메사추세츠, 뉴저지, 미주리, 위스컨신), 대형순양함 2척(알래스카, 괌), 중순양함 2척(볼티모어, 피츠버그), 경순양함 13척(빅스버그, 빈센스, 산후앙, 마이애미, 산타페, 아스토리아, 플린트, 샌디에고, 오클랜드, 파사데나, 윌크스베리, 스프링필드), 구축함 73척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3월 16일에 해상에서 최종 급유를 마친 제58기동부대는 18일에 규슈와 시코쿠의 중요 비행장 45개에 대하여 공습을 실시했습니다. 이날의 공습으로 제58기동부대는 102대의 일본기를 격추하고 275대의 일본기를 지상에서 파괴하였으며 수송선 1척, 유조선 1척, 소형함정 4척을 격침했습니다. 일본군도 가미까제 특공기로 반격을 가하여 정규항공모함 인트레피드와 요크타운이 함체 바로 부근에서 폭발한 특공기로 인하여 약간의 피해를 입었으나 작전에는 지장이 없었습니다.

3월 19일에는 전함 야마또, 히우가, 하루나, 항공모함 아마기, 류호, 가쓰라기, 호쇼 등 그때까지 살아남은 일본연합함대의 주력함정들이 정박해 있던 구레 군항을 비롯하여 오사카, 고베 등 한신공업지대를 폭격했습니다. 이중에서 헬캣 40대, 아벤저 20대로 이루어져 구레 군항을 향했던 공격대는 오전 7시 15분에 구레 군항 상공에서 62대로 이루어진 일본기들의 반격을 받았는데 전투시작 10분만에 완전히 패배했습니다. 급보를 받은 제58기동부대에서는 즉각 전투기들을 증파하여 일본기들을 견제하고 그동안 아벤저들이 구레 군항을 폭격하였으나 제공권을 장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공격을 실시하여 대형전함 야마또와 정규항공모함 아마기를 비롯하여 18척의 함정에게 피해를 입히는 데에는 성공하였으나 단 한 척도 격침시키지 못했습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공중전의 결과로서 제58기동부대는 전투기들을 현장에 대거 증파했음에도 불구하고 1시간 남짓한 공중전에서 겨우 16대의 일본기를 격추하면서 자신들은 전투기 48대를 비롯하여 합계 52대가 격추당하는 대참패를 당한 것입니다.

구레 항구 상공에서의 공중전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제58기동부대의 가용 전투기 수가 줄어들자 그 틈을 노리고 가미까제 특공기를 비롯한 일본기들이 반격을 가하여 큰 전과를 올렸습니다. 정규항공모함 프랭클린은 비행갑판과 격납고 갑판에 무장과 연료를 만재한 함재기들이 꽉 들어찬 상태에서 1대의 일본기가 투하한 2발의 250kg 폭탄에 명중되었습니다. 즉시 엄청난 유폭과 함께 치명적인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프랭클린은 우수한 손상관리 시스템과 손상관리요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겨우 침몰은 면했으나 724명이 전사하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고 태평양 전쟁에서 물러나야 했습니다. 정규항공모함 와스프도 가미까제 특공기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 101명이 전사하는 피해를 입었으나 곧 화재를 진압하고 작전을 계속했습니다. 와스프는 이후 3주일동안 더 작전을 계속한 후 4월 13일에 수리를 위하여 미본토로 향했습니다. 엔터프라이즈는 3대의 특공기를 무사히 피했으나 호위함이 쏜 5인치 대공포 2발이 함교 앞쪽의 40mm 대공포좌에 떨어지면서 포좌에 쌓여있던 40mm 포탄에 유폭되어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7명이 전사했고, 엔터프라이즈는 20분만에 화재를 진압하는데는 성공했으나 울리시로 물러가서 10일간 수리를 해야만 했습니다. 엔터프라이즈가 오끼나와 앞바다에 돌아온 것은 4월 5일의 일이었습니다.

구레 군항 상공의 공중전에 참가했던 조종사들의 보고를 검토한 미처 제독은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첫째는 방어에 나선 일본기들의 대부분이 헬캣이나 콜세어와 성능이 거의 비슷한 수준의 신형기였다는 사실과 둘째는 방어전에 나선 일본 조종사들의 실력이 미군 조종사들의 실력보다 훨씬 뛰어났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이것은 성능이 뛰어난 새로운 전투기를 개발한 일본군이 그때까지 살아남아있던 엘리트 조종사들을 모아 특별 항공대를 편성하여 집중적으로 운용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뜻했습니다. 실제로 이때 미함재기들을 공격했던 일본군 항공대는 통칭 쓰루기 부대라고 불리는 일본해군 제343항공대였는데 이 부대는 일종의 엘리트 부대로서 조종사 대부분이 노련한 에이스들이거나 신참 조종사 중에서도 특별히 선발된 우수한 인원들이 집결한 부대였습니다. 이들은 새로 개발된 우수한 국지요격용 전투기인 시덴카이로 장비하고 있었으며 인원, 장비 및 보급 등 모든 면에서 특별 대우를 받는 존재였습니다.

강력한 전력을 가진 일본군 특별 항공대의 존재를 알게 된 미처 제독은 사태가 심각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평소 같았으면 이런 상황이 그렇게 심각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제58기동부대는 성능이 썩 괜찮은 아주 많은 숫자의 전투기들과 상당한 숙련도를 갖춘 조종사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었으므로 압도적인 숫자의 공격대를 내보내어 이 새로운 항공대의 근거지를 공격, 결전을 강요한 다음 숫자의 우세로 밀어버리면 그만이었습니다. 아무리 우수한 조종사들로 구성된 엘리트 부대라고 할지라도 공중전에서 5배, 10배의 전력을 가진 적과 싸워서 이길 수는 없었습니다. 그리고 제58기동부대는 마음만 먹으면 전투기 600-700 대 정도는 한꺼번에 출격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지금 제58기동부대가 한가하게 일개 비행대를 상대로 그러한 인해전술이나 펴고 앉아있을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었습니다. 제58기동부대는 4월 1일로 예정된 오끼나와 상륙을 앞두고 가미까제 특공기를 발진시킬 가능성이 높은 규슈와 시코쿠의 비행장 45개를 제압할 임무를 띄고 있었습니다. 단 한번의 압도적인 공격으로 완전히 파괴할 수 없는 지상 비행장의 특성상 지속적인 제압이 중요했는데 45개나 되는 비행장을 지속적으로 제압 하에 둔다는 것은 상당한 노력을 요하는 일로서 하늘에서의 저항이 거의 없다는 조건하에서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신형기를 장비하고 뛰어난 조종사들을 갖춘 강력한 비행대가 나타나서 제공권을 위태롭게 한다면 비행장 제압은 사실상 불가능했습니다. 미처 제독은 이러한 자신의 의견을 제5함대 사령관 스프루언스 제독에게 전달했고, 스프루언스 제독도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인정하여 무선침묵을 해제하고 니미츠 제독에게 이런 내용을 타전했습니다.

보고를 받은 니미츠 제독은 즉시 행동을 개시하여 마리애나에 기지를 둔 제21폭격사령부(XXI Bomber Command)에 규슈 지역의 비행장들을 폭격해주도록 요청했습니다. 마리애나에 기지를 두고 B-29를 사용하여 일본에 대한 전략폭격을 담당하고 있던 제21폭격사령부는 태평양 해역에서 작전 중인 부대 중에서 유일하게 니미츠 제독의 지휘를 받지 않는 부대로서 통합참모본부의 직속통제 하에 있는 부대였으나 니미츠 제독에게는 유사시 이 부대에 지원을 요청할 권한이 있었습니다. 니미츠 제독은 이제까지 한번도 사용하지 않았던 이 권한을 사용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당시 일본 도시에 대한 소이탄 폭격에 한참 재미를 들인 제21폭격사령관인 르메이 소장은 전략폭격기인 B-29를 엉뚱하게 비행장 폭격에 사용하려는 니미츠 제독의 방침에 불만을 품었으나 어쨌든 정당한 권리행사였으니만큼 니미츠 제독의 지원요청을 받아들여야만 했습니다. 사실 2주 전인 3월 7일에 니미츠 제독의 요청으로 괌 섬의 태평양함대 사령부에서 열린 태평양함대와 제21폭격사령부 간의 회의에서 니미츠 제독은 유사시에 제21폭격사령부에게 해군을 지원하기 위하여 B-29를 출격시키도록 요청할 권한이 자신에게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습니다. 다만 이때 르메이 장군은 만일 B-29가 해군을 도와 출격하더라도 그 우선순위는 어디까지나 일본의 비행기용 엔진공장 같은 전략목표이며 비행장 폭격은 가급적이면 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주장하여 니미츠 제독의 동의를 받았습니다. 르메이 장군은 이로써 전략무기인 자신의 B-29 들이 비행장 폭격 같은 쩨쩨한 일을 해야할 가능성은 없어졌다고 생각했고, 니미츠 제독도 내심 막강한 제58기동부대가 건재한 이상 마리애나의 B-29가 해군을 지원하기 위하여 출동할 일은 없으리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이제 상황이 완전히 바뀐 것이었습니다. 제21폭격사령부는 즉시 태평양함대 사령부와 협의하여 규슈 지역의 비행장 중에서 입지조건이나 비행장의 규모 등을 종합하여 가미까제 특공기를 발진시키기에 가장 유리한 비행장 17개를 골라서 무력화시키기로 했습니다.

