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동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관지동맥
중앙 오른쪽에 표시된 기관지동맥
정보
기원내림가슴대동맥
정맥기관지정맥
혈액 공급허파
식별자
라틴어arteriae bronchiales
rami bronchiales partis thoracicae aortae
영어bronchial artery
MeSHD001981
TA98A12.2.11.002
TA24579
FMA68109 71536, 68109

인체 해부학에서 기관지동맥(氣管支動脈, bronchial arteries)은 허파에 영양분과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다. 변이가 많지만 보통 오른허파로 가는 기관지동맥이 하나, 왼허파로 가는 기관지동맥이 두 개로 총 세 개의 기관지동맥이 존재한다.

구조[편집]

보통 왼기관지동맥이 두 개, 오른기관지동맥이 한 개이다.[1]

왼기관지동맥(위, 아래)은 내림가슴대동맥에서 직접 갈라져 나온다.[2]

단 한 개 존재하는 오른기관지동맥은 다음의 동맥들 중 하나에서 갈라져 나온다.

  1. 오른쪽 셋째 뒤갈비사이동맥과 함께 내림가슴대동맥에서 공통 동맥으로 갈라져 나온다.
  2. 왼쪽의 위기관지동맥
  3. 모든 오른쪽 갈비사이동맥 중 하나. 대부분 셋째 오른쪽 뒤갈비사이동맥이다.

기능[편집]

기관지동맥은 허파의 결합조직기관지에 혈액을 공급한다. 기관지를 따라 주행하며 가지를 내고, 호흡세기관지의 수준에서 끝난다. 허파동맥의 가지와 문합하며, 둘은 함께 내장가슴막에 혈액을 공급한다.

기관지동맥이 공급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의 대부분은 기관지정맥이 아닌 허파정맥을 통해 환류한다. 그 결과로 좌심장으로 돌아간 혈액은 허파의 모세혈관계의 혈액보다 산소가 약간 더 적다.

각 기관지동맥은 식도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지가 있다.

허파동맥과 비교[편집]

둘 모두 허파에 혈액을 공급하기 때문에 기관지동맥과 허파동맥은 혼동하기 쉽다. 그러나 두 동맥은 중요한 차이점들이 몇 있다.

동맥 기능 순환 직경
허파동맥 우심실에서 나온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공급 허파순환 비교적 큼
기관지동맥 좌심실에서 나온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 온몸순환 비교적 작음

임상적 중요성[편집]

직경이 2mm보다 큰 경우 기관지동맥이 확장되었다고 간주한다. 기관지동맥이 심하게 팽창되는 경우에는 선천성 심장 또는 허파 질환, 허파동맥의 폐쇄, 허파의 염증 등이 있다.[1]

만성 혈전색전성 폐고혈압이 있는 경우 기관지동맥이 보통 커지며 구불구불해진다.[3]

현대적인 수술 기술을 이용하면 기관지동맥 재연결 없이 문합이 잘 치유된다. 주로 이 때문에 기관지동맥 순환은 폐 이식 중에 희생한다. 대신 기도에 혈액 관류를 유지하기 위해 미세순환에 의존한다. 이 미세순환은 아마 산소가 떨어진 허파순환에서 발생한다.[4]

기관지동맥의 동맥류대동맥류와 비슷할 수 있다.[5] 기관지동맥색전술(BAE)은 기관지동맥으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객혈을 치료하기 위한 시술이다.[6][7] 대부분의 폐 종양은 기관지동맥에 의해 혈액을 공급 받으므로 화학색전술(종양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에 직접 화학요법을 위한 약제를 주입하는 치료)로 치료할 수 있다.[8]

허파동맥이 결찰되거나 색전으로 인해 막혔을 때 폐경색이 일어나는 것은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기관지동맥이 허파에 영양분을 공급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9] 기관지동맥은 폐 조직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 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

참고 문헌[편집]

  1. Marini TJ, He K, Hobbs SK, Kaproth-Joslin K (December 2018). “Pictorial review of the pulmonary vasculature: from arteries to veins”. 《Insights into Imaging》 9 (6): 971–987. doi:10.1007/s13244-018-0659-5. PMC 6269336. PMID 30382495. 
  2. Leslie KO, Wick MR (January 2018). 〈Lung anatomy.〉. Leslie KO, Wick MR. 《Practical Pulmonary Pathology: A Diagnostic Approach》 Thi판. Elsevier. 1–14쪽. doi:10.1016/b978-0-323-44284-8.00001-6. ISBN 978-0-323-44284-8. 
  3. Kauczor HU, Schwickert HC, Mayer E, Schweden F, Schild HH, Thelen M (1994). “Spiral CT of bronchial arteries in chronic thromboembolism”.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Tomography》 18 (6): 855–861. doi:10.1097/00004728-199411000-00002. PMID 7962789. S2CID 25591310. 
  4. Nowak K, Kamler M, Bock M, Motsch J, Hagl S, Jakob H, Gebhard MM (January 2002). “Bronchial Artery Revascularization affects Graft Recovery after Lung Transplantatio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65 (2): 216–20. doi:10.1164/ajrccm.165.2.2012101. PMID 11790658. 
  5. Vernhet H, Bousquet C, Jean B, Lesnik A, Durand G, Giron J, Senac JP (1999). “Bronchial aneurysms mimicking aortic aneurysms: endovascular treatment in two patients”. 《Cardio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22 (3): 254–257. doi:10.1007/s002709900378. PMID 10382061. S2CID 23659854. 
  6. James WE (2019년 1월 1일). 〈Chapter 23 - Nonpharmacological Therapy for Pulmonary Sarcoidosis〉. Baughman RP, Valeyre D. 《Sarcoidosis》. Philadelphia: Elsevier. 277–284쪽. doi:10.1016/b978-0-323-54429-0.00023-9. ISBN 978-0-323-54429-0. S2CID 239263865. 
  7. Garwood S, Strange C, Sahn SA (2008년 1월 1일). 〈Chapter 47 - Massive Hemoptysis〉. Parrillo JE, Dellinger RP. 《Critical Care Medicine》 (영어) Thi판. Philadelphia: Mosby. 929–948쪽. doi:10.1016/b978-032304841-5.50049-2. ISBN 978-0-323-04841-5. 
  8. Boas FE, Kemeny NE, Sofocleous CT, Yeh R, Thompson VR, Hsu M, Moskowitz CS, Ziv E, Yarmohammadi H, Bendet A, Solomon SB (2021). “Bronchial or Pulmonary Artery Chemoembolization for Unresectable and Unablatable Lung Metastases: A Phase I Clinical Trial”. 《Radiology》 301 (2): 474–84. PMID 34463550. 
  9. Fishman AP (September 1961).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pulmonary collateral circulation”. 《Circulation》 (American Heart Association) 24 (3): 677–690. doi:10.1161/01.CIR.24.3.677. eISSN 1524-4539. PMID 1370001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