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전갈자리 AH: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부착 (근거 1, 근거 2)
‎영어 위키백과의 AH Scorpii 문서의 2024년 01월 29일 20시 38분 버전을 참조하였습니다.
태그: m 모바일 웹
1번째 줄: 1번째 줄:
{{항성 정보 시작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항성 정보
| 이름 = 전갈자리 AH
| 이름 = 전갈자리 AH
| 로마자이름 = AH Scorpii
| 역기점 = J2000
}}
| 적경 = {{RA|17|11|17.02114}}<ref name="SIMBAD">{{웹 인용| title = SIMBAD basic query result: AH Scorpii | publisher =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 url = http://simbad.u-strasbg.fr/simbad/sim-id?Ident=V*+AH+Sco&submit=SIMBAD+search | accessdate = 2013-11-23 }}</ref>
{{항성 정보 그림
| 적위 = {{DEC|-32|19|30.7132}}<ref name="SIMBAD" />
| 그림 =
| 별자리 = [[전갈자리]]
{{Location mark
| 분광형 = M4-5Ia-Iab<ref name="SIMBAD" />
|image=Scorpius constellation map.png|alt=|float=center|width=280
| 색지수 = b-v: 5.57<ref name="SIMBAD" />
|label=|position=right
| 변광성 = [[준변광성]]
}}
| 연주시차 = -0.09 밀리초각<ref name="SIMBAD" />
| 그림설명 = 전갈자리 AH의 위치
| 거리 = ~12,000 [[광년]]
}}
| 크기 = 1,287 ~ 1,535 {{태양반경|link=on}}<ref name="torres2013">{{저널 인용
{{항성 정보 관측자료
| last1 = Arroyo-Torres | first1 = B.
| 역기점 = J2000
| last2 = Wittkowski | first2 = M.
| 적경 = {{RA|17|11|17.01945}}<ref name=edr3/>
| last3 = Marcaide | first3 = J. M.
| 적위 = {{DEC|-32|19|30.7140}}<ref name=edr3/>
| last4 = Hauschildt | first4 = P. H.
| 별자리 = [[전갈자리]]
| title = The atmospheric structure and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red supergiants AH Scorpii, UY Scuti, and KW Sagittarii
| 겉보기등급=6.5 - 9.6<ref name=kiss>{{저널 인용|bibcode=2006MNRAS.372.1721K|arxiv=astro-ph/0608438|title=Variability in red supergiant stars: Pulsations, long secondary periods and convection noise|journal=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volume=372|issue=4|pages=1721–1734|last1=Kiss|first1=L. L.|last2=Szabó|first2=Gy. M.|last3=Bedding|first3=T. R.|author3-link= Tim Bedding|year=2006|doi=10.1111/j.1365-2966.2006.10973.x|s2cid=5203133}}</ref>
| doi = 10.1051/0004-6361/201220920
}}
| journal = Astronomy & Astrophysics
{{항성 정보 특성
| volume = 554
| 분류=M4-5 Ia-Iab<ref name=gcvs/>
| pages = A76
| b-v=+2.57<ref name="torres2013" />
| year = 2013
| pmid =
| u-b=
| 변광성=[[준규칙 변광성|SRc]]<ref name=gcvs>{{저널 인용|bibcode=2009yCat....102025S|title=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journal=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volume=1|display-authors=etal|last1=Samus|first1=N. N.|last2=Durlevich|first2=O. V.|year=2009}}</ref>
| pmc =
}}</ref>
}}
{{항성 정보 위치천문
| 표면온도 = ~3500 ± 190 [[켈빈]]<ref name="torres2013">{{저널 인용| last1 = Arroyo-Torres | first1 = B. | last2 = Wittkowski | first2 = M. | last3 = Marcaide | first3 = J. M. | last4 = Hauschildt | first4 = P. H. | title = The atmospheric structure and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red supergiants AH Scorpii, UY Scuti, and KW Sagittarii | doi = 10.1051/0004-6361/201220920 | journal = Astronomy & Astrophysics | volume = 554 | pages = A76 | year = 2013 | pmid = | pmc = |arxiv = 1305.6179 |bibcode = 2013A&A...554A..76A }}</ref>
