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엄지벌림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LR0725 (토론 | 기여)
47번째 줄: 47번째 줄:
== 각주 ==
== 각주 ==
{{각주}}
{{각주}}

== 참고 문헌 ==
{{Refbegin|indent=yes}}
* {{Cite journal
| last1 = Aversi-Ferreira | first1 = Tales Alexandre
| last2 = Maior | first2 = Rafael Souto
| last3 = Carneiro-e-Silva | first3 = Frederico O.
| last4 = Aversi-Ferreira | first4 = Roqueline A. G. M. F.
| author5 = Tavares, Maria Clotilde|author6= Nishijo, Hisao|author7= Tomaz, Carlos
| title = Comparative Anatomical Analyses of the Forearm Muscles of Cebus libidinosus (Rylands et al. 2000): Manipulatory Behavior and Tool Use
| journal = PLOS ONE | year = 2011 | volume = 6 | issue = 7/e22165
| pages = e22165 | doi = 10.1371/journal.pone.0022165 | pmc = 3137621 | pmid=21789230
| bibcode = 2011PLoSO...622165A | doi-access = free
}}
* {{Cite journal
| last1 = Bravo | first1 = Elena
| last2 = Barco | first2 = Raul
| last3 = Bullón | first3 = Adrian
| title = Anatomic Study of the Abductor Pollicis Longus: A Source for Grafting Material of the Hand
| journal = Clin Orthop Relat Res |date=May 2010 | volume = 468 | issue = 5 | pages = 1305–1309
| doi = 10.1007/s11999-009-1059-4 | pmc = 2853646 | pmid=19760470
}}
* {{Cite journal
| last1 = Hazani | first1 = Ron
| last2 = Engineer | first2 = Nitin J.
| last3 = Cooney | first3 = Damon
| last4 = Wilhelmi | first4 = Bradon J.
| title = Anatomic Landmarks for the First Dorsal Compartment
| journal = ePlasty | year = 2008 | volume = 8 | issue = e53
| pmc = 2586286 | pmid=19092992 | pages=e53
}}
* {{Cite journal
| last = Le Minor | first = JM
| title = The sesamoid bone of musculus abductor pollicis longus (os radiale externum or prepollex) in primates
| journal = Acta Anat (Basel) | year = 1994 | volume = 150 | issue= 3 | pages = 227–31
| pmid = 7817720 | doi=10.1159/000147623
}}
* {{Cite journal
| last1 = Mehta | first1 = Vandana
| last2 = Arora | first2 = Jyoti
| last3 = Suri | first3 = Rajesh Kumar
| last4 = Rath | first4 = Gayatri
| title = A Rare Quadruplicate Arrangement of Abductor Pollicis Longus Tendons — Anatomical and Clinical Relevance
| journal = Clinics |date=February 2009 | volume = 64 | issue = 2 | pages = 153–155
| doi = 10.1590/S1807-59322009000200014 | pmc = 2666473 | pmid=19219322
}}
* {{Cite journal
| last1 = Michilsens | first1 = Fana
| last2 = Vereecke | first2 = Evie E
| last3 = D'Août | first3 = Kristiaan
| last4 = Aerts | first4 = Peter
| title = Functional anatomy of the gibbon forelimb: adaptations to a brachiating lifestyle
| journal = J. Anat. |date=September 2009 | volume = 215 | issue = 3 | pages = 335–354
| doi = 10.1111/j.1469-7580.2009.01109.x | pmc = 2750765 | pmid=19519640
}}
* {{Cite journal
| last1 = van Oudenaarde | first1 = E
| title =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abductor pollicis longus muscle
| journal = J. Anat. |date=February 1991 | volume = 174 | pages = 221–227
| pmc = 1256056 | pmid=2032936
}}
* {{Cite journal
| last1 = van Oudenaarde | first1 = E
| last2 = Oostendorp | first2 = R A
| title =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bductor pollicis longus and abductor pollicis brevis muscles: an EMG analysis
| journal = J. Anat. |date=June 1995 | volume = 186 | issue = Pt 3 | pages = 509–515
| pmc = 1167009 | pmid=7559124
}}
* {{Cite journal
| last1 = Salesa | first1 = Manuel J.
| last2 = Antón | first2 = Mauricio
| last3 = Peigné | first3 = Stéphane
| last4 = Morales | first4 = Jorge
| title = Evidence of a false thumb in a fossil carnivore clarifies the evolution of pandas
| journal = Proc Natl Acad Sci USA |date=January 2006 | volume = 103 | issue = 2 | pages = 379–382
| doi = 10.1073/pnas.0504899102 | pmc = 1326154 | pmid=16387860
| bibcode = 2006PNAS..103..379S | doi-access = free
}}
* {{Cite journal
| last1 = Tocheri | first1 = Matthew W.
| last2 = Orr | first2 = Caley M.
| last3 = Jacofsky | first3 = Marc C.
| last4 = Marzke | first4 = Mary W. | author4-link=Mary Marzke
| title =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hominin hand since the last common ancestor of Pan and Homo
| journal = J. Anat. |date=April 2008 | volume = 212 | issue = 4 | pages = 544–562
| doi = 10.1111/j.1469-7580.2008.00865.x | pmc = 2409097 | pmid=18380869
}}
{{Refend}}


