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록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녹주에서 넘어옴)

박록주
朴綠珠
기본 정보
본명박명이
출생1905년 2월 28일(1905-02-28)
대한제국 경상북도 선산군
사망1979년 5월 26일(1979-05-26)(74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별여성
거주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업국악인
장르한국 전통 음악
활동 시기1916년~1978년
웹사이트박녹주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명창 박록주 기념사업회

박록주(朴綠珠(박녹주), 본명박명이(朴命伊), 1905년 2월 28일~1979년 5월 26일)는 대한민국의 판소리 대명창이다. 본명박명이(朴命伊), 호는 춘미(春眉)로 대한제국 경상북도 선산군에서 태어났다. 록주는 예명이다.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로, 12세부터 소리를 배우기 시작해 박기홍에게서 판소리를 배웠고 1925년을 전후한 20여세 때 1900년대 초기의 명창으로 불리던 송만갑에게 사사했다. 협률사(協律社)에서 활약하다가 남원에 내려가 김정문에게 <흥보가>를 배웠고 김창환)에게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를 배웠다. 정정렬에게서 <춘향가>를 배웠다. 조선성악연구회·조선창극단·대한국악원 등 판소리계의 일선에서 활약하여 왔다. <흥보가> <춘향가>에 장(長)하고 <춘향가>는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동편제의 꿋꿋한 창법을 간직하고 있다. 판소리 보존연구회 회장 역임.

1928년부터 음반을 취입하여 판소리 음반을 많이 남겼다. 판소리, 창극 등에 능하였으며, 해방 후에는 판소리 교육과 보존에 힘을 쏟았다. 흥보가춘향가의 판소리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서편제가 다수였던 판소리계에서 동편제의 국보적 존재로 많은 제자를 남겼다.

약력[편집]

가족 관계[편집]

  • 아버지: 박재보(朴在普, 1937년 1월 19일(1937-01-19) 하세. - 개명하기 이전의 이름은 박중근(朴重根).)
  • 어머니: 권순이(權順伊) ... 박재보(朴在普)의 재혼 계배 부인
    • 배다른 큰언니 : 박씨 ... 박재보(朴在普)의 사별 초배 부인 유일무이 소생
    • 동복 작은언니 : 박씨
    • 본인: 박록주(朴綠珠(박녹주) - 본명박명이(朴命伊))

박록주 판소리의 특징[편집]

  • 동편제
성량이 풍부하고, 남성적이고 깔끔한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소리를 바탕으로, 박기홍·송만갑·김정문 등 동편제의 거장에게 흥보가나 심청가등을 전수받았고, 특히 능했던 흥보가에 이러한 동편제의 특징이 그대로 스며들었다. 고향인 경상도 중서부내륙의 사투리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도 특징으로, 이러한 동편제 판소리에 독특함을 부여하고 있다.
정노식 “성량이 거대하여 광대의 본색을 발휘하여 장래의 촉망을 붙이거니와 모즈락스럽게 맺고 끊는 점이 그 특색을 보인다.”[3]
이옥천 “통이 크고 박력이 있으며 부드럽다기보다는 꿋꿋하며 맺고 끊음이 무섭다.”
한농선 “편안하고 포근한 느낌을 주며 우람한 성음이 돋보이는 것이 특기라 할 수 있고 소리를 진행하는 속도가 요즘처럼 느리지 않고 거뜬거뜬하다.”
정성숙 “소릿길이 정대하며 엄한 데가 있다. 서슬 시퍼렇게 몰아치는 창법이 특기다. 진중하면서도 시원한 느낌을 준다.”[4]
  • 흥보가
흥보가·심청가·춘향가·숙영낭자전 등의 여러 가지 판소리와 무용, 단가, 창극 등에 능하였지만 특히 흥보가에 능하였다. 1964년에는 국가무형문화재 5호 판소리에 춘향가만 지정되었으므로 춘향가 기능보유자로 등록되었다가, 1973년에 흥보가 기능보유자로 다시 지정되었다. 박록주의 판소리 중에서는 흥보가만 계승되고 있으며, 계보는 다음과 같다.
  • 변형
박록주의 소리는 여러 명창에게서 전수된 특징을 그대로 받으면서도, 흥보가 등에서 자신의 소리와 성격에 맞게 변형해 이끌었다. 그러한 결과 박타령·제비노정기 등 흥보가 전반에서 다른 계보로 전승된 동편제 판소리와 비교할 때, 추가된 부분이나 빠진 부분이 자주 나타난다.

에피소드[편집]

  • 박록주보다 3살 연하였던 소설가 김유정이 박록주를 광적으로 짝사랑했으며[5] 훗날 김유정은, 자신의 소설 〈두꺼비〉와 〈생의 반려〉에서 박록주와 유사한 존재를 그려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개명하여 박재보(朴在普).
  2. 개명하기 이전의 이름은 박중근(朴重根)
  3.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1940년.
  4. 이상 3인은 노재명, 《판소리 음반 걸작선》, 삼호출판사, 1997년.
  5. (이 또한 지금 같은 현대 같으면 스토킹이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