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발칸 제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대 발칸 제어(영어: Paleo-Balkan languages)는 고대 발칸반도와 주변 지역에서 쓰였던 인도유럽어족사어들이다.

고대 그리스어나, 기록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메사피아어프리기아어를 빼면 고대 발칸 제어는 거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연구가 어렵다. 언어학자들은 고대 발칸 제어 각각이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내적 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발칸반도가 그리스화, 로마화, 슬라브화를 겪음에 따라,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고대 발칸 제어의 후손은 현대 그리스어알바니아어뿐이다. 알바니아어는 일리리아어, 다키아어, 트라키아어 또는 그와 관련된 언어의 후손으로 생각된다.[1][2][3]

분류[편집]

하위 분류에 대한 가설[편집]

일리리아어군은 인도유럽어족으로 여겨지는 언어 집단이지만,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나, (일리리아어군에서 분화된 것일 수도 있는) 다른 고대 발칸 언어들과의 관계는 자료 부족으로 알기가 어렵다. 일리리아어군 언어들은 종종 켄툼어로 취급되지만[출처 필요] 사템화의 단서도 보이기 때문에 확실한 것은 아니다. 오늘날 남아 있는 일리리아어에 관한 정보의 출처는 고전 문헌에 언급된 일리리아어 단어 몇 개와 여러 인명, 민족명, 지명, 수명(水名) 등이다.[21]

일리리아어와 메사피아어를 하나로 묶는 가설이 거의 백 년 전에 제기되었지만 증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이 가설은 고전 문헌과 고고학고유명사학적 증거에 바탕을 두고 있다. 메사피아인의 물질문화는 일리리아인의 물질문화와 몇 가지 유사한 점이 있다. 어떤 메사피아어 인명들은 그에 가깝게 대응하는 일리리아어 인명이 있다.

이탈리아 동북부에서 쓰였던 베네티어리부르니아에서 쓰였던 리부르니어를 일리리아어와 묶는 가설도 제안된 바 있다. 현재 학계는 일리리아어가 베네티어나 리부르니어와 상당히 달랐다는 데 의견이 일치하지만[22] 언어학적으로 가까운 관계였다는 가설은 아직 기각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연구되고 있다.

또다른 가설에 따르면 일리리아어는 다키아어트라키아어와 함께 트라키아일리리아어파를 이루며,[23] 그와 대립하는 가설은 일리리아어를 다키아트라키아어파에서 배제하고 대신 미시아어를 포함시킨다.[24] 트라키아어의 분류 자체도 논란과 불확실성이 큰 문제이다.

파이오니아어의 위치도 분명하지 않다.[25] 파이오니아어 연구로 밝혀진 것은 많지 않으며, 어떤 언어학자들은 일리리아어나 트라키아어 지역과 구분되는 파이오니아어 지역을 인정하지 않는다. 한편 프리기아어는 그리스어와 가까운 친척이었을 가능성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26]

고대 마케도니아어의 분류와 그리스어와의 관계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고대 마케도니아어는 도리스 그리스어의 한 변이형이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두 언어가 지역적 언어동조대를 통해서만 서로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27]

알바니아어[편집]