{{상지의 근육}}
{{상지의 근육}}

2024년 1월 3일 (수) 21:00 판

긴엄지벌림근
아래팔뒤칸 깊은층 근육. 긴엄지벌림근을 화살표로 가리키고 있다.
정보
이는곳자뼈노뼈 뒷면, 뼈사이막
닿는곳첫째손허리뼈 바닥
동맥뒤뼈사이동맥
신경뒤뼈사이신경 (C8, T1)
작용엄지를 벌리고 폄
대항근엄지모음근
식별자
라틴어musculus abductor pollicis longus
영어abductor pollicis longus muscle
TA98A04.6.02.049
TA22517
FMA38515

긴엄지벌림근(abductor pollicis longus, APL) 또는 장무지외전근(長拇指外轉筋)은 의 바깥기원근육(extrinsic muscle) 중 하나로, 아래팔뒤칸 깊은층 근육으로 분류된다. 주된 기능은 손목에서 엄지를 벌리는 것이다. 긴엄지벌림근의 힘줄은 해부학적코담배갑의 앞쪽 경계를 이룬다.

구조

긴엄지벌림근은 손뒤침근 바로 밑에 위치하며, 간혹 손뒤침과 합쳐져 있는 경우도 있다. 자뼈 몸통 뒷면의 가쪽 부분에서 기시한다.[1] 이 이는곳은 팔꿈치근 닿는곳의 아래쪽이다. 또한 아래팔의 뼈사이막, 노뼈 몸통 뒷면의 중간 13 역시 긴엄지벌림근의 기시부 역할을 한다.[2]

아래가쪽으로 비스듬하게 주행한 긴엄지벌림근은 힘줄이 되면서 끝난다. 힘줄은 노뼈 아래쪽 끝의 가쪽 측면에 나 있는 고랑을 통해 주행하며, 이때 짧은엄지폄근의 힘줄을 동반한다.[2]

닿는곳은 먼쪽의 얕은 부분과 몸쪽의 깊은 부분으로 나뉜다. 얕은 부분에서는 하나 이상의 힘줄이 첫째손허리뼈 바닥의 노쪽 부분에 닿는다. 깊은 부분에서는 큰마름뼈, 관절주머니와 그 인대, 짧은엄지벌림근의 힘살, 엄지맞섬근의 힘살 등 다양한 부분에 닿으면서 끝날 수 있다.[3]

신경 분포

긴엄지벌림근은 뒤뼈사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뒤뼈사이신경은 노신경 깊은가지손뒤침근을 지난 뒤 연속되어 형성되는 신경이다. 긴엄지벌림근은 노신경에 가까이 위치한다.[4] 뒤뼈사이신경은 척수신경 분절 C7, C8의 성분에서 유래한다.[5]

혈액 공급

뒤뼈사이동맥이 긴엄지벌림근에 혈액을 공급한다.[6]

추가 이미지

각주

  1. Focks, Claudia; März, Ulrich (2008년 1월 1일), Focks, Claudia, 편집., “Chapter 4 - Acupuncture Points of the Twelve Primary Channels”, 《Atlas of Acupuncture》 (영어)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79–462쪽, doi:10.1016/b978-044310028-4.50007-2, ISBN 978-0-443-10028-4, 2020년 10월 22일에 확인함 
  2. Gray's Anatomy (1918), see infobox
  3. van Oudenaarde & Oostendorp 1995
  4. Bouche, P. (2013년 1월 1일), Said, Gérard; Krarup, Christian, 편집., “Chapter 19 - Compression and entrapment neuropathies”,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Peripheral Nerve