한편 제58기동부대는 3월 19일 이후로 비행장 제압 작전은 포기하고, 22일까지 해상급유를 받으면서 요격에만 전념하여 공격해오는 일본기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습니다. 3월 18일부터 22일까지 일본기 528대를 격추하거나 지상에서 파괴하여 일본기들의 세력을 한풀 꺾는데 성공한 제58기동부대는 3월 23일부터는 오끼나와에 대한 폭격에 전념했습니다.

3월 26일, 제77사단의 게라마 열도 상륙에 발맞추어 가미까제 특공기의 출동을 방해하기 위하여 마리애나 기지를 출발한 151대의 B-29가 규슈의 비행장들을 폭격한 것을 시작으로 28일에 137대의 B-29가 규슈의 또다른 비행장들을 폭격했습니다. B-29의 폭격은 3월 31일에도 반복되었습니다. 기꾸스이 작전 발동에 임박해서 행해진 이러한 B-29의 가공할 폭격으로 중요한 비행장들이 극심한 피해를 입게 되자 우가끼 중장은 할 수 없이 기꾸스이 작전 개시일을 4월1일에서 6일로 연기했습니다.

3월 26일, 제77사단이 오끼나와 서쪽 24km 지점에 위치한 게라마 열도에 상륙했습니다. 제77사단은 이곳에서 350척의 자살공격용 주정을 노획했습니다. 길이 5.4m, 폭 1.8m에 85마력의 출력을 가진 6기통 자동차용 엔진을 장착한 일종의 모터 보트인 이 자살공격용 주정은 120kg짜리 폭탄 2발을 싣고 20노트의 속력을 낼 수 있었습니다. 3월 31일에는 게라마 열도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게이세이 섬에 24문의 155mm 직사포를 장비한 제420포병대가 상륙하여 다음날 실시될 오끼나와 상륙작전을 엄호할 태세를 갖추었습니다.

오끼나와 상륙작전을 앞둔 사전포격은 3월 25일부터 실시되고 있었습니다. 데요 소장이 지휘하는 10척의 구형전함을 중심으로 한 포격부대는 3월25일부터 4월1일까지 1주일 동안 6인치 이상의 대구경탄 13,000 발을 포함하여 총 5,162 톤의 포탄을 오끼나와에 쏟아부었습니다. 제58기동부대와 블랜디 소장의 상륙지원부대는 4월1일까지 오끼나와에 총 3,905 소티의 폭격을 실시했는데 주목표는 오끼나와의 비행장이었고, 두번째 목표는 자살용 주정들, 세번째 목표는 해안의 방어시설이었습니다.

오끼나와 상륙일인 4월 1일에는 오전 5시 30분부터 포격부대 소속의 구형전함 10척, 순양함 9척, 구축함 23척, 포정, 로켓포정 및 박격포정 177 척이 상륙 예정 지역인 하구시 해안에 대하여 5인치 이상의 포탄 44,825발, 로켓탄 33,000 발, 박격포탄 22,500 발을 퍼부었는데 이는 태평양 전쟁의 상륙 준비 포격 중 최대 규모였습니다. 7시45분부터는 제58기동부대와 호위항공모함을 떠난 함재기들이 네이팜탄을 이용하여 하구시 해안을 맹폭했습니다. 제1파로 상륙하게 되어있는 LVT 들이 해안에 다가서자 LCI(G), LCI(R) 및 LCI(M=Mortar) 등이 해안에 바짝 다가서서 40mm 포탄, 4.5인치 로켓탄 및 4.2인치 박격포탄을 하구시 해안의 사방 9m x 9m 넓이마다 평균 25발씩 쏟아부었습니다. 전날 게이세이 섬에 상륙했던 24문의 155mm 직사포도 포격에 가세했습니다.

오전 8시 30분에 최초의 LVT 가 하구시 해안에 도착했고, 이어서 후속 제파가 속속 해안에 도착하여 1시간 이내에 다수의 셔먼 전차를 비롯하여 16,000 여명의 병력이 상륙했습니다. 예상과 달리 일본군에게서는 아무런 저항이 없었습니다. 상륙군은 곧 전진하기 시작하여 오전 10시 30분에는 가데나 비행장을, 11시 30분에는 욘탄 비행장을 점령했습니다. 그날 자정까지 4개 사단에서 60,000 여명의 병력이 무사히 상륙을 마쳤습니다. 이후 4월 5일에 제96사단이 최초로 본격적인 일본군의 방어선에 도달할 때까지 일본군의 저항은 미약했습니다.

한편 제21폭격사령관인 르메이 소장은 3월 말의 반복적인 폭격에 의하여 일본군의 비행장들을 거의 못쓰게 만들었다고 생각했으나 곧 일본군들이 이들 비행장의 활주로를 빠른 속도로 복구한다는 사실을 알고 지속적인 공격이 필요하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그리하여 지속적으로 비행장들을 폭격했으나 이윽고 아무리 철저하게 폭격을 해도 일본군들은 활주로를 대충이라도 복구한 다음 소수의 항공기들을 이륙시키는데 이것을 완전히 근절하기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가미까제 특공기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이런 식의 비행장 공격보다는 일본의 비행기 엔진 공장을 폭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고 생각한 르메이 소장은 4월 1일에 오끼나와 상륙이 실시되자 니미츠 제독을 찾아가 이제 자신의 B-29 들을 비행장 폭격 임무에서 빼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일본군의 대규모 가미까제 공격이 4월 6일이나 7일쯤에 있으리라고 예상하고 있던 태평양함대 사령부에서는 이 요청을 거부했습니다. 태평양함대 사령부의 예측은 정확했습니다. 우가끼 마또메 중장은 원래 4월 1일로 예정되었던 제1차 기꾸스이 작전을 4월 6일과 7일 양일간에 걸쳐 실시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이 작전에는 합계 800 대 이상의 일본기들이 참가할 예정이었는데 애초 계획에는 없었던 해상부대도 참가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즉 대형전함 야마또와 경순양함 야하기 및 8척의 구축함으로 이루어진 제1유격부대가 해상특공부대로 참가한 것입니다.

52.오끼나와 상륙작전(2)

1945년 4월 6일에 일본군의 기꾸스이 1호 작전이 시작되었습니다. 총 10회에 걸친 기꾸스이 작전 중에 최초이자 최대 규모인 1호 작전에는 총 800 대 이상의 일본기들이 참가했으며 주력 공격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견제 공격도 포함되었습니다. 최초로 공격해 온 것은 4월 6일 새벽에 오끼나와의 욘탄 비행장과 가데나 비행장을 습격한 14대의 일본기였습니다. 이들은 활주로에 폭격과 기총소사를 가했으나 미군의 비행기가 아직 배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 한대의 비행기도 파괴하거나 피해를 입힐 수 없었습니다. 이어서 100 여대의 전투기와 공격기로 이루어진 공격대가 제58기동부대를 공격하여 CAP 세력을 유인하는 역할을 맡았고, 이어서 주력 공격대가 제58기동부대와 하구시 앞바다에 정박 중인 미군 선단을 공격해 왔습니다. 주력 공격대는 355 대의 가미까제 특공기와 344 대의 호위 전투기 및 약간의 공격기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6일 오후 3시경부터 공격을 시작하여 총 36시간에 걸쳐 출격했습니다.

