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배우는사람/문서:인도철학 용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용어[편집]

[편집]

  1. 강게샤 Gangesa[1][2]
  2. 결론 siddhanta[3]
  3. 까마 kama 쾌락 카마[4]
  4. 꾸마리라 브하따 쿠마릴라 바타 Kumarila Bhatta Kumārila Bhaṭṭa[5][6]

[편집]

  1. 나가르주나 Nagarjuna Nāgārjuna 용수(龍樹)[7]
  2. 논박 khandana[8]
  3. 논자의 입장 uttarapaksa[9]
  4. 논증 argument[10]

[편집]

  1. 다르마 dharma 의무[11]
  2. 다르마끼르띠 Dharmakirti 다르마키르티 법칭(法稱)[12]
  3. 다르모따라 Dharmottara[13]
  4. 다르사나 다르샤나 darsana = 철학: 진리와 실재에 대한 비젼[14]
  5. 디그나가 Dignaga 진나(陳那)[15]
  6. 따뜨와 타트바 tattva = 철학: 실재의 본성[16]

[편집]

  1. 라마누자 Ramanuja[17][18]

[편집]

  1. 목샤 moksa 모크샤 해탈[19]

[편집]

  1. 바수반두 Vasubandhu 세친(世親)[20]
  2. 비폭력 아힘사 ahimsa[21]
  3. 쁘라브하까라 프라바카라 Prabhakara Prabhākara[22][23]

[편집]

  1. 상대방의 견해 purvapaksa[24]
  2. 샹카라 샹까라 Samkara[25][26]
  3. 실재 Tattva[27]

[편집]

  1. 아르야데와 Aryadeva 아리야데바(Āryadeva) 제바(提婆)[28]
  2. 아르타 artha 재물[29]
  3. 아힘사 비폭력 ahimsa[30]
  4. 안남브하따 Annambhatta Annaṁbhaṭṭa[31][32]
  5. 월칭(月稱) Candrakirti 찬드라키르티 짠드라끼르띠[33]
  6. 의무 dharma 다르마[34]
  7. 인생의 네 가지 기본적 가치 putusartha puruṣārtha 푸루사르타: 의무 dharma, 재물 artha, 쾌락 kama, 해탈 moksa[35][36][37]
  8. 인식론 pramana-sastra[38]

[편집]

  1. 재물 artha 아르타[39]
  2. 정의 definition[40]
  3. 종교 sadhana sādhana[41]
  4. 짠드라끼르띠 찬드라키르티 Candrakirti 월칭(月稱)[42]

[편집]

  1. 찬드라키르티 짠드라끼르띠 Candrakirti 월칭(月稱)[43]
  2. 철학 philosophy darsana[44]
    1. 철학 = 나와 남을 인도하는 좌표[45]
    2. 철학 = 다르샤나 darsana: 진리와 실재에 대한 비젼[46]
    3. 철학 = 타트바 따뜨와 tattva: 실재의 본성[47]
    4. 철학 = 사물의 본성에 대한 체계적 탐구[48]
    5. 철학 = 사고의 체계 = 사고 체계 = 사변[49]
    6. 철학 = 생활양식[50]
    7. 철학 = 그 민족이 어떻게 세계와 그 자신과 다른 민족을 보는가[51]
  3. 철학자 = 철인: 삶에 반영된 지혜. 철인생활양식은 대중들의 그것과 달라야 한다.[52]

[편집]

  1. 카마 kama 쾌락 까마[53]
  2. 쾌락 kama 카마 까마[54]
  3. 쿠마릴라 바타 꾸마리라 브하따 Kumarila Bhatta Kumārila Bhaṭṭa[55][56]

[편집]

  1. 타트바 따뜨와 tattva = 철학: 실재의 본성[57]

[편집]

  1. 푸루사르타 인생의 네 가지 기본적 가치 putusartha puruṣārtha: 의무 dharma, 재물 artha, 쾌락 kama, 해탈 moksa[58][59]
  2. 프라바카라 쁘라브하까라 Prabhakara Prabhākara[60][61]

[편집]

  1. 해탈 moksa 목샤 모크샤[62]

주석[편집]