| 시선속도={{val|-13.40|2.4}}<ref>{{저널 인용|bibcode=2006AstL...32..759G|title=Pu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5 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journal=Astronomy Letters|volume=32|issue=11|pages=759–771|last1=Gontcharov|first1=G. A.|year=2006|doi=10.1134/S1063773706110065|arxiv = 1606.08053 |s2cid=119231169}}</ref>
| 다른 이름 = 전갈자리 AH, AN 223.1907, GSC 07365-00527, HD 155161, HIP 84071, 2MASS J17111702-3219308, IRC -30282, IRAS 17080-3215, RAFGL 1927<ref name="SIMBAD" />
| 적경고유운동={{val|-2.322|0.115}}<ref name=edr3/>
| 적위고유운동={{val|-2.610|0.068}}<ref name=edr3/>
| 연주시차=0.5632
| 시차오차=0.0799
| 연주시차각주=<ref name=edr3/>
| 파섹거리={{val|2,260|190|fmt=commas}}<ref name=chen/>
| 광년거리={{val|7,400|620|fmt=commas}}
| 절대등급=−5.8<ref name=baudry>{{저널 인용|bibcode=1977A&A....54..593B|title=The supergiant OH stars S Per and AH SCO - Conditions for OH emission in circumstellar envelopes|journal=Astronomy and Astrophysics|volume=54|pages=593|last1=Baudry|first1=A.|last2=Le Squeren|first2=A. M.|last3=Lepine|first3=J. R. D.|year=1977}}</ref>
}}
{{항성 정보 상세
| 질량=10<ref name=chen/>
| 광도={{val|330,000|270,000|150,000|fmt=commas}}<ref name="torres2013" />
| 반지름={{val|1,411|124|fmt=commas}}<ref name="torres2013">{{저널 인용 | last1 = Arroyo-Torres | first1 = B. | last2 = Wittkowski | first2 = M. | last3 = Marcaide | first3 = J. M. | last4 = Hauschildt | first4 = P. H. | title = The atmospheric structure and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red supergiants AH Scorpii, UY Scuti, and KW Sagittarii | doi = 10.1051/0004-6361/201220920 | journal = Astronomy & Astrophysics | volume = 554 | pages = A76 | year = 2013 |arxiv = 1305.6179 |bibcode = 2013A&A...554A..76A | s2cid = 73575062 }}</ref>
| 중력=−0.5<ref name="torres2013"/>
| 기온=3,450<ref name=messineo2019>{{저널 인용 |bibcode=2019AJ....158...20M |title=A Catalog of Known Galactic K-M Stars of Class I Candidate Red Supergiants in Gaia DR2 |last1=Messineo |first1=M. |last2=Brown |first2=A. G. A. |journal=The Astronomical Journal |year=2019 |volume=158 |issue=1 |pages=20 |doi=10.3847/1538-3881/ab1cbd |arxiv=1905.03744 |s2cid=148571616 |doi-access=free }}</ref> - 3,682<ref name="torres2013" />
}}
{{항성 정보 분류
| 이름= [[아르겔란더 명명법|AH]]&nbsp;Sco, [[Astronomische Nachrichten|AN]]&nbsp;223.1907, [[Guide Star Catalog|GSC]]&nbsp;07365-00527, [[헨리 드레이퍼 목록|HD]]&nbsp;155161, [[히파르코스 목록|HIP]]&nbsp;84071, [[코르도바 소천성표|CD]]&minus;32°12429, [[2MASS]]&nbsp;J17111702-3219308, [[Two-Micron Sky Survey|IRC]]&minus;30282, [[IRAS]]&nbsp;17080-3215, [[RAFGL]]&nbsp;1927,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AAVSO]]&nbsp;1704-32
}}
{{항성 정보 자료
|Simbad=AH+Sco
}}
{{항성 정보 끝}}