미군도 전력을 다해서 요격에 나섰습니다. 제58기동부대의 전투기들 뿐만 아니라 호위항공모함의 전투기들도 총동원되었고, 호위항공모함 시트코베이와 브레톤에서 욘탄 비행장으로 이동중이던 해병제31비행대의 전투기들까지 요격에 가담했습니다. 니미츠 제독의 긴급 명령을 받은 류큐전술항공군 사령관인 멀카니 해병소장은 상륙한 해병대에 대한 근접공중지원(CAS) 임무를 띄고 4척의 호위항공모함에 실려와서 4월 7일에 욘탄 비행장에 전개한 해병제31비행대와 9일에 가데나 비행장에 전개한 해병제32비행대 소속인 192대의 콜세어와 30대의 헬캣에게 당분간 제58기동부대와 협력하여 전투공중초계(CAP) 임무에 전념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대신 지상의 해병대에 대한 근접공중지원임무는 제58기동부대의 아벤저와 헬다이버가 맡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제58기동부대의 조종사들은 근접공중지원임무를 수행한 경험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지상의 해병대로서는 이러한 사실이 상당한 불만이었으나 때가 때이니만큼 어쩔 수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혼신의 노력을 다한 요격전의 결과 미군은 4월6일과 7일에 총 380 대의 일본기를 격추했습니다. 하지만 가미까제 특공기 33대가 23척의 함선에 격돌하여 구축함 2척과 수송선 2척 등 6척의 함정이 격침되고, 피해를 입은 17척 중 7척은 피해가 너무 심하여 전열에서 탈락했으며 해군장병 367명이 전사했습니다. 격침된 함선 중 수송선 2척에는 제10군이 사용할 81mm 박격포탄이 모두 실려있었는데 하구시 해안 근처에서 가미까제 특공기에게 당하여 엄청난 폭발과 함께 침몰해 버림으로써 수많은 81mm 박격포들이 순식간에 무용지물로 변했습니다. 할 수 없이 육군항공대의 수송기들이 81mm 박격포탄들을 급히 공수해 와야 했습니다.

원래 가미까제 특공기들은 공격함정의 우선순위에 대하여 철저하게 교육받고 있었는데 가장 중요한 목표는 정규항공모함의 비행갑판이었습니다. 하지만 1주일간의 기초비행훈련 밖에 받지못한 미숙한 가미까제 조종사들은 최초로 눈에 들어오는 표적을 보면 그만 흥분하여 우선순위 따위는 까맣게 잊어버리고 바로 돌진하기 일쑤였기 때문에 실제로는 함대의 최전방에서 레이더를 이용하여 조기경보임무를 맡고있던 레이더 피켓함들의 피해가 극심했습니다. 실제로 이날 침몰한 구축함인 부시와 콜헌도 레이더 피켓함이었습니다. 제58기동부대에서는 정규항공모함 베닝턴과 경항공모함 벨로우드가 가벼운 피해를 입었으나 작전에는 지장이 없었습니다.

기꾸스이 1호 작전의 항공작전과는 별도로 대형전함 야마또를 중심으로 한 해상특공부대도 오끼나와를 향하고 있었습니다. 일본연합함대 사령부는 야마또를 공중지원도 없이 오끼나와 해역에 돌입시켜 미군수송선단을 공격한 다음 주변의 해안에 좌초시켜 육상포대로 활용한다는 정신나간 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야마또와 경순양함 야하기, 구축함 8척으로 이루어진 제1유격부대에게 편도분 연료만 실은 채 오끼나와로 향하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사지로 떠나는 이들을 안타깝게 여긴 도꾸야마 연료보급기지의 관계자들이 연료탱크의 밑부분을 닥닥 긁어서 왕복연료를 맞추어 주었다고 합니다.

야마또를 비롯한 해상특공부대는 6일 오후 3시 20분에 도꾸야마 기지를 출발하여 오끼나와를 향했습니다. 오후 6시 30분, 해상특공부대는 미잠수함 스레드핀에 의하여 발견되었습니다. 스레드핀은 즉시 상부에 보고했고, 3월 24일부터 제58기동부대를 떠나 데요 소장의 포격부대와 행동을 같이하고 있던 스프루언스 대장은 즉시 10척의 구형전함을 가진 포격부대에게 야마또를 요격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을 내렸습니다.

밤새 남하중이던 해상특공부대는 7일 오전 8시 32분에 정규항공모함 에섹스의 헬캣에 의하여 재차 발견되었습니다. 스프루언스 제독은 이 보고를 받고서도 제58기동부대에 공습명령을 내리지 않았습니다. 그는 어제부터 시작된 일본군의 대규모 가미까제 공격 때문에 제58기동부대는 물론 호위항공모함의 전투기들과 해병대의 류큐전술항공군 소속 전투기들까지 모두 긁어모아서 요격임무에 투입하고 있는 이 상황에서 일본의 수상함들을 공격하기 위하여 다수의 제58기동부대 소속 함재기들을 동원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지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남하중인 일본함대는 포격부대의 구형전함 10척으로 간단하게 저지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문제는 일본함대가 중간에 되돌아가 버리는 사태였습니다. 일본해군의 함정 중에서 단연 최고의 상징성을 가진 대형전함 야마또가 스스로 호랑이 입에 머리를 들이밀었는데 즉시 함재기들을 내보내어 공격하지 않고 주저하다가 만일 이대로 놓쳐버리기라도 하는 날이면 사방에서 쏟아질 엄청난 비난을 면하기 어려웠습니다. 반면 제58기동부대 사령관인 미처 제독은 자신의 부대가 야마또를 공격하면서 동시에 일본기들의 가미까제 공격을 막아낼 충분한 능력이 있다고 믿고 있었으므로 참모장인 알레이 버크 준장에게 명하여 정오까지 별도의 중지명령이 없으면 남하 중인 일본함대를 공격하겠다는 뜻을 스프루언스 제독에게 타전하도록 했습니다. 그러던 중 오전 10시 22분에 일본함대가 반전했다는 연락이 들어오자 알레이 버크 준장은 스프루언스 제독에게 미처 제독의 명령보다 훨씬 직설적인 어법으로 (당신이 할거요? 아니면 우리가 할까요?) 공습허가를 요청하는 전보를 보냈습니다. 일본함대가 반전했다는 보고를 받은 스프루언스 제독은 망설임을 떨쳐버리고 공습을 허가했습니다.

곧 제58.1전단과 제58.3전단 소속 9척의 항공모함에서 전투기 132대, 아벤저 98대, 헬다이버 50대로 이루어진 제1차 공격대가 출격했습니다. 11시 29분에 해상특공부대는 재반전하여 오끼나와 쪽으로 침로를 돌렸습니다. 오후 12시 32분, 야마또의 레이더가 접근하는 미함재기의 대군을 발견하여 2분 후부터 18.1인치의 주포에서 발사하는 삼식탄을 비롯하여 일본함대의 각종 대공화기가 불을 뿜기 시작했습니다. 12시 35분부터 폭격이 시작되어 40분에 베닝턴과 호넷의 헬다이버들이 야마또의 사령탑 부근 좌현에 2발의 450kg 철갑탄을 명중시켰으며, 43분에는 호넷의 아벤저가 야마또의 좌현 선수 부근에 1발의 어뢰를 명중시켰습니다. 이후 미함재기들은 야마또의 좌현을 집중적으로 공격했습니다. 미함재기 조종사들은 시부얀 해전에서 무사시를 격침할 때 양현을 동시에 공격하는 전통적인 뇌격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무사시가 오히려 더 오래 버텼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야마또에 대한 공격에서는 어느 한쪽으로 공격력을 집중시키기로 결심하고 있었습니다. 아벤저의 뇌격을 도와주기 위하여 벙커힐에서 출격한 콜세어 14대가 야마또의 좌현에 100 발 이상의 HVAR 을 퍼부어서 좌현에 위치한 대공포좌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습니다.