  1. 틀:P9
  2. Gangesha Upadhyaya (산스크리트어: गंगेश उपाध्याय, Gaṅgeśa Upādhyāya) (late 12th century) was an Indian mathematician and philosopher from the kingdom of Mithila. He established the Navya-Nyāya ("New Logic") school. His Tattvacintāmaṇi (The Jewel of Thought on the Nature of Things), also known as Pramāṇacintāmaṇi (The Jewel of Thought on the Means of Valid Knowledge), is the basic text for all later developments. The logicians of this school were primarily interested in defining their terms and concepts related to non-binary logical categories.
  3. 틀:P9
  4. 틀:P9
  5. 틀:P9
  6. Kumārila Bhaṭṭa (fl. roughly 700) was a Brahmin philosopher and Mīmāṃsā scholar from Assam. He is famous for many of his seminal theses on Mimamsa, such as Mimamsaslokavarttika. Bhaṭṭa was a staunch believer in the supreme validity of Vedic injunction, a great champion of Pūrva-Mīmāṃsā and a confirmed ritualist. The Varttika is mainly written as a subcommentary of Sabara's commentary on Jaimini's Purva Mimamsa Sutras. His philosophy is classified by some scholars as existential realism.
  7. 틀:P9
  8. 틀:P9
  9. 틀:P9
  10. 틀:P9
  11. 틀:P9
  12. 틀:P9
  13. 틀:P9
  14. 틀:P9
  15. 틀:P9
  16. 틀:P9
  17. 틀:P9
  18. Ramanuja (traditionally, 1017–1137 CE) was a Hindu theologian, philosopher,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exponent of the Sri Vaishnavism tradition within Hinduism. He was born in a Tamil Brahmin family in the village of Sriperumbudur, Tamil Nadu. His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devotionalism were influential to the Bhakti movement.
  19. 틀:P9
  20. 틀:P9
  21. 틀:P9
  22. 틀:P9
  23. Prabhākara (active c. 7th century) was an Indian philosopher-grammarian in the Mīmāṃsā tradition. His views and his debate with Kumārila Bhaṭṭa led to the Prābhākara school within Mimamsa. Śālikanātha wrote commentaries on Prabhākara in the 8th century.
  24. 틀:P9
  25. 틀:P9
  26. Adi Shankara (pronounced [aːd̪i ʃəŋkəɾə]; early 8th century CE) was a philosopher and theologian from India who consolidated the doctrine of Advaita Vedanta. He is credited with unifying and establishing the main currents of thought in Hinduism.
  27. 틀:P9
  28. 틀:P9
  29. 틀:P9
  30. 틀:P9
  31. 틀:P9
  32. This is a list of teachers of Nyaya (including Navya-Nyāya), one of the six astika Hindu philosophical systems.
    1. Akṣapāda Gautama
    2. Vātsyāyana
    3. Udyotakara
    4. Jayanta Bhatta
    5. Vācaspati Miśra
    6. Bhāsavarajña
    7. Udayana
    8. Gangeśa Upādhyāya
    9. Vardhamāna Upādhyāya
    10. Pakṣadhara Miśra
    11. Vāsudeva Sārvabhauma
    12. Padmanābha Miśra
    13. Raghunātha Śiromaṇi
    14. Janakinath Bhattacharya
    15. Kanad Tarkavagish
    16. Rambhadra Sārvabhauma
    17. Haridas Bhattacharya
    18. Mathuranath Tarkavagish
    19. Jagadish Tarkalankar
    20. Gadadhar Bhattacharya
    21. Annaṁbhaṭṭa
    22. Viśvanātha
    23. Radhamohan Vidyavachaspati Goswami
    24. Kalishankar Siddhantavagish (1781-1830)
    25. Golaknath Nyayaratna (1807-1855)
  33. 틀:P9
  34. 틀:P9
  35. 틀:P9