'''전갈자리 AH'''는 [[전갈자리]]에 위치한 [[적색초거성]] [[변광성]]으로, 알려진 [[반지름순 항성 목록|반지름이 가장 큰 별]] 중 하나이며, [[우리 은하]]에서 [[광도 순 항성 목록|가장 광도가 높은]] 적색초거성 중 하나다.

== 거리 ==
전갈자리 AH의 거리는 불확실한 것으로 간주된다. 메이저의 [[VLBI]] 측정은 산소가 풍부한 항성 주위 물질에서 SiO, H<sub>2</sub>O 및 OH [[천체물리학적 메이저|메이저]]의 관측을 기반으로 2,260파섹의 정확한 거리를 제공했다. 메이저는 13km/s의 속도로 별에 접근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시각적 변화의 약 0.55 위상의 전반적인 수축을 나타낸다.<ref name=chen>{{저널 인용|bibcode=2008ApJ...681.1574C|arxiv=0803.1690|title=VLBI Observations of SiO Masers around AH Scorpii|journal=The Astrophysical Journal|volume=681|issue=2|pages=1574–1583|last1=Chen|first1=Xi|last2=Shen|first2=Zhi-Qiang|year=2008|doi=10.1086/588186|s2cid=7603031}}</ref>

== 특성 ==
[[파일:AHScoLightCurve.png|섬네일|left|AAVSO 데이터에 기반한 전갈자리 AH의 [[가시광선|가시광선 대역]] [[광도곡선]]<ref name="aavso"/>]]
전갈자리 AH는 먼지로 둘러싸인 적색초거성이며<ref name=vanloon>{{저널 인용|bibcode=2005A&A...438..273V|arxiv=astro-ph/0504379|title=An empirical formula for the mass-loss rates of dust-enshrouded red supergiants and oxygen-rich Asymptotic Giant Branch stars|journal=Astronomy and Astrophysics|volume=438|pages=273–289|last1=Van Loon|first1=J. Th.|last2=Cioni|first2=M.-R. L.|last3=Zijlstra|first3=A. A.|last4=Loup|first4=C.|year=2005|issue=1|doi=10.1051/0004-6361:20042555|s2cid=16724272}}</ref> 주주기가 714일인 [[준규칙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총 겉보기 등급 범위는 6.5 - 9.6이며<ref name=kiss/> 긴 이차주기가 감지되지 않았다.<ref name=percy>{{저널 인용|bibcode=2009JRASC.103...11P|title=Long Secondary Periods in Pulsating Red Supergiant Stars|journal=Journ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volume=103|pages=11|last1=Percy|first1=John R.|last2=Sato|first2=Hiromitsu|year=2009|issue=1}}</ref> 최대 광도 근방의 전갈자리 AH의 모델링을 통해 유효 온도는 {{val|3,682|190|fmt=commas|u=K}}, 광도는 {{val|330,000|270,000|150,000|fmt=commas|u={{태양광도}}}}로 결정되었다. {{태양반경|{{val|1,411|124|fmt=commas}}}}의 반경은 {{val|5.81|0.15|u=mas}}의 [[시지름]]과 {{val|2.26|0.19|u=kpc}}의 주어진 거리에서 결정되었다.<ref name="torres2013" />
{{clear left}}

== 같이 보기 ==
*[[궁수자리 KW]]
*[[방패자리 UY]]
*[[백조자리 NML]]
*[[큰개자리 VY]]

== 각주 ==
{{각주|refs=

<ref name="aavso">{{웹 인용 |title=Download Data |url=https://www.aavso.org/data-download |website=aavso.org |publisher=AAVSO |access-date=1 October 2021}}</ref>

<ref name=edr3>{{cite Gaia EDR3|5979926504430920192}}</ref>

}}
}}


{{전갈자리}}
'''전갈자리 AH'''는 [[전갈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1만 2천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이 별은 발견된 항성 중 [[반지름순 별 목록|그 크기가 매우 거대한]] 반열에 들어가는데 구체적 크기는 태양의 1287~1535배에 이른다.<ref name="torres2013" />


[[분류:준규칙 변광성]]
이 별은 [[방패-센타우루스자리 팔]] 내에 자리잡고 있다. 전갈자리 AH는 생애의 끝에 이른 적색 초거성으로, 불규칙한 폭발이 일어나면서 밝기가 약 20 퍼센트 증가한다. 별의 반지름 수치는 정확한 값은 아닌데 그 이유는 밝기, 표면온도, 별주위 물질, 짝별 존재 가능성 등 정확한 측정을 어렵게 하는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분류:전갈자리]]
[[분류:M형 초거성]]
[[분류:히파르코스 천체|084071]]
[[분류:헨리 드레이퍼 목록 천체|155161]]
[[분류:2MASS 천체|J17111702-3219308]]
[[분류:항성종족 I]]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4년 4월 23일 (화) 10:04 판

전갈자리 AH
AH Scorpii
전갈자리 AH의 위치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분점 J2000
별자리 전갈자리
적경 17h 11m 17.01945s[1]
적위 -32° 19′ 30.7140″[1]
겉보기등급 (V) 6.5 - 9.6[2]
특성
스펙트럼 종류 M4-5 Ia-Iab[3]
B−V 색지수 +2.57[4]
변광 종류 SRc[3]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Rv)−13.40±2.4[5] km/s
고유운동 (μ) RA: −2.322±0.115[1] mas/yr
Dec.: −2.610±0.068[1] mas/yr
연주 시차 (π)0.5632 ± 0.0799 mas[1]
거리7,400±620 ly
(2,260±190[6] pc)
절대등급 (MV)−5.8[7]
상세
질량10[6] M
반지름1,411±124[4] R
광도330,000+270,000
−150,000
[4] L
표면중력 (log g)−0.5[4] cgs
유효온도3,450[8] - 3,682[4] K
천체 명칭
AH Sco, AN 223.1907, GSC 07365-00527, HD 155161, HIP 84071, CD−32°12429, 2MASS J17111702-3219308, IRC−30282, IRAS 17080-3215, RAFGL 1927, AAVSO 1704-32
데이터베이스 자료
SIMBAD데이터

전갈자리 AH전갈자리에 위치한 적색초거성 변광성으로, 알려진 반지름이 가장 큰 별 중 하나이며, 우리 은하에서 가장 광도가 높은 적색초거성 중 하나다.