34대의 헬캣과 1대의 콜세어, 그리고 22대의 헬다이버와 소수의 아벤저들은 호위함들을 공격했습니다. 12시 46분에 경순양함 야하기가 1발의 어뢰를 얻어맞고 행동불능상태에 빠졌습니다. 구축함 하마까제도 어뢰 1발을 얻어맞고 두 동강이 나서 격침되었으며, 후유쓰키도 HVAR 2발을 맞았습니다. 구축함 아사시모는 기관고장을 일으켜 전열에서 낙오했습니다. 구축함 스즈쓰키는 함수에 225kg짜리 일반폭탄 1발을 얻어맞고 함수가 날아가 버렸으나 필사적인 응급조치로 침몰만은 면했습니다. 미함재기 조종사들은 시부얀 해전의 경험을 통하여 450kg 짜리 대형철갑탄으로도 야마또의 장갑을 뚫고 들어가 큰 피해를 주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상당수의 미함재기들이 대형함 공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연신관을 장착한 철갑탄 대신 야마또의 대공포좌를 공격할 목적으로 접촉신관을 장비한 일반폭탄을 달고 출격했습니다. 일반폭탄은 같은 무게의 철갑탄보다 관통력이 약한 대신 장약의 양이 많았기 때문에 대공포좌 같이 노출된 목표나 구축함급 이하의 소형함을 공격할 경우에는 오히려 철갑탄보다 유리했습니다. 12시 50분에 제1차 공격대가 물러갔습니다. 야마또는 1차 공격에서 2발의 폭탄과 1발의 어뢰를 맞아서 속력이 22노트로 떨어지고 좌현 쪽의 대공포좌들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오후 1시 22분에 167대로 이루어진 제2차 공격대가 공습을 시작했습니다. 1시 23분, 12대의 아벤저가 야마또의 좌현 쪽에서 달려들면서 거의 동시에 12발의 어뢰를 발사했습니다. 야마또는 즉시 좌현쪽으로 최대각도로 선회했으나 3발이 좌현 중앙부에 명중했습니다. 3,000 톤이 넘는 해수가 함내에 쏟아져 들어와서 야마또는 좌현으로 7도나 기울었으며 보조 키가 어뢰 폭발의 충격 때문에 좌현으로 잔뜩 꺾인 채로 고정되어 버렸습니다. 손상관리반이 우현에 역침수를 실시하여 겨우 균형을 잡았습니다. 1시 44분, 4대의 아벤저가 야마또에게 달려들어 추가로 2발의 어뢰를 좌현 중앙에 명중시켰습니다. 야마또는 다시 좌현으로 기울어지면서 속력이 18노트로 떨어졌습니다. 구축함 카스미도 2발의 폭탄을 얻어맞고 격침되었습니다.

오후 2시 2분, 제58.4전단의 정규항공모함 인트레피드와 요크타운, 경항공모함 랭글리를 떠난 이날의 마지막 공격대인 제3차 공격대 106대가 공격을 시작하여 3발의 폭탄을 야마또의 좌현 중앙에 명중시켰습니다. 2시 7분, 요크타운의 아벤저가 1발의 어뢰를 야마또의 우현 중앙부에 명중시켰습니다. 이 어뢰는 야마또에 명중한 10발의 어뢰 중에서 유일하게 우현에 명중한 어뢰였습니다. 2시 12분, 요크타운의 아벤저가 발사한 2발의 어뢰가 야마또의 좌현에 명중했습니다. 야마또는 이제 좌현으로 15도나 기울었고, 속력은 12노트로 떨어졌습니다. 해상특공부대 사령관 이또 중장은 특공작전의 실패를 인정하고 야마또에 대한 퇴함명령과 함께 호위함정들에게 생존자를 구조하여 일본으로 철수하라는 최후명령을 내렸습니다. 2시 17분, 요크타운의 아벤저가 야마또의 좌현에 1발의 어뢰를 추가로 명중시켰습니다. 2시 23분, 야마또가 좌현으로 전복되어 침몰했습니다. 동시에 제1번 탄약고에서 어마어마한 규모의 폭발이 일어났는데 이때 발생한 연기는 160km 이상 떨어진 규슈 남부에서도 보였다고 합니다. 야마또가 침몰하는 중에 해중에서 다시 폭발이 일어나서 그 충격파로 해상에 떠있던 생존자들 중 많은 수가 사망했습니다. 2,700 명이 넘는 야마또의 승무원 중에서 269명만이 생존했습니다.

그때까지 살아남은 야마또의 호위함정들도 차례차례 격침되었습니다. 우선 제1차 공습에서 어뢰 1발을 맞아 빌빌거리며 겨우 해상에 떠있던 경순양함 야하기가 어뢰6발과 폭탄 12발을 추가로 얻어맞고 2시 5분에 격침되었습니다. 구축함 이소까제도 격침되었고, 기관고장을 일으켰던 아사시모도 결국 그날 밤에 자침했습니다. 공습현장에서 살아남은 3척의 구축함은 생존자를 구출하여 사세보로 귀항했습니다. 제1차 공습에서 폭탄에 맞아 함수가 날아가버린 상태로 실종되었던 스즈쓰키는 당초 격침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필사적인 응급조치로 침몰을 면하고 미함재기들이 득실거리는 해역에서 무려 300km가 넘는 거리를 후진으로 돌파하여 8일 오후에 기적적으로 사세보 항에 무사히 귀환했습니다. 해상특공부대는 총 10척 중에서 대형전함 야마또와 경순양함 야하기, 구축함 4척이 격침되고, 사령관 이또 세이찌 중장을 비롯하여 3,721명의 전사자를 기록하면서 오끼나와 돌입에 실패했습니다.

제58기동부대에서는 헬캣 3대, 아벤저 3대, 헬다이버 4대가 격추되어 12명이 전사했습니다.

이 전투에서 야마또는 합계 10발의 어뢰와 5발의 폭탄을 얻어맞고 전투시작 1시간 40분만에 왼쪽으로 전복되면서 침몰했습니다. 자매함 무사시가 시부얀 해전에서 20발의 어뢰와 17발의 폭탄을 얻어맞고도 무려 9시간을 버티다가 침몰한 것에 비하면 야마또의 좌현에 공격을 집중시킨 미함재기 조종사들의 판단이 옳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53.오끼나와 상륙작전(3) http://www.defence.co.kr/bbs/bbs.cgi?db=history5&mode=read&num=14367 기꾸스이 2호 작전은 4월 12일과 13일에 걸쳐 실시되었습니다. 가미까제 특공기 200 대와 호위기 및 공격기 192대가 출격했습니다. 2호 작전에서는 일본의 신형특공기인 사꾸라바나 8기가 출동하여 구축함 에이벨을 격침시키는 전과를 올렸습니다. 사꾸라바나는 전장 6.1m, 전폭 5.1m 인 일종의 유익 목제 미사일로서 기수 부분에 1,200kg의 폭약을 적재하고 추력 800kg 짜리 로켓 엔진 3개를 달아서 900km/hr의 고속으로 37km 를 비행할 수 있었습니다. 사꾸라바나는 베티 육상공격기에 매달려서 목표 근처에 도달하면 모기에서 분리하여 돌입하는 방식이었는데, 빠른 속력과 강력한 파괴력에 더하여 생산의 용이성 때문에 궁극의 특공병기로서 많은 기대를 모았으나 실제 전과는 상당히 부진하여 이날 격침한 에이벨이 유일한 격침 전과입니다. 사꾸라바나의 전과가 부진했던 이유는

첫째로 모기인 베티 육상공격기가 목표에 접근하기 전에 대부분 격추되어 버렸기 때문이고,

둘째로는 사꾸라바나가 당시 기준으로는 상당한 고속인데다가 조종하기가 꽤 까다로운 편이었는데 기체의 용도상 조종사들이 한번도 실제로 몰아볼 기회를 가질 수가 없었기 때문에 안 그래도 미숙한 가미까제 조종사가 다루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기꾸스이 2호 작전에서 가미까제 특공기들은 에이벨을 격침하고, 구형전함 테네시를 비롯한 18척에 피해를 입혔습니다. 미군은 2호 작전에 참가한 일본기들을 거의 다 격추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한편 제21폭격사령부의 사령관인 르메이 소장은 기꾸스이 2호 작전이 끝나자 다시 한번 니미츠 제독을 찾아가 자신의 B-29 들을 비행장 공격에서 빼달라고 요청했으나 또 거절당했습니다. 그러자 르메이 소장은 워싱턴의 아놀드 원수에게 직접 호소했습니다. 아놀드 원수가 이 문제에 대하여 킹 제독에게 불평하자 킹 제독은

"지금 육군항공대가 해군을 돕지 않겠다면 해군은 오끼나와에서 철수할 테니까 앞으로 그 섬의 보급 문제는 육군이 알아서 처리해야 할 것”

이라고 퉁명스럽게 대답했습니다. 킹 제독이 이런 식으로 나오자 아놀드 원수는 이후로는 이 문제에 대하여 입도 벙긋하지 못했습니다. 르메이 소장은 워싱턴에서 좋은 소식이 오기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지만 정작 날아온 것은

"제21폭격사령부의 최우선 과제는 해군을 도와서 일본군의 비행장을 무력화시키는 일”

이라고 명시한 통합참모본부의 4월 18일자 명령서였습니다. 르메이 소장은 5월 5일에 같은 내용의 명령서를 한번 더 받아야 했습니다. 이제 제21폭격사령부로서는 일본군 비행장에 대한 폭격을 계속할 수 밖에 다른 방법이 없었습니다.

