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귀윗수염박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긴귀윗수염박쥐
긴귀윗수염박쥐
긴귀윗수염박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박쥐목
과: 애기박쥐과
속: 윗수염박쥐속
종: 긴귀윗수염박쥐
(M. evotis)
학명
Myotis evotis
(H. Allen, 1864)

학명이명

Vespertilio evotis H. Allen, 1864
Vespertilio chrysonotus J. A. Allen, 1896
Myotis milleri Elliot, 1903
Myotis micronyx Nelson & Goldman, 1909

긴귀윗수염박쥐의 분포

긴귀윗수염박쥐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긴귀윗수염박쥐(Myotis evotis)는 애기박쥐과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이다. 캐나다 서부와 미국 서부,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에서 발견된다.[1]

특징[편집]

긴귀윗수염박쥐는 연한 갈색 또는 보리짚색을 띠며 귀와 비막은 검다. 얼굴도 검다. 해안가를 따라 발견되는 표본은 보통 더 검은색을 띠며, 아종 Myotis evotis pacificus로 간주되기도 한다.[2]

분포 및 서식지[편집]

긴귀윗수염박쥐의 분포 지역은 여러 다양한 환경이 포함된다. 해수면과 해발 2830m 사이의 반건조 관목 지대와 짧은 풀이 자라는 대초원 지대, 아고산성 숲 서식지에서 발견된다.[3] 나무 구멍 속과 바위틈, 동굴, 심지어 방치된 건물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곳에서 둥지를 튼다. 바위틈을 좋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북부 분포 지역에서는 폰데로사 소나무와 로지풀 소나무를 좋아한다.[4] 번식을 하는 암컷은 보통 2cm의 좁은 바위틈에 둥지를 튼다. 긴귀윗수염박쥐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바위틈은 수직으로 되어 있고, 입구 위로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무리 전체가 둥지를 가끔 바꾸기도 한다. 둥지는 보통 물가와는 거리가 멀고 바위가 많은 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나무와 풀이 거의 덮여 있지 않다.[5]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6]

윗수염박쥐속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

구대륙 분류군

신대륙 분류군
신북구
분류군

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애리조나윗수염박쥐

작은갈색박쥐, 술꼬리박쥐, 킨윗수염박쥐, 긴귀윗수염박쥐

구북구
분류군

큰수염박쥐, 우수리윗수염박쥐

신열대구
분류군

털다리윗수염박쥐

붉은윗수염박쥐, 벨벳윗수염박쥐, 물가윗수염박쥐, 엘리겐트윗수염박쥐

고기잡이박쥐

회색박쥐, 남동부윗수염박쥐

슈바르츠윗수염박쥐, 도미니카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

동굴윗수염박쥐, 유마윗수염박쥐

칠레윗수염박쥐

은색작은박쥐, 산지윗수염박쥐, 검은윗수염박쥐, 노랑윗수염박쥐

습성[편집]

긴귀윗수염박쥐는 식충성 동물로 강한 어금니와 높은 위치의 관절돌기를 갖고 있어 곤충을 사냥하는 데 특히 유리하다. 높은 관절돌기는 박쥐가 씹는 동안에 더 큰 분쇄력을 갖게 한다. 관절돌기로 많은 딱정벌레에서 발견되는 딱딱한 등딱지를 뚫을 수 있어 유리하다.[7] 긴귀윗수염박쥐는 땅이나 나무에서 먹이를 잡거나 공중에서 사냥을 한다. 공중에서 먹이를 잡을 때는 항상 반향정위 통해 먹이를 탐지한다. 땅에서는 반향정위 신호의 에너지 비용 때문에 반향정위를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낮은 빈도로 사용한다.[8]

각주[편집]

  1. Myotis evot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9.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0년 2월 8일에 확인함. 
  2. Manning, R.; Jones, J. (1989년 5월 12일). “Myotis evotis” (PDF). 《Mammalian Species》 329: 1–5. 2015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6일에 확인함. 
  3. Solick, Donald I.; Barclay, Robert M. R. (2006년 10월 17일).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Western Long-Eared Myotis (Myotis evotis) Populations in Different Environments”. 《Journal of Mammalogy》 87 (5): 1020–1026. doi:10.1644/06-MAMM-A-044R1.1. 2015년 3월 31일에 확인함. 
  4. Chruszcz, B.J.; Barclay, R.M.R. (2002년 3월 13일). “Thermoregulatory ecology of a solitary bat, Myotis evotis, roosting in rock crevices”. 《Functional Ecology》 6 (1): 18–26. doi:10.1046/j.0269-8463.2001.00602.x. 
  5. Rancourt, S.; Rule, M.; O'Connell, M. (2005년 2월 15일). “Maternity Roost Site Selection of Long-Eared Myotis, Myotis evotis”. 《Journal of Mammalogy》 86: 77–84. doi:10.1644/1545-1542(2005)086<0077:mrssol>2.0.co;2. 2015년 4월 6일에 확인함. 
  6. Stadelmann, B., Lin, L.-K., Kunz, T.H. and Ruedi, M. 2007.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subscription required).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1):32–48.
  7. Gannon, W.; Rácz, G. (2006년 2월 20일). “Character Displacement and Ecomorphological Analysis of Two Long-Eared Myotis (M. auriculus and M. evotis)”. 《Journal of Mammalogy》 87 (1): 171–179. doi:10.1644/05-MAMM-A-140R1.1. 
  8. Faure, P.; Barclay, R (May 1994). “Substrate-gleaning versus aerial-hawking: plasticity in the foraging and echolocation behaviour of the long-eared bat, Myotis evotis”. 《Journal of Comparative Physiology A》 174 (5): 651–660. doi:10.1007/BF00217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