  36. Puruṣārtha (pronunciation: /pʊrʊʃɑːrθ/, Sanskrit पुरुषार्थ) literally means an "object of human pursuit". It is a key concept in Hinduism, and refers to the four proper goals or aims of a human life. The four puruṣārthas are Dharma (righteousness, moral values), Artha (prosperity, economic values), Kāma (pleasure, love, psychological values) and Mokṣa (liberation, spiritual values).
  37. 힌두교도는 삶의 세 가지 중요한 목표를 설정하여 일생을 매진한다. 첫째는 아르타(Artha), 아르타는 '유일'이란 뜻으로 정치나 전쟁. 가정과 국가의 번영을 의미한다. 인도인은 일생에서 이 아르타를 중요한 목표로 삼는다. 둘째는 카마(Kama), 즉 에로스, 사랑을 추구한다. 사랑은 후손을 낳기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삶의 윤활유가 된다. 그러기에 인도의 사원에는 성행위를 형상화한 미투나(Mithuna, 성행위를 묘사한 인도의 조각이나 회화)가 노골적으로 전시되고 있는 것이다. 셋쩨는 목샤(Moksa), 즉 해탈(解脫)을 추구한다. 윤회의 사슬에서 해방되어 진정한 자유의 경지에 진입하는 것을 꿈꾸는 것이다. 이 세 가지 목표를 향해 인도인은 다르마(Darma, 法)에 충실한 삶을 살고자 노력한다. 다르마는 두 가지 차원으로 살펴볼 수 있다. 개인적인 차원과 사회적인 차원이 그것인데, 개인적인 차원은 아슈라마(Asrama)이론, 즉 인생의 단계설로 정리되고, 사회적인 차원은 바르나(Varna), 즉 카스트 이론으로 정리된다. 아슈라마는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는 데 네 단계를 밟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첫째가 범행기(梵行期, Brahmacarya)인데, 심신의 훈련과 단련의 시기이다. 어린 시절 배움의 시기를 생각하면 되겠다. 둘째 단계는 가주기(家住期, Garhastya)이다. 이 시기는 가장으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할 시기로, 혼인하여 자식을 낳고, 또 그 자식을 출가시킬 때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셋째 단계는 임서기(林棲期, Vanaprasthya)이다. 이때부터는 영적인 훈련을 하는 시기로 고행과 명상을 통해서 깨달음을 얻도록 노력해야 하는 시기이다. 마지막 단계는 유행기(流行期, Samnyasa)로서, 삶을 정리하면서 해탈의 길을 걷는 시기이다. 이렇게 보면 힌두교는 불교나 자이나교에 비해 현세 지향적임을 알 수 있다. 궁극적으로 해탈을 지향하는 것이 옳지만, 현실적으로 여론을 주도하는 장년기까지는 지극히 현세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이 정당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불교나 자니아교 등 비교적 현실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부정하는 종교가 인도인의 의식을 끝내 붙잡지 못했던 이유는 아닐까? 인도신화기행 129-132 http://wno1.tistory.com/504
  38. 틀:P9
  39. 틀:P9
  40. 틀:P9
  41. 틀:P9
  42. 틀:P9
  43. 틀:P9
  44. 틀:P9
  45. 틀:P9
  46. 틀:P9
  47. 틀:P9
  48. 틀:P9
  49. 틀:P9
  50. 틀:P9
  51. 틀:P9
  52. 틀:P9
  53. 틀:P9
  54. 틀:P9
  55. 틀:P9
  56. Kumārila Bhaṭṭa (fl. roughly 700) was a Brahmin philosopher and Mīmāṃsā scholar from Assam. He is famous for many of his seminal theses on Mimamsa, such as Mimamsaslokavarttika. Bhaṭṭa was a staunch believer in the supreme validity of Vedic injunction, a great champion of Pūrva-Mīmāṃsā and a confirmed ritualist. The Varttika is mainly written as a subcommentary of Sabara's commentary on Jaimini's Purva Mimamsa Sutras. His philosophy is classified by some scholars as existential realism.
  57. 틀:P9
  58. 틀:P9
  59. Puruṣārtha (pronunciation: /pʊrʊʃɑːrθ/, Sanskrit पुरुषार्थ) literally means an "object of human pursuit". It is a key concept in Hinduism, and refers to the four proper goals or aims of a human life. The four puruṣārthas are Dharma (righteousness, moral values), Artha (prosperity, economic values), Kāma (pleasure, love, psychological values) and Mokṣa (liberation, spiritual values).
  60. 틀:P9
  61. Prabhākara (active c. 7th century) was an Indian philosopher-grammarian in the Mīmāṃsā tradition. His views and his debate with Kumārila Bhaṭṭa led to the Prābhākara school within Mimamsa. Śālikanātha wrote commentaries on Prabhākara in the 8th century.
  62. 틀:P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