기꾸스이 3호 작전은 4월 16일과 17일에 실시되었는데 특공기 192대와 호위기 및 공격기 306대가 참가했으며, 기꾸스이 4호 작전은 4월 26일과 27일에 걸쳐 실시되어 115대의 특공기를 포함한 150여대의 일본기가 참가하여 10척의 함정에게 피해를 입혔으나 격침된 함정은 없었습니다.

기꾸스이 5호 작전은 제32군의 역습에 발맞추어 5월 4일과 5일에 실시되었는데 159대의 가미까제 특공기가 참가하여 구축함 3척과 LSM 1척을 격침하고, 호위항모 생가몬과 경순양함 버밍햄을 비롯한 10척의 함정에 피해를 입혀서 450 여명의 전사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날 슈리 방어선 전면에서 실시된 제32군의 역습은 일본군에게 남아있던 포병화력의 절반인 59문의 화포를 상실하고, 병력의 15% 에 해당하는 6,000 여명의 전사자를 기록하면서 이틀 만에 완전한 실패로 끝났습니다.

기꾸스이 6호 작전은 5월 11일에 실시되었는데 이 작전에서 일본의 가미까제 특공기들은 미처 제독의 기함 벙커힐을 대파했습니다. 11일 오전 10시 5분에 제로기 1대가 벙커힐의 비행갑판에 격돌했고, 30초 뒤에 주디 급강하폭격기 1대가 사령탑 기부에 격돌했습니다. 비행갑판에 30대, 격납고 갑판에 48대의 함재기가 무장과 연료를 만재한 상태로 대기 중이던 벙커힐에서는 즉각 엄청난 유폭이 이어지면서 치명적인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우수한 손상관리시스템과 손상관리요원들의 6시간에 걸친 사투 덕분에 벙커힐은 겨우 화재를 진압할 수 있었으나, 396명의 승무원이 전사하는 치명적 피해를 입고 태평양 전쟁에서 물러나야 했습니다. 미처 제독은 사령기를 엔터프라이즈로 옮겨 달았습니다.

같은 날 니미츠 제독은 르메이 장군에 대하여 따뜻한 감사의 말을 전하면서 B-29들을 비행장 공격임무에서 풀어주었습니다. 르메이 장군은 일본의 비행기 엔진 공장을 전부 박살낼 수 있을 시간에 효과도 미미한 비행장 공격에 붙잡혀 있었다면서 왜 니미츠 제독이 자신에게 고맙다는 말을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툴툴대었지만 사실 제21폭격사령부는 해군에게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즉 제58기동부대는 3월 19일의 공중전 이후 비행장 제압은 포기한 채 3월 23일부터는 오끼나와 폭격에 전념했으며 일단 4월 6일부터 일본군의 대규모 가미까제 공격인 기꾸스이 작전이 시작되자 제5함대의 상공을 지키는 임무만으로도 입에서 단내가 날 지경이어서 기꾸스이 작전의 기세가 어느 정도 수그러진 5월 초까지 비행장 제압 같은 것은 꿈도 못 꿀 형편이었습니다. 따라서 가미까제 특공기들이 출격하는 비행장을 공격하는 일은 거의 제21폭격사령부 소속의 B-29들이 담당해야 했는데 이들은 처음에는 규슈 남부의 주요 비행장 17개를 목표로 했었으나 기꾸스이 1호 작전이 실시된 4월 6일 이후에는 니미츠 제독의 요청에 의하여 규슈와 시코쿠의 45개 주요 비행장 전부를 목표로 삼아서 공격을 가했습니다. 그리하여 제21폭격사령부의 B-29들은 3월26일부터 5월 11까지 이들 일본군 비행장에 6,000톤 이 넘는 폭탄을 퍼부어서 400 여대의 일본 항공기들을 파괴하고 비행장의 활주로와 항공기 정비 및 수리시설 등에 커다란 피해를 입혀서 결과적으로 일본의 특공작전인 기꾸스이 작전에 투입된 가미까제 특공기의 숫자를 상당히 줄였습니다. 사실 10회에 걸친 기꾸스이 작전기간 동안 출격한 가미까제 특공기의 숫자는 1,465 대로서 당초 계획인 4,500 대의 1/3에도 못 미치는 숫자였으며 기꾸스이 작전 기간 중에 우가끼 중장이 실제로 확보하는데 성공한 3,000 여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숫자였습니다. 이들 중의 일부는 3월 18일부터 22일까지 제58기동부대에 의하여 격추되거나 지상에서 파괴되었겠지만 대부분은 B-29에 의하여 완전히 파괴되거나 손상되거나 또는 활주로와 정비시설의 피해로 인하여 기꾸스이 작전에 참가하지 못했다고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제21폭격사령부의 B-29들은 1945년 3월 26일부터 5월 11일까지의 7주 동안 규슈의 일본군 비행장에 6,000 톤 이상의 폭탄을 퍼부어서 가미까제 특공기들의 행동을 제약, 기꾸스이 작전에 실제로 참가한 기체의 수량을 절반 이하로 떨어뜨림으로써 최소한 100 척 이상되는 함정들의 피해를 막아주어, 해군장병들의 목숨을 1,000 명 이상 구해주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5월 12일과 13일에 엔터프라이즈는 규슈의 일본군 비행장과 항만 시설에 대하여 야간공격을 실시했습니다. 제58기동부대로서는 3월 19일의 구레군항 폭격 이래 실로 8주만에 재개되는 규슈 공격이었습니다. 5월 14일 오전 3시 57분, 반격을 위하여 접근하던 일본기 편대가 제58기동부대의 레이더에 잡혔습니다. 3시간 후인 오전 6시 57분, 엔터프라이즈의 대공포화들이 함의 뒤쪽에서 접근하는 1대의 가미까제 특공기를 겨냥하여 사격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이 가미까제 특공기는 교묘한 기동으로 대공화망을 피하면서 후방으로 접근하여 450m 상공에서 30도의 각도로 강하를 시작, 엔터프라이즈의 후방 180m 지점에 이르자 45도로 급강하하여 전방 엘리베이터의 바로 뒤쪽 약간 좌현 쪽에 충돌했습니다. 이 가미까제 특공기는 비행갑판에 3.6m x 6m 크기의 구멍을 만들면서 돌입하여 격납고 갑판에서 폭탄과 분리되면서 폭발하였고, 폭탄은 격납고 갑판 바닥을 통과하면서 폭발했습니다. 이 폭발로 무게가 15톤이나 나가는 전방 엘리베이터가 120m 상공까지 솟구쳤고, 격납고 갑판을 지나가는 청수 파이프가 터져서 물이 분수처럼 뿜어져 나왔으며, 대량의 전기 케이블이 폭발 당시의 충격에 의하여 끊어지거나 파손된 파이프에서 흘러나온 물에 의하여 침수되어 함의 전기 계통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산전수전 다 겪은 노련한 엔터프라이즈의 손상관리반이 재빨리 대응하여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막는데 성공함으로써 전사자 12명이라는 비교적 적은 피해로 상황을 마무리지었지만 이것으로 엔터프라이즈의 전쟁은 끝났습니다. 2일 뒤인 5월 16일, 엔터프라이즈는 수리를 위하여 미본토로 출발하여 6월 7일에 퓨젯 사운드 해군 조선소에 도착했습니다.

