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효인(金孝印, ? ~ 1253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후손[1]이며, 김방경(金方慶)의 아버지이다.

생애[편집]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어 글씨를 잘 썼으며, 1208년(희종 4) 문과에 급제했다.

1224년(고종 11) 대관서승(大官署丞)·보문각교감(寶文閣校勘)으로서 『보경사원진국사비 寶鏡寺圓眞國師碑』의 글씨를 썼다.

1231년(고종 18) 몽골인 2명이 항복을 권유하는 첩문을 휴대하고 평주(平州)[2]로 찾아왔다가 수감되었는데, 이 때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서 평주에 파견되어 몽골인들에게 첩문의 내용을 물었다.[3]

1235년(고종 22) 중서사인(中書舍人)·지제고(知制誥)로서 『월남사지진각국사비 月南寺址眞覺國師碑』의 글씨를 썼다.

1250년(고종 37) 좌승(左丞)으로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김응문(金應文)·이행검(李行儉) 등 40명을 급제시켰다.[4]

이후 관직이 병부상서(兵部尙書)·한림학사(翰林學士)·충사관수찬관(充史館修撰官)·지제고에 이르렀으며, 1253년(고종 40) 졸했다.[3]

사후, 아들 김방경(金方慶)이 부귀해지자 중서령(中書令)에 추증되었다.[5]

평가[편집]

『고려사』는 김효인의 성품에 대해 그의 아들인 김방경의 열전에서 '엄숙하고 굳셌다'고 평했다.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도 '예자(隸字, 예서)를 잘 썼으며, 문장과 사업(事業)이 한 시대에 걸출하여 실력을 중외(中外)에 드날렸다.'라고 극찬을 마지않았다.

기타[편집]

『동문선』에 '삼일포(三日浦) 단서석(丹書石)'이라는 칠언절구(七言絶句) 1수가 전한다.

刻碑鐫碣古猶多 / 비와 갈을 새기는 일은 옛날에도 많았지만
蘚食塵侵字轉訛 / 이끼가 먹고 티끌이 침노해 글자는 갈수록 알아볼 수 없나니
爭似指頭千載血 / 어찌 손가락 끝의 천재의 피로
一淪山石不銷磨 / 한 번 산돌들 적셔 없어지지 않음 만하랴

가족 관계[편집]

  • 증조 - 김이청(金利請)[6]
    • 조부 - 김의화(金義和)[5] : 영가군사호(永嘉郡司戶), 증(贈)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 아버지 - 김민성(金敏成/金敏誠)[7] : 행장야서승(行掌冶署丞)·직사관(直史館), 증 우복야(右僕射)
      • 어머니 - 미상
        • 형 - 김효후(金孝候)[6]
        • 형 - 김창(金敞, ? ~ 1256년)[8] : 초명 김효공(金孝恭), 수태사(守太師)·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 문간공(文簡公)
        • 부인 - 원흥진부사(元興鎭副使)·낭장(郎將) 송기(宋耆)의 딸[5]
          • 장자 - 김방경(金方慶, 1212년 ~ 1300년)[7] : 판도첨의사사사(判都僉議使司事)·상장군(上將軍)·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세자사(世子師), 상락군개국공(上洛郡開國公), 충렬공(忠烈公)
          • 삼자 - 김현경(金玄慶, ? ~ ?)[9] : 문하시중(門下侍中), 충순공(忠順公)
          • 첫째 사위 - 강빈(姜份)[7]
          • 둘째 사위 - 권천(權闡)[7]

각주[편집]

  1. 정확히 몇대손인지는 설이 다양하여, 정확하지 않다
  2. 지금의 황북 평산군
  3. 『고려사』, 「고종세가」
  4. 『고려사』, 「선거지」
  5. 『김방경 묘지명』
  6. 『씨족원류』
  7. 『고려사』, 「김방경전」
  8. 『고려사』, 「김창전」에 조카가 김방경이라는 기록이 있다.
  9. 수성백 문혜공 신도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