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Triican/이은성 (작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은성
李恩成
작가 정보
출생일본 도쿄
직업
학력무학(無學)[1]
활동기간1962년 ~ 1988년
장르사극
수상수상문단 참조.
주요 작품
『당신』, 『집념』, 『개국』, 『소설 동의보감』, 『심봤다』

이은성(李恩成, 1936년 ~ 1988년 1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방송 작가이자 영화 시나리오 작가이다.

생애[편집]

어린 시절[편집]

호적상으로 이은성의 출생지는 경상북도 의천이며 작가의 약력에서 잦게 출생지로 표기된다. 그러나 실제 출생지는 일본 도쿄이다. 성장기 또한 의천이 아닌 대전에서 보냈다고 여러 자료에서 언급된다.

이은성은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형제와 어머니와 더불어 살며 가난하게 자랐다고 한다. 가난 속에 국민학교를 마치지 못하고 학업을 마치고 철도 공무원으로 종사하며 가족을 부양했다.

영화 시나리오 작가로서의 활동(1962~1988년)[편집]

방송 작가로서의 활동(1972~1988년)[편집]

그러나 70년대 초엽부터 충무로가 사양길에 접어들고 TV방송이 인기를 얻으면서 이은성은 다른 영화 시나리오 작가들처럼 TV방송 작가로서 활동하게 된다.

TV방송 작가로서의 첫 작품은 TBC의 《아직 끝나지 않았다》로 추정된다.

《집념》(1975~1976)[편집]

개국》(1983)[편집]

소설가로서의 활동 (1988년)[편집]

소설 동의보감[편집]

《아리랑》의 집필과 이른 죽음 (1988년 1월 3일)[편집]

특징[편집]

사극[편집]

민초에 대한 초점[편집]

왕성한 활동력[편집]

작품 (극본)[편집]

영화[편집]

드라마[편집]