엔터프라이즈가 떠난 이후에도 오끼나와 전투는 계속되었으며 일본군의 기꾸스이 작전도 계속되어 7호가 24,25일에, 8호가 27,28 일에 실시되었으며 마지막 10호는 6월 22일에 실시되었습니다. 그동안 오끼나와에 상륙한 육군과 해병대도 사령관인 버크너 중장이 전사하는 등의 악전고투를 겪은 끝에 6월 23일에 섬을 완전히 장악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오끼나와 전투에서 미군이 입은 피해는 상당했습니다. 육군제77사단이 게라마 열도에 상륙한 3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제10군은 7,374명의 전사자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해군은 4,907명의 장병이 전사했는데, 전사자의 절반 가량이 가미까제 특공기의 격돌에 의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따라서 오끼나와에서 전사한 미군의 숫자는 합계 12,281 명에 달했습니다. 함정 피해도 상당하여 36척의 함선이 침몰하고, 368척이 피해를 입었는데 이 중에서 가미까제 특공에 의하여 침몰한 함선은 26척, 피해를 입은 함선은 164척입니다. 항공기 손실은 영국해군의 98대를 포함하여 763대입니다.

같은 기간동안 일본군의 손실은 미군보다 훨씬 컸습니다. 1945년 3월 26일에서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일본군의 전사자 숫자는 110,071 명이며, 포로는 10,755 명인데, 전사자 숫자에는 미군의 포격과 폭격에 희생되거나, 일본군과 미군과의 전투에 휘말려서 희생된 20,000 명 정도의 오끼나와 민간인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오끼나와 전투에서는 민간인의 피해도 적지 않았는데 최소한 52,000 명 이상의 민간인들이 치열한 전투의 와중에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정확한 숫자는 알 수 없습니다. 일본해군은 대형전함 야마또를 비롯한 16척의 함선이 격침되고, 4척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일본군의 항공기 손실은 총 7,830 대로서, 육군기 3,605대와 해군기 4,225 대입니다. 이들 중 가미까제 특공기는 총 1,900 대로서 육군기 850대, 해군기 1,050 대입니다. 가미까제 특공기 중에서 기꾸스이 작전에 참가한 항공기는 1,465 대이며, 185대는 기꾸스이 작전 기간의 중간중간에 개별적으로 출격했고, 250대는 대만에서 출격했습니다. 가미까제 특공기가 격돌한 함정은 총 190 척이지만 1척에 2대 이상의 특공기가 격돌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실제로 공격에 성공한 특공기의 숫자는 약 280 대 정도로 추정됩니다.

54.종전

오끼나와 함락 이후 일본의 처지는 급전직하로 추락해 갔습니다. 마리애나에서 출격한 B-29는 일본의 대도시들뿐만 아니라 중소도시까지 대부분 불태워 버렸고, 일본 연안에 투하된 기뢰와 미잠수함들 때문에 섬나라인 일본의 해상교통이 사실상 마비되었습니다. 5월 28일에 제38기동부대로 바뀐 미국의 고속항공모함 기동부대는 1945년 7월 10일부터 일본 본토 공습에 나서서 도꾜를 공습했고, 14일에는 홋까이도까지 진출하여 폭격을 가했습니다. 7월 15일에는 고속전함 사우스다코타, 인디애나, 메사추세츠가 도꾜에서 북동쪽으로 440km 거리에 위치한 데이코쿠 제철소에 포격을 가했습니다. 이제 미국의 전함이 일본 본토에 직접 포격을 가하는 상황이 된 것이었습니다. 혼슈 북부와 홋까이도 공격을 마치고 남하한 제38기동부대는 7월 24일부터 28일까지 구레 군항을 비롯한 일본 남부 해안에 맹공을 가하여 겨우 살아남아있던 전함 이세, 히우가, 하루나, 중순양함 도네, 아오바 등을 위시한 수많은 함정들을 격침했습니다. 7월 31일부터 해상에서 연료보급을 실시한 제38기동부대는 다시 북상하여 8월 9일부터 홋까이도와 한반도, 혼슈 북부를 강타한 다음 8월 10일부터 도꾜 인근을 강타하기 시작했습니다.

일본이 처한 사정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정신을 못 차린 일본의 전쟁 지도부는 미군의 본토상륙에 대비하여 10,000 대의 가미까제 특공기를 준비하고, 1억 옥쇄의 구호 아래 민간인들에게 죽창까지 들려서 군사훈련을 시키는 등 본토결전 준비에 광분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전쟁지도부의 이런 미친 짓도 8월 6일과 9일에 히로시마와 나가사끼에 원자폭탄이 투하되고, 소련이 일본과의 불가침 조약을 파기하고, 만주를 침공하자 드디어 끝났습니다. 단 한 발로 B-29 2,000 대 이상의 위력을 발휘하는 원자폭탄을 보유한 미국에 맞서서 더 이상 저항한다는 것은 일본민족의 멸절을 가져올 뿐이라는 사실을 깨달은 일본의 전쟁지도부는 드디어 정신을 차리고, 1945년 8월 15일에 연합국측에 무조건 항복했습니다. 이로써 1941년 12월 8일,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시작된 태평양 전쟁은 3년 8개월 만에 끝났습니다. 항복조인식은 1945년 9월 2일에 도꾜만 내에 정박한 전함 미주리 함상에서 열렸습니다.

엔터프라이즈는 진주만 기습 당일부터 태평양 전쟁에 참가하여 1945년 5월 16일에 전쟁에서 물러날 때까지 3년 6개월 동안 미해군이 실시한 22회의 항공모함 작전 중에서 20회의 작전에 참가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엔터프라이즈의 항공대는 71척의 적함을 격침하고, 최소한 192척의 적함에게 크고 작은 피해를 입혔으며, 엔터프라이즈의 대공포와 협력하여 911대의 적기를 격추했습니다. 그 대가로 엔터프라이즈는 함정 승무원 147명, 항공기 승무원 238명 등 총 385명의 전사자를 기록했습니다.

55.종전 이후

퓨젯 사운드 해군 조선소에서 수리를 마친 엔터프라이즈는 1945년 9월에 진주만에 가서 새로이 제55야간항공단을 적재했습니다. 1945년 9월 25일, 엔터프라이즈는 진주만을 떠나 파나마 운하를 경유하여 뉴욕을 향했습니다. 엔터프라이즈 최후의 임무인 4번의 마법 양탄자 항해(Magic Carpet voyage)중 첫번째 항해였습니다. 마법 양탄자 항해는 해외에 나가있던 미군들을 귀국시키는 임무였습니다. 엔터프라이즈는 환자들과 일본군에게 잡혀있다가 석방된 포로들을 포함한 1,141명의 장병을 싣고, 10월 17일에 뉴욕에 도착하여 27일에 열리는 ‘해군의 날’(Navy Day) 행사 때까지 그곳에서 머물렀습니다. 태평양 전쟁에서 엔터프라이즈의 활약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연일 신문의 헤드라인을 장식하면서 관심의 초점이 되어 이 기간 동안 허드슨 강 26번 부두에 정박해 있던 엔터프라이즈를 찾은 관람객의 수는 25만 명을 넘었습니다. 엔터프라이즈는 27일 오전에는 트루먼 대통령을 태우고 정박한 함선들이 전방을 통과하며 해상 열병식을 치렀고, 그날 오후에는 엔터프라이즈의 군악대가 수천명의 해군 및 해병대의 선두에 서서 수백만 시민의 열화 같은 환호를 받으며 뉴욕 한복판에서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퍼레이드(World War 2 Victory Parade)를 이끌었습니다. 저녁이 되자 엔터프라이즈 소속의 제55야간 항공단이 등화를 환하게 켜고 뉴욕시 상공에서 편대비행을 실시했습니다.

엔터프라이즈의 영광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1945년 11월에 2번째 마법양탄자 항해를 위하여 영국의 사우댐턴 항에 들렀을 때 엔터프라이즈는 영국 해군 최고의 명예인 해군성 깃발(Admiralty Pennant)을 받은 최초의 –그리고 오늘날까지 유일한- 외국 함정이 되었습니다. 이 항해에서 엔터프라이즈는 4,668명의 장병들을 유럽에서 귀국시켰고, 3번째 항해에서 다시 사우댐턴 항에 가서 4,413 명의 장병들을 싣고 크리스마스 이브에 뉴욕 항에 입항했습니다. 마지막 마법양탄자 항해에서 엔터프라이즈는 아조레스 제도에서 3,557 명의 장병을 싣고 1946년 1월 17일에 뉴욕 항에 입항했습니다. 다음날인 1946년 1월 18일, 엔터프라이즈는 뉴저지 주의 베이욘에 정박하여 12년 6개월간의 긴 휴식에 들어갔습니다. 이후 엔터프라이즈는 해체될 때까지 결코 자력으로 항해를 하지 않았습니다.