오늘날 언어학자들은 알바니아어가 그리스어가 아닌 발칸 지역의 고대 인도유럽어 중 하나에서 나왔다고 생각한다.[14] 언어학적인 근거뿐 아니라 역사적·지리적 근거를 고려할 때 알바니아어가 고전 고대에 현재의 알바니아와 거의 같은 지역(일리리아)에서 쓰인 일리리아어의 후손이라는 견해가 널리 퍼져 있다. 다른 가설에 따르면 알바니아어는 일리리아어보다 먼 동쪽에서 쓰였던 트라키아어다키아모에시아어파의 후손이라고 한다.[2][3][28] 이 언어들에 관해 알려진 사실은 이러한 가설들을 증명하기에도 반박하기에도 부족한 실정이다.[29]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Simmons, Austin; Jonathan Slocum. “Indo-European Languages: Balkan Group: Albanian”. Linguistics Research Center of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2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8일에 확인함. 
  2. Fortson IV 2011, 446쪽.
  3. Villar 1996, 313–314쪽.
  4. Giannakis, Georgios; Crespo, Emilio; Filos, Panagiotis (2017년 12월 18일). 《Studies in Ancient Greek Dialects: From Central Greece to the Black Sea》 (영어).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8쪽. ISBN 978-3-11-053213-5. 
  5. De Simone 2017, 1868쪽.
  6. Matzinger 2015, 65–66쪽.
  7. Edwards, I. E. S.; Gadd, C. J.; Hammond, N. G. L. (1970).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840쪽. ISBN 978-0-521-07791-0. 
  8. Boardman, John; Edwards, I. E. S.; Hammond, N. G. L.; Sollberger, E. (1970).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6쪽. ISBN 978-0-521-22496-3. Such a lexical difference would, however, be hardly enough evidence to separate Daco-Moesian from Thracian [...] 
  9. Georgiev, Vladimir Ivanov (1977). 《Trakite i technijat ezik》 [Thacian and their Languages] (불가리아어).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282쪽. 
  10. Price, Glanville (2000).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Wiley-Blackwell. ISBN 0-631-22039-9. , p. 120
  11. Orel, Vladimir (2000). 《A Concise Historical Grammar of the Albanian Language: Reconstruction of Proto-Albanian》 (영어). Brill. 12쪽. ISBN 978-90-04-11647-4. 
  12. Matasović, Ranko (2019). 《A Grammatical Sketch of Albanian for Students of Indo European》 (PDF). Zagreb. 39쪽. 
  13. Matzinger 2017, 1790쪽.
  14. Katicic 2012, 184쪽: "And yet we know that it is the continuation of a language spoken in the Balkans already in ancient times. This has been prov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Ancient Greek loan words in Albanian".
  15. Hamp 1963, 104쪽.
  16. Brixhe, Claude (2002). 〈Interactions between Greek and Phrygian under the Roman Empire〉. Adams, J. N.; Janse, M.; Swaine, S. 《Bilingualism in Ancient Society: Language Contact and the Written Text》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4506-2. 
  17. Blažek 2005.
  18. Brixhe 2017, 1863쪽.
  19. Philipp Strazny ed., Encyclopedia of Linguistics, Routledge, 2013, ISBN 1135455228, p. 116.
  20. Olga M. Tomic, Balkan Sprachbund Morpho-Syntactic Features, Volume 67, Springer, 2006, ISBN 1402044887, p. 38.
  21. West, M. L. (2007년 5월 24일).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영어). OUP Oxford. 15쪽. ISBN 978-0-19-928075-9. 
  22. Wilkes, J. J. The Illyrians, 1992, ISBN 0631198075, p. 183,"We may begin with the Venetic peoples, Veneti, Carni, Histri and Liburni, whose language set them apart from the rest of the Illyrians...."
  23. Cf. Paglia, Sorin (2002),"Pre-Slavic and Pre-Romance Place-Names in Southeast Europe."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gress of Thracology', Sofia, Bulgarian Institute of Thracology – Europa Antiqua Foundation -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I, 219–229, who states: "According to the available data, we may surmise that Thracian and Illyrian were mutually understandable, e.g. like Czech and Slovak, in one extreme, or like Spanish and Portuguese, at the other."
  24. Vladimir Georgiev (1960), Raporturile dintre limbile dacă, tracă şi frigiană, "Studii Clasice" Journal, II, 1960, 39-58.
  25. “Paeonia | historical region”. 《Encyclopedia Britannica》 (영어). 2020년 5월 3일에 확인함. 
  26. Brixhe, Cl. "Le Phrygien". In Fr. Bader (ed.), Langues indo-européennes, pp. 165-178, Paris: CNRS Editions.
  27. Masson, Olivier (2003) [1996]. 〈[Ancient] Macedonian language〉. Hornblower, S.; Spawforth A.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revis 3판. USA: Oxford University Press. 905–906쪽. ISBN 0-19-860641-9. 
  28. Katicic 2012, 184–188쪽.
  29. Mallory & Adams 1997, 9쪽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