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대둔사 삼장보살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미 대둔사 삼장보살도
(龜尾 大芚寺 三藏菩薩圖)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2025호
(2019년 6월 26일 지정)
수량1폭
시대조선시대
관리대둔사
주소경상북도 구미시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구미 대둔사 삼장보살도(龜尾 大芚寺 三藏菩薩圖)는 경상북도 구미시 데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19년 6월 2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025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구미 대둔사 삼장보살도'는 1740년(영조 16)에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 제석도(帝釋圖), 현왕도(現王圖), 아미타불도(阿彌陀佛圖)와 함께 조성되어 대둔사에 봉안되었던 작품으로, 이 중 삼장보살도만 유일하게 전해오고 있다. 제작에는 월륜(月輪), 치흠(致欽), 우평(雨平)이 참여하였는데 이들은 직지사 등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승들이었다는 점에서 교유관계와 양식의 전승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작품이다.

세로 238cm, 가로 279cm의 대규모 화면에 천장보살(天藏菩薩)과 지지보살(持地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 등 세 보살의 모임을 묘사한 그림으로 천장보살을 중심으로 높은 수미단(須彌壇) 위에 결가부좌한 세 보살과 각각의 권속이 질서 정연하면서도 짜임새 있게 배치되었다. 이 삼장보살도는 1661년에 간행된『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에 근거하여 18세기 삼장보살도의 새로운 도상을 창출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인 가치가 크다. 특히 16세기 이전으로 올라가는 작품들은 대부분 일본 등 해외에 전해지고 있고 17~18세기 초에 제작된 안동 석탑사 삼장보살도(1699년)나 대구 파계사 삼장보살도(1707년) 조차 도난으로 그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사실에 비추어 18세기 전반 연대를 가진 삼장보살도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유려하면서도 세련된 필치와 안정된 구도, 적색과 녹색이 중심이 된 조화로운 색감 등에서 18세기 전반 불화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1년 후에 조성된 상주 남장사 삼장보살도(1741년)와 함께 18세기 전반 경상북도 지역 삼장보살도의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또한 불화의 조성과 관련된 화기(畵記)가 잘 남아있어, 제작시기와 참여자, 봉안장소 등에 관한 명확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보물로 지정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

각주[편집]

  1. 문화재청고시제2019-79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지정 및 변경), 제19531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9. 6. 26. / 604 페이지 / 922.4KB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