바다에 나가지 않으면서도 현역 함정의 지위를 유지하던 엔터프라이즈는 1947년 2월 17일에야 비로소 퇴역하여 대서양예비함대에 편입되었습니다. 예비함으로서 1952년에는 CVA-6 가 되었다가, 1953년 8월 8일부터는 CVS-6가 되었습니다. 엔터프라이즈가 다시 현역에 복귀할 가능성은 없었습니다. 1945년 9월 10일에 에섹스 급의 후계함인 CVB-41 Midway가 취역하여 에섹스 급마저 퇴물 취급을 받는 상황에서 에섹스 급보다 더 낡은 함정인 엔터프라이즈를 개조하여 현역에 복귀시킨다는 것은 상식에 어긋나는 일이었습니다.

엔터프라이즈가 모스볼 상태로 지내는 동안 이 배를 해상박물관으로 만들어 영구보존하고자 하는 시도가 몇 차례 있었습니다. 그 첫번째 시도로서 1946년에 뉴욕 주 의회가 엔터프라이즈를 뉴욕 주에 기증해 줄 것을 해군 측에 요청했으나, 예산의 뒷받침이 되지 않아서 흐지부지 끝나고 말았습니다. 3년 후인 1949년에 샌프란시스코 과학 및 산업 박물관(San Francisco Museum of Science & Industry) 측에서 샌프란시스코 만에 있는 Treasure Island Naval Air Station 에 엔터프라이즈를 영구 전시하자는 안을 내었으나 역시 예산 문제 때문에 해군에서 거절했습니다. 1954년, 엔터프라이즈에서 근무했던 장병들이 모여 시카고에서 엔터프라이즈 협회(USS Enterprise CV-6 Asoociation)를 만들었습니다.

1956년에 해군이 더 이상 모스볼 상태로 두지 못하겠다고 생각한 함선들의 리스트를 발표했는데 그 중에 전함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다코타, 워싱턴의 이름과 함께 엔터프라이즈의 이름이 들어 있었습니다. 엔터프라이즈가 당장 해체될 위기에 처하자 엔터프라이즈 협회는 어떻게든 엔터프라이즈를 살리기 위하여 백방으로 노력했습니다. 자비로 신문에 광고를 내고, 엔터프라이즈 기동부대의 사령관을 지냈던 핼시 원수의 지원을 받아서 엔터프라이즈 협회는 엔터프라이즈를 국가 기념물로 지정하여 해상 박물관으로 만들라고 의회에 압력을 가했습니다. 미의회는 일단 엔터프라이즈를 영구보존하자는 취지에는 동의했으나 이번에도 문제는 돈이었습니다. 엔터프라이즈를 해상박물관으로 만들고 유지하려면, 소요금액의 거의 전부를 국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는데 모스볼 상태의 엔터프라이즈를 적당한 지역으로 옮겨서 해상 박물관으로 만들고 유지하려면 최초의 6개월 동안에만도 최소한 200만 달러 이상의 자금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의회는 슬금슬금 꽁무니를 뺐습니다. 당시 미국 국내의 분위기는 가급적 빨리 제2차 대전으로 마무리된 암울한 20세기의 전반기를 잊어버리고, 미국이 명실상부한 주역을 맡게 된 20세기 후반기의 희망을 주로 이야기하며 특히 소련과의 우주 경쟁에 관심을 쏟는 분위기였습니다. 세계의 운명을 결정지은 거대한 전쟁에서 미국의 역할을 상징하는 위대한 군함을 보존해야만 할 역사적인 필요성을 대다수의 미국인들이 깨달으려면 아직도 세월이 더 흘러야만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엔터프라이즈의 영구 보존을 위하여 납세자들의 세금인 국고를 매년 수백만 달러씩 지출하자고 주장할만큼 투철한 역사의식과 용기를 가진 의원은 거의 없었습니다. 이후 세월이 좀 더 흐르자 대다수의 미국인들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함정들을 영구보존해야만 할 필요성을 깨닫게 되어, 1974년에 퇴역한 에섹스 급 항공모함인 인트레피드나 몇 번씩이나 퇴역과 재취역을 반복하다가 1992년에 최종적으로 퇴역한 아이오와급 전함인 미주리 등은 해상박물관으로 살아남는 행운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어떻게든 엔터프라이즈를 구하기 위하여 대중적인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해오는 엔터프라이즈 협회와 말만 그럴싸하게 하면서 엔터프라이즈의 영구 보존을 위한 예산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정치적 위험을 무릅쓸 생각은 전혀 없는 의회 사이에 끼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지속적으로 엔터프라이즈의 모스볼 비용만 지출하고 있던 해군은 결국 엔터프라이즈 협회 측과 협상을 시도했습니다. 엔터프라이즈 협회 측도 이미 말과 행동이 다른 의회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엔터프라이즈를 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순순히 해군과의 협상에 임했습니다. 이 협상에서 협회 측은 엔터프라이즈를 구하자는 대중운동을 중단, 해군으로 하여금 엔터프라이즈를 고철로 매각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줌으로써 모스볼 유지에 들어가는 예산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 주기로 합의했습니다. 대신 해군 측은 곧 건조에 들어갈 예정이던 세계 최초의 원자력 항공모함인 CVN-65 에 ‘엔터프라이즈’ 의 함명을 쓰기로 하고, 또한 엔터프라이즈의 어느 부분이든지 협회가 이 위대한 항공모함을 기념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부분은 자유롭게 떼어가서 적당한 기관에 기증하거나 적합한 장소에 옮겨 전시하는 것을 허용했습니다. 또한 엔터프라이즈의 사령탑 부분을 애나폴리스 해군-해병 사관학교의 스터디움에 옮겨서 사관학교 풋볼팀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으나, 예산문제로 취소되고 대신 풋볼 팀을 위한 건물을 ‘엔터프라이즈 타워’로 명명했습니다. 엔터프라이즈에서 근무했던 사람들을 위시한 많은 사람들이 새러토가가 해중원폭실험에 동원되어 사라진 지금, 태평양 전쟁에 처음부터 끝까지 참전했고, 세계 해전사상 최대의 전과를 올린 함정으로서 역사적 가치로 따져볼 때 콘스티튜션, 빅토리, 콘스텔레이션에 결코 떨어지지 않는 엔터프라이즈를 예산 몇 푼 아끼려고 한낱 고철로 처분하려는 의회와 해군에 대하여 분통을 터뜨렸으나 어쩔 도리가 없었습니다.

1958년 7월 1일 , 엔터프라이즈는 해체되기 위하여 매각되었습니다. 엔터프라이즈의 해체 작업은 1960년 6월에 끝났습니다. 1984년에 플로리다 주 펜사콜라 해군항공기지의 해군항공박물관에 영구적인 엔터프라이즈 전시실이 마련되어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헌, 사진 및 기타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엔터프라이즈의 종은 미해군사관학교에 있는데 전통적으로 웨스트포인트와의 시합에서 이겼을 때에만 울린다고 합니다. 엔터프라이즈의 고물에 붙어있던 길이 4.8m, 무게 1톤짜리 이름판은 뉴저지주 리버베일의 리틀리그 공원 주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워싱턴 D.C. 의 Washington Navy Yard 에는 엔터프라이즈의 닻 하나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외에도 엔터프라이즈의 물품들 몇 가지가 CVN-65 엔터프라이즈에 보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56. 참고자료

(1)서적

<헨더슨 비행장> 권주혁. 지식산업사, 2001년 <제2차세계대전해전사> 이정수. 남영문화사, 1981년 <타임라이프북스 - 회오리치는 일장기 편, 남태평양전투 편, 필리핀 탈환 편, 태평양 해저전 편, B-29의 일본폭격 편, 일본본토로의 진격 편> 한국일보-타임라이프사, 1981년 <니미츠 전기> 김주식 역, 신서원, 1997년 <승리와 패배- 제8권 과달카날, 제12권 B-29, 제14권 오끼나와, 제16권 가미까제 특공대> 동도문화사, 1982년 <연합함대, 그 출범에서 침몰까지> 박재석 & 남창훈, 가람기획, 2005



오끼나와 해전 (下)


「가미카제」의 최후 대공격전은5월11일 새벽에 있었다. 항공모함의 대공포가 적기 3대를 격추시키는 동안 항모소속의 전투기들은 69대의 적기를 격추시켰다.