작품명 방영기간 방송국 비고
아직 끝나지 않았다 1966.10.18~1967.01.29
(총 89회)
TBC
대원군 1972.02.01~10.28
(총 228회)
MBC 일일연속극. 흥선 대원군의 생애를 극화.
명인백선 1972.10.27~ KBS 역사적으로 빛을 남긴 인물을 매주마다 극화.[2]
자유무대 1회
"야전병원"
1973.01.18, 01.25
(총2회)
MBC 단막극. 반공물로서 단막극을 시도하나
2번째 시리즈부터는 4~6회의 연속극으로 환원.[3]
세종대왕 1973.02.05~10.06 KBS 일일연속극. 대본이 보존되어 있다.
강감찬 1973.10.08~1974.01.09[4] KBS 일일연속극. 대본이 보존되어 있다.
충의 1974.10.27~ KBS 일요연속극. 신숙주의 고뇌를 극화.[5][6]
성춘향 1974.04.01~05.24
(총 40회)
MBC 일일연속극. 춘향전을 TV드라마로 각색.
시청자 엽서모집으로 주연 양정화와 하명중을 선정함.[7] 대본이 보존되어 있다.
가갸거겨 1975.08.15 MBC 광복30주년 특집극. 현대판 꺼비딴리의 일대기를
그린 시대물.[8] 대본이 보존되어 있다.
집념 1975.09.22~1976.04.09
(총 143회)
MBC 허준의 생애와 동의보감을 소재로 한 드라마. 75년도 한국 영화연극상 TV부문 작품상 수상, 김무생(허준역) 남우주연상 수상.[9]
예성강 1976.04.12~06.11
(총 45회)
MBC 일일연속극. 화약제조로 유명한 고려말 무장 최무선을 소재로 한 드라마. 국난극복 드라마 시리즈의 첫번째 작품. 1976.05.04 방영회차 일부가 보존된 것으로 추정.[10][11]
가족 1976.06.16~09.18 KBS 일일연속극. 변두리 제재소를
무대로 한 가족들의 홈 드라마.[12]
소나기 1976.06.25 MBC 6.25전쟁 특집극.
거상 임상옥 1976.10.18~1977.01.29
(총 89회)
MBC 일일연속극. 인삼부호 임상옥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
83회가 보존되어 있음.[13]
미명 1976.11.07~1977.04.03 KBS 주말단막극.
해룡 뭍에서 바다로[14] 1977.04.18 KBS 충무공탄신일 특집극. 이순신의 어린 시절을 위주로 다뤘다고 한다. 소실되었음.
일요사극 맥(脈)
"불을 빚는 사람들"
1977.08.28~09.18
(4부작)
KBS 단막극. 일본으로 끌려온 도공들을 소재로 함.
2, 3부 보존되었음.
5부작 연속극
"다도해"
1977.10.17~10.21
(총 5회)
KBS 5부작 일일연속극.
5부작 연속극
"밤이 없는 사람들"
1977.10.31~11.04
(총 5회)
KBS 5부작 일일연속극.
5부작 연속극
"갈뫼마을 사람들"
1977.11.07~11.11
(총 5회)
KBS 5부작 일일연속극.
행복의 문 1977.12.05~12.30
(총 20회)
KBS 실화극장.
일요사극 맥(脈)
"토정 선생"
1978.02.05 KBS 단막극. 토정 이지함의 생애를 극화.
꺼비딴리 1978.02.28 MBC 3.1절 특집극. 이광용 원작의 동명의 소설을 각색함.[15]
물안개 1978.04.03~07 KBS 5부작 일일연속극.
일요사극 맥(脈)
"광개토대왕"
1978.07.16, 23
(2부작)
KBS 단막극. 광개토대왕의 생애를 극화.
기러기 1978.07.25~12.31?
1978.09.25~1979.03.24?
KBS 일일연속극.
달아 달아 밝은 달아 1978.11.07 MBC 창사 특집. 심마니를 소재로 함.[16][17]
하늘과 땅 사이 1979.03.01~03.03 TBC 3.1절 특집극. 3.1운동으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민족 수난사를 다룸.[18]
전설의 고향
"정선 아리랑"
1979.04.17 KBS 고려를 멸망시킨 이성계의 조선을 거부해 정선으로 옮겨온 일곱 선비들을 다룸.[19] 보존되어 있음.
소망 1979.05.07~09.08
(총 106회)
MBC 일일연속극. 대동여지도를 그린 김정호의 일대기를 다룬 사극. 106회가 보존되어 있다고 함.[20]
일요사극 맥(脈)
"하늘가는 밝은 길이"[21]
1979.12.16, 23 KBS 맥 성탄특집극. 단막극. 병인박해를 극화.[22] 보존되어 있음.[23]
