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Kirschtaria/체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라국(말라얄람어: സെരാർനാട്ടു 체라낫, 타밀어: சேரர்நாடு 체라나두), 약칭 체라(말라얄람어: ചേര, 타밀어: சேரர்)는 남인도의 말라바르 해안서고츠산맥의 여러 지역을 통일한 힌두 상감 시대의 왕조이다.[1][2]

체라국은 지리적으로 광범위한 인도양 해상 무역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었다. 중동 및 그리스-로마 상인들과 향신료, 특히 후추를 교환한 것은 여러 자료에서 입증된다.[3] [4][5] 초기 역사 시대(기원전 2세기 – 기원전 3세기[5])의 체라인들은 케랄라의 쿠타나드에 원래 중심지를 두었으며 인도양 해안(케랄라)의 무치리(무지리스)와 톤디(틴디스)에 항구를 두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들은 남쪽의 알라푸자와 북쪽의 카사라고드 사이의 말라바르 해안 지역을 통치했다. 코임바토르 주변 지역은 기원전 1세기부터 4세기 사이의 상암 시기에 체라에 의해 지배되었고, 이는 말라바르 해안과 타밀나두 사이의 주요 무역로인 팔라크카드산맥의 동쪽 입구 역할을 했다.[6] 그러나 오늘날 케랄라주의 남부 지역(티루바난타푸람과 남부 알라푸자 사이의 해안 지대)은 마두라이판디아 왕조와 더 관련이 있는 아이 왕조의 지배하에 있었다.[7]

역사적으로 팔라바 이전의 초기 체라 정치는 주로 '목축-농경 겸업'과 '약탈적 정치'에 의해 형성된 '친족 기반 재분배 경제'로 묘사되곤 한다.[5][8] 오래된 타밀 브라흐미 동굴 라벨에 새겨진 일람 카둥고는 페룸 카둔고의 아들이자 이룸포라이 일족의 코 아탄 체랄의 손자로 묘사되어 있다.[9][10] 브라흐미 전설이 새겨진 초상화 동전에는 여러 체라 이름이 나와 있으며,[11] 체라의 상징인 활과 화살이 뒷면에 묘사되어 있다.[11] 초기 상감 문학의 선집은 초기 체라에 대한 정보의 주요 자료이다.[2] 센굿투반은 상감 서사시 실라파티카람의 주요 여성 인물인 칸나키를 둘러싼 전승으로 유명하다.[3] [12] 상감 시대가 끝난 후 기원전 3~5세기경에는 체라족의 세력이 상당히 쇠퇴한 시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3]

콩구나두의 체라 왕조는 중세 초기에 오늘날의 케랄라주 동부와 타밀나두주 서부의 불과 몇 킬로미터를 지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현재 중앙 케랄라와 콩구 체라족은 서기 8~9세기경에 분리되어 체라 페루말 왕국과 콩구 체라 왕국(서기 9~12세기경)을 형성했다.[12] 체라 통치자들의 다양한 분파들 사이의 관계의 정확한 성격은 불분명하다. 그 후, 오늘날의 케랄라주와 콩구나두의 일부 지역은 자치권을 갖게 되었다.[12] 중세 인도 남부의 주요 왕조인 찰루키아, 팔라바, 판디아, 라슈트라쿠타, 촐라 왕조가 콩구 체라를 정복한 것으로 보인다. 콩구 체라는 기원전 10~11세기경에 판디아 정치 체제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페루말 왕국이 해체된 후에도 왕실 비문과 사원 보조금, 특히 케랄라 외부에서 내려온 비문은 이 나라와 국민을 계속해서 "체라 또는 케랄라"로 지칭했다.[13]

케랄라 남부의 콜람 항구에 기반을 둔 베나드(베나드 체라 또는 쿨라세카라)의 통치자들은 자신들의 조상이 페루말족이라고 주장했다.[13][14] 체라나드는 캘리컷의 자모린 왕국에 있던 옛 지방의 이름이기도 했는데, 오늘날의 티루랑가디와 말라푸람구의 티루르 탈루크들 포함하고 있었다.[15] 나중에 말라바르가 영국령 인도의 지배를 받게 되었을 때 이 지역은 말라바르구의 탈루크가 되었다.[15][16] 체라나드 탈루크의 소재지는 티루랑가디 마을이었다.[15][16] 훗날 체라나드 탈루크는 에라나드 탈루크와 통폐합되었다.[16] [[분류:케랄라주의 역사]] [[분류:타밀의 역사]] [[분류:타밀나두주의 역사]] [[분류:인도의 옛 군주국]] [[분류:타밀계 군주]] [[분류:케랄라주의 옛 왕국]] [[분류:힌두 왕조]] [[분류:인도의 왕조]] [[분류:체라 왕국]] [[분류:체라 왕조]]

  1. Karashima 2014.
  2. Zvelebil 1973.
  3. Thapar 2018.
  4. Edward Balfour 1871.
  5. Gurukkal 2015.
  6. Subramanian, T. S (2007년 1월 28일). “Roman connection in Tamil Nadu”. 《The Hindu》. 2013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8일에 확인함. 
  7. KA Nilakanta Sastri
  8. Gurukkal 2002.
  9. Pletcher 2018.
  10. Veluthat 2018.
  11. Majumdar 2016.
  12. Narayanan 2013.
  13. Menon 2007.
  14. Thapar 2004.
  15. Logan, William (2010). 《Malabar Manual (Volume-I)》.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631–666쪽. ISBN 9788120604476. 
  16. C.A., Innes (1908). 《Madras District Gazetteers: Malabar and Anjengo》. Government Press, Madras. 373쪽. 2020년 9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