그러나 그중 두대는 미셔 제독의 기함인 벙커힐 호에 자폭하기도 하였다. 충돌과 그로인한 화재는 402명을 사망케했고 그중 13명의 참모를 전사케했으며 264명이나 부상을 입혔다. 미셔 중장과 주요참모단은 5월 6일 활동을 재개하였던 엔터프라이즈호와 구축함 잉글리쉬호로 바꿔탔다.

이 공습은 미셔제독의 성미를 건드린 계기가 되었다. 일본군은 공습을 되풀이 하지 않고 또 할 수도 없었기에 그는 「가미카제」를 시도하는 본거지까지 날아가 그 뿌리채 날려 버리기로 결심했다. 5월12일 정오 다음날 아침 일출시 일본 쿠슈로 날아갈수 있도록 대기중이던 항모에 명령을 내렸다.

2개Task Group 58-1과 58-3이 참가되었다. 공격에 앞서 어둠속에서 엔터프라이즈호의 야간 전투원은 야간 공격의 실력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저들은 사실상 중요한 비행장을 거의 모두 강습하여 12 대의 적기를 아군의 피해없이 격추시키며 큐슈섬을 뒤덮었다.

일본군은 미리 항공모함기의 내습을 알았고 그 지역이 쿠슈라는 것도 나중에 알았지만 13번이나 적을 강타한 700회 출격에 더 이상 항거치 못했다. 공격할만한 목표물이 더이상 존재하지 않자 어떤 조종사들은 공업시설이라 보여지는 곳이나 철로를 파괴했다. 공격은 이것이 끝이 아니었다. 이날밤 엔터프라이즈호의 제2파 공격대는 다시 쿠슈와 시고꾸 항 전역을 공격했다. 이들은 47문의 로켓을 발사하고 100파운드 폭탄 7톤을 투하했다. 또한 목표물 지역에서 한개의 Oscar와 3대의 비행기를 주력부대 근방에서 격추했다. 그러자 죽은체 하며 대응을 않고 있던 일본군은 이를 갈며 야만적으로 역습해 왔다. 그들은 어느것이 자기들의 주공격물인가를 곧 입증해 주었다.

약30대 이상의 적비행기가 6시에 Task force주위를 선회하고 있다는 것이 레이다에 잡혔고 몇대의 가미카제가 고사포망을 뚫고 야간전투원 침실과 미셔제독의 기함으로 들어왔다. 그 비행기는 엔터프라이즈 전방 승강기 바로 뒤에 격추하였다. 폭탄은 비행갑판을 꿰뚫고 승강기 밑창에서 폭발하였다. 거대한 승강기를 공중으로 수백 야드나 날려버리고 비행갑판을 거꾸로 뒤집어 엎어 놓았다. 화재가승강기 밑창과 격납고 갑판에서 일어났으나 효과적인 소화작업으로 30분만에 완전 진화되었다.

그러나 미셔 제독은 한번 더 깃발을 옮겨야 했다. 이번에는 Randolph호 함미로 기어오르면서 미셔 제독은 엔터프라이즈 신호사에게 Task force에 메세지를 보내도록 지시하였다. "이보다 더 늙은 대머리에 머리칼은 게속 자랄 것이다"

이틀간에 걸친 쿠슈공략전에서 적기 72대를 공중에서 격추시켰고 73대가 지상에서 불타버렸으며 167대가 크고 작은 피해를 입었다. 뿐만아니라 조병창, 건물, 격납고와 기관차 등이 폭격당했다. TF58은 14대의 비행기를 잃었을 뿐이다.

5월24일, 또다시 TF58은 남부 쿠슈 비행장에 대해서 98대의 소탕전투대를 떠나 보냈다. 「가노요」비행장에서는 날개밑에 폭탄을 장착하고 있는 폭격기 70대를 파괴했다. 얼마 안되는 부차적 공격적 목표물이 발견되었다. 이는 TF가 전번 공격에서 유례 없을만큼 훌륭한 작전을 펼쳤다는 증거물이기도 했다. 아군 비행기는 3대가 떨어졌으며 84대의 적 비행기가 파손되었다. 아군의 피해는「가노요」비행장의 대공포화에 입은 것 뿐이었다.

5월27일 야간에 제5함대는 제3함대로 임무교대 되었다.

사령부에서는 전략전술에 대해서 약간의 변화를 시도했다. 테스크포스는 계속하여 오끼나와를 뒤덮고 쿠슈를 공략했다. 기회있는 대로 전투함들은 섬의 여러 목표물들에 포격하였다. 6월2일과 3일 그리고 6월 8일에 또다시 멕케인은 항모공격을 쿠슈에 감행했다. 두번에 걸친 공습이 모두 소기의 목적을 이루었으나 먼저번의 공습이 매우 치열해서 겨우 77대의 적기를 때려부셨을 뿐이다. 그와 동시에 일본군의 대공화력이 증가되면서 아군기 18대가 희생되었다. 「우리는 일본전투기 훈련소 교관들과 교전했던것 같다」며 대기중에 있는 12명의 조종사 중의 한명이 6월2일 전투에서 귀환하여 보고했다. 「이런 비행법은 나는 처음이야」라며 그는 말을 계속했다. 「놈들은 모든 악조건에서도 편대를 짠단 말이야 저놈들은 고리를 돌려 우리 뒤를 쫓으려고 반대쪽으로부터 줄을 지어 높은 데서 내려 오기 때문에 기관포가 보인단 말이야 그 싸움이 우리가 돌아올 때까지 30분이나 끌었는데 한 20년은 된 것 같아」쿠슈와 가쿠시마 만에 빠진 요크타운 조종사 1명을 PB2Y가 구조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 이를 도와주려고 샹그릴라 조종사 12명이 파견되었을때 문제가 발생하였다.

착륙하려고 애쓰던 PB2Y는 한명을 구하려다 세명을 물속에 빠뜨리고 날개가 물속에 잠겨 들어갔다.

연막을 치고 샹그릴라의 12 조종사는 약 반시간 동안 무사히 그 일대를 돌았으며 반은 다른 구조기가 오기를 기다렸다. 갑자기 머리위로 비행기가 스쳐 지나가는 소리가 들렸다. "마치 하늘이 무너지는 소리 같더군." 적어도 40대가 오렌지색 폭탄을 보이며 1만2천피트 상공에서 퍼부었다. 갈색, 하늘색, 은색의 가지가지 비행기가 폭탄을 투하했다.

'우리는 천우신조의 기회가 있었다' 고 O'Neill 은 말을 이었다. '적은 우리의 수가 많은줄 알고 우리가 겪어온 중 가장 우수한 조종사가 우리에게 달려들었다. 우리는 한데 모여 기지쪽으로 방향을 돌릴 수 밖에 없었다. 우리중의 4대가 급속히 아래로 떨어졌다. 6대가 전투중에 피격되었다. 모두들 다른 전우를 도우려고 노력하였으며 적어도 한명이 희생되었다.

Kennedy의 비행기는 기체 전체가 벌집투성이인데다가 기름이 줄줄 흐르는 상태로 비행을 계속했다.

6월 4일이 되자 폭풍과 노도의 태풍이 시작되자 멕케인은 전 비행작전을 중지케 하고 열대지방으로 태풍을 피하도록 동쪽으로 방향전환했다. 태풍중심을 피하려고 속력을 가했다. 허가를 얻어 클라크는 그의 테스크그룹을 TF-38.4에서 독립적으로 따내어 단독으로 항해했다. 6월5일 아침 7시30분 태풍중심과 그 부근을 통과한 함정들은 가미카제 전부가 노력했던 것보다 더 많은 혹독한 피해를 입었다. 참으로 귀신같은 바람이었다고 그는 회고했다. 구축함 피츠버그는 선수(船首) 100피트가 없어졌다. 구축함 Battlemnore와 Duluth과 Blue는 갑판이 굽었고 Hornet과 Bennington의 비행갑판 앞쪽 25 피트가 붕괴되었다. Pittsburgh, Duiuth와 Blue는 작전이 불가할 정도로 피해를 입었다.

태풍이 지나갔을때 멕케인은 작전을 재개시하였다. 6월8일과 9일에 그는「오끼 노다이도」와「미나미다이도」를 포격토록 휘하 구축함과 전함을 파견시켰으며 가장 우수한 장포사를 배치하였다.

이것이 오끼나와 전투의 마지막 일격이었다.

< 출처 : 해군본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