동녀(童女) 미사[24] 1980.03.16~09.30 TBC 일일연속극. 남사당 패거리에서 의녀로 거듭나는 미사의 일대기.
의친왕 1980.08.13~08.15
(3부작)
MBC 8.15 특집극. 고종의 아들 의친왕의 일대기.
제 7회 방송대상 연출상 수상. 보존되어 있음.[25]
일요극장
"달리는 사람들"
1980.12.21~1981.04.19 KBS1 주간연속극.
기업과 기업인의 실상과 허상을 그린 기업 드라마.[26]
TV문학관
"아리랑 아리랑"
1981.01.29 KBS1 단막극.
일제 말엽을 배경으로 민족의 정서와 한을 그렸다 함.[27]
일요사극
"신필 한석봉"
1981.04.29 KBS1 단막극. 한석봉의 성장기를 극화.
TV문학관
"등신불"
1981.05.23 KBS1 단막극. 김동리 원작 소설의 각색.[28]
얼어붙은 바다 1981.08.15 KBS1 8.15 특집극. 한 일본 여기자의 한일 앙금 청산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그림.[29]
TV문학관
"사라진 것을 위하여"
1981.09.26 KBS1 단막극. 이문열 원작 소설의 각색.[30]
TV문학관
"무명"
1982.02.20 KBS1 단막극. 이광수 원작 소설의 각색.[31]
TV문학관
"심마니"
1982.02.27 KBS1 단막극. 산삼을 소재로 인간의 욕망과 허무를 그림.[32]
TV문학관
"독짓는 늙은이"
1982.05.01 KBS1 단막극. 황순원 원작 소설을 각색.[33]
한미 수교 100주년 특집
"재너럴 셔먼호"
1982.05.17~18
(2부작)
MBC 한미수교 특집극.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다룸.
보존되어 있음.[34]
한미 수교 100주년 특집
"신미양요"
1982.05.19~20
(2부작)
MBC 한미수교 특집극. 신미양요, 한미수호를 다룸.
보존되어 있음.[35]
한미 수교 100주년 특집
"서재필"
1982.05.21~22
(2부작)
MBC 한미수교 특집극. 서재필의 생애를 다룸.
보존되어 있음.[36]
개국(開國) 1983.01.02~12.08
(총 49회)
KBS1 KBS 대하 드라마. 여말선초를 배경으로 공민왕의 귀국에서 이성계의 등극까지의 기간을 극화. 전회 보존되어 있으나 현존 49회는 거의 2시간이 분실된 상태이다.[37]
TV문학관
"단독강화"
1983.01.29 KBS1 단막극. 선우휘 원작 소설을 각색.[38]
한국인의 재발견 시리즈
"광대가(廣大歌)"
1983.03.23~25 MBC 신춘특집극. 한국인의 재발견 시리즈 2화. 판소리의 대가 신재효의 일대기를 극화. 전작제 도입으로 주목받았다.[39] 보존되어 있음.
TV문학관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1983.04.02 KBS1 단막극. 주요섭 원작 소설을 각색.[40]
토정 이지함 1984.01.01 MBC 신년 특집극. 토정 이지함의 생애를 극화.
보존되어 있음.
KBS 미니 시리즈
"아리랑 별곡"[41]
1984.3.29, 3.30[42]
(2부작)
KBS1 KBS 미니 시리즈 2편. 조선초 두문동 72현 전설을 소재로 한 드라마. <개국>의 후속편.[43]
1988.03.31, 04.01에 KBS2에서 재방영.[44]
TV문학관
"한라산"
1984.05.12 KBS1 단막극. 오승찬 원작 소설을 각색.
사랑하는 사람들 1984.06.04~1985.04.19 KBS1 일일연속극.
8.15 문제작 시리즈
"인간의 벽"
1985.08.17 KBS1 일본 통치에 대해 향수를 갖는 학도병 관점을 재조명.
여심 1986.04.14~12.26 KBS1 일일연속극. 최초의 전작제 드라마. 야외제작 시도.[45]
TV문학관
"수초의 노래"
1986.05.31 KBS1 단막극.[46]
TV문학관
"단독강화"
1986.06.14 KBS1 단막극. 낙오된 국군과 인민군의 인간애를 다룸.[47]
TV문학관
"동행"
1986.10.18 KBS1 단막극.[48]
베스트셀러 극장
"녹"
1987.04.19 MBC 단막극. 김승수 원작을 각색.[49]
드라마 게임
"구석기 시대"
1987.06.05 KBS2 단막극.
베스트셀러 극장
"두 눈의 호수"
1988.11.20 MBC 단막극.
두 석양 1989.01.04~06
(총 3회)
KBS1 신년특집극.[50]