거리

전갈자리 AH의 거리는 불확실한 것으로 간주된다. 메이저의 VLBI 측정은 산소가 풍부한 항성 주위 물질에서 SiO, H2O 및 OH 메이저의 관측을 기반으로 2,260파섹의 정확한 거리를 제공했다. 메이저는 13km/s의 속도로 별에 접근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시각적 변화의 약 0.55 위상의 전반적인 수축을 나타낸다.[6]

특성

AAVSO 데이터에 기반한 전갈자리 AH의 가시광선 대역 광도곡선[9]

전갈자리 AH는 먼지로 둘러싸인 적색초거성이며[10] 주주기가 714일인 준규칙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총 겉보기 등급 범위는 6.5 - 9.6이며[2] 긴 이차주기가 감지되지 않았다.[11] 최대 광도 근방의 전갈자리 AH의 모델링을 통해 유효 온도는 3,682±190 K, 광도는 330,000+270,000
−150,000
 L
로 결정되었다. 1,411±124 R의 반경은 5.81±0.15 mas시지름2.26±0.19 kpc의 주어진 거리에서 결정되었다.[4]

같이 보기

각주

  1. Brown, A. G. A.; 외. (Gaia collaboration) (2021). “Gaia Early Data Release 3: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649: A1. arXiv:2012.01533. Bibcode:2021A&A...649A...1G. doi:10.1051/0004-6361/202039657. S2CID 227254300.  (정오표: doi 10.1051/0004-6361/202039657e). 이 출처의 Gaia EDR3 기록 - VizieR.
  2. Kiss, L. L.; Szabó, Gy. M.; Bedding, T. R. (2006). “Variability in red supergiant stars: Pulsations, long secondary periods and convection nois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72 (4): 1721–1734. arXiv:astro-ph/0608438. Bibcode:2006MNRAS.372.1721K. doi:10.1111/j.1365-2966.2006.10973.x. S2CID 5203133. 
  3.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4. Arroyo-Torres, B.; Wittkowski, M.; Marcaide, J. M.; Hauschildt, P. H. (2013). “The atmospheric structure and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red supergiants AH Scorpii, UY Scuti, and KW Sagittarii”. 《Astronomy & Astrophysics》 554: A76. arXiv:1305.6179. Bibcode:2013A&A...554A..76A. doi:10.1051/0004-6361/201220920. S2CID 73575062. 
  5. Gontcharov, G. A. (2006). “Pu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5 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 《Astronomy Letters》 32 (11): 759–771. arXiv:1606.08053. Bibcode:2006AstL...32..759G. doi:10.1134/S1063773706110065. S2CID 119231169. 
  6. Chen, Xi; Shen, Zhi-Qiang (2008). “VLBI Observations of SiO Masers around AH Scorpii”. 《The Astrophysical Journal》 681 (2): 1574–1583. arXiv:0803.1690. Bibcode:2008ApJ...681.1574C. doi:10.1086/588186. S2CID 7603031. 
  7. Baudry, A.; Le Squeren, A. M.; Lepine, J. R. D. (1977). “The supergiant OH stars S Per and AH SCO - Conditions for OH emission in circumstellar envelop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4: 593. Bibcode:1977A&A....54..593B. 
  8. Messineo, M.; Brown, A. G. A. (2019). “A Catalog of Known Galactic K-M Stars of Class I Candidate Red Supergiants in Gaia DR2”. 《The Astronomical Journal》 158 (1): 20. arXiv:1905.03744. Bibcode:2019AJ....158...20M. doi:10.3847/1538-3881/ab1cbd. S2CID 148571616. 
  9. “Download Data”. 《aavso.org》. AAVSO.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10. Van Loon, J. Th.; Cioni, M.-R. L.; Zijlstra, A. A.; Loup, C. (2005). “An empirical formula for the mass-loss rates of dust-enshrouded red supergiants and oxygen-rich Asymptotic Giant Branch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8 (1): 273–289. arXiv:astro-ph/0504379. Bibcode:2005A&A...438..273V. doi:10.1051/0004-6361:20042555. S2CID 16724272. 
  11. Percy, John R.; Sato, Hiromitsu (2009). “Long Secondary Periods in Pulsating Red Supergiant Stars”. 《Journ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103 (1): 11. Bibcode:2009JRASC.103...11P. 

같이 보기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