소설[편집]

원작[편집]

영화[편집]

드라마[편집]

수상[편집]

영화[편집]

드라마[편집]

각주[편집]

  1. 대전의 모 국민학교를 나왔다는 언급은 있지만 ㅁㅁ의 회고록에 의하면 가난 때문에 5학년만 마치고 끝마쳤다고 하여 졸업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인도 생전에 무학을 자처했다고 한다.
  2. “KBS 나치스治下(치하) 전투間諜(간첩)영화「반역자」”. 조선일보. 1973.02.17. 8면. 2023.09.01에 확인함. 
  3.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3쪽. 
  4. 《TV드라마 편람 제5집》을 비롯한 여러 자료에서 1973.12.31 종영이라 적고 있으나 편성표상 확인되는 최종회는 1974년 1월 9일이다.“TV 프로”. 조선일보. 1974.01.09. 8면. 2023.09.19에 확인함. 
  5.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103쪽. 
  6. 방송문예 12호에 이은성 작가의 충의 기획서가 등제되어 있다. 원래 가제는 《대춘부》였다.《방송문예 12호(2007.3)》 (PDF) (한국방송작가협회). 100-101쪽 http://www.ktrwawebzine.kr/common/pdf/2007/2007-03.pdf?ckattempt=1.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7.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59쪽. 
  8.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74쪽. 
  9.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70-71쪽. 
  10. <TV 속의 TV> 627회에서 보존된 영상 일부를 보여주는데 편성표에서 묘사하는 1976.05.04 회차와 굉장히 유시하다.“드디어 굉음과 함께… MBC「예성강」(水(수)밤8시25분)”. 경향신문. 1976.05.04. 8면. 2023.09.11에 확인함. 
  11. 영상이 존재함은 <MBC 프로그램 목록집>에서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여기서도 구체적인 회차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MBC 所藏 프로그램목록집 : 창사-1985 1》. MBC방송문화연구소. 1992. 149쪽. 
  12.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215쪽. 
  13. 《MBC 所藏 프로그램목록집 : 1986-1988 2-2》. MBC방송문화연구소. 1993. 789쪽. 
  14. <KBS연지 1975.3~1977.12>와 국가기록원에서 보관하고 있는 대본과 콘티의 제목을 기준으로 한다. 조선일보 편성표에서는 <해룡에서 바다로>로 나와있다. 국가기록원에서 보관하고 있는 콘티와 대본은 <해룡 뭍에서 바다로>로 기록하고 있다.“「해룡에서 바다로」”. 조선일보. 1977.04.28. 8면. 2023.09.11에 확인함.  “특집드라마 2 해룡 뭍에서 바다로”. 《국가기록원》. 2023.09.11에 확인함. 
  15.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102쪽. 
  16.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103쪽. 
  17. 방송문예 12호에 이 드라마의 극본이 등제되어 있다《방송문예 12호(2007.3)》 (PDF). 한국방송작가협회. 72-99쪽. 
  18.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02쪽. 
  19. 같은 작가의 <아리랑 별곡> 2부와 스토리가 거의 완벽하게 겹침으로써 리메이크에 해당된다.“◇KBS「전설의 고향」(10시25분)”. 조선일보. 1979.04.17. 8면. 2023.09.08에 확인함. 
  20. 《MBC 所藏 프로그램목록집 : 1986-1988 2-2》. MBC방송문화연구소. 1993. 799쪽. 
  21. 일부 편성표에서는 하늘가는 밝은 달이라 돼있지만 하늘가는 밝은 길이가 맞는 표기다.
  22. “텔레비전 프로”. 조선일보. 1979.12.15. 8면. 2023.09.08에 확인함. 
  23. 다만 上편은 보존 상태가 굉장히 좋은 반면 下편은 오디오 손상이 다소 많고 마지막 6분 가량이 소실된 상태다.
  24. 혹은 《의녀(醫女) 미사》로도 표기된다.
  25. 《MBC 所藏 프로그램목록집 : 1986-1988 2-2》. MBC방송문화연구소. 1993. 799쪽. 
  26.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279쪽. 
  27.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56쪽. 
  28.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59쪽. 
  29.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10쪽. 
  30.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61쪽. 
  31.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64쪽. 
  32.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64쪽. 
  33.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65쪽. 
  34. 《MBC 所藏 프로그램목록집 : 1986-1988 2-2》. MBC방송문화연구소. 1993. 799쪽. 
  35. 《MBC 所藏 프로그램목록집 : 1986-1988 2-2》. MBC방송문화연구소. 1993. 799쪽. 
  36. 《MBC 所藏 프로그램목록집 : 1986-1988 2-2》. MBC방송문화연구소. 1993. 799쪽. 
  37. 당대 신문기사와 편성표를 참고하면 2시간 반 분량이었음이 확인되지만 KBS에서 제공하는 49회는 46분에 불과하다. <개국> 총괄편 3부에서 이성계 낙마, 사전혁파 등 소실된 장면 일부를 볼 수 있다. 내용 자체는 보존된 대본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18일 총 49회로”. 매일경제. 1983.12.10. 9면. 2023.09.12에 확인함. 
  38.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73쪽. 
  39. 정중헌 (1983.03.23). “MBC 試寫會(시사회)거친「廣大歌(광대가)」좋은성과 "졸속"事前(사전)보완‥‥쇼등에 확대”. 조선일보. 12면. 2023.09.01에 확인함. 
  40.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473쪽. 
  41. 오늘날 보존되어 있는 1988년 앙코르 특선 재방영본에서도 제목이 분명히 <아리랑 별곡>이고 1984년 당대 신문에서도 <아리랑 별곡>이라 칭하지만 <KBS 연지>와 <TV드라마 편람>같은 숱한 자료에서는 <정선 아라리>라 칭한다. 국가 기록원에 소장돼 있는 대본이 가제 <정선 아라리>를 씀으로써 생긴 오인으로 추정된다.《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300쪽.  “<KBS 1밤 10.15> 아리랑별곡”. 동아일보. 1984.03.29. 12면. 2023.09.12에 확인함. 
  42. 이은성 작가의 약력에서 보통 1985년 방영으로 기록되지만 실제 방영날짜는 1984년 3월이다. 《TV드라마 편람 제5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300쪽. 
  43. 후속편답게 작중 이성계, 정도전 등은 <개국>의 임동진과 김흥기가 그대로 맡는다.
  44. 오늘날 남아있는 영상은 이 앙코르 특선 재방영본이다. 1984년에 방영한 원본은 소실된 것으로 추정.“MBC 試寫會(시사회)거친「廣大歌(광대가)」좋은성과 "졸속"事前(사전)보완‥‥쇼등에 확대”. 조선일보. 1988.3.31. 16면. 2023.9.2에 확인함. 
  45. 《TV드라마 편람 제6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131쪽. 
  46. 《TV드라마 편람 제6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215쪽. 
  47. 《TV드라마 편람 제6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215쪽. 
  48. 《TV드라마 편람 제6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217쪽. 
  49. 《TV드라마 편람 제6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113쪽. 
  50. 《TV드라마 편람 제6집》. 문화방송 TV제작국 TV제작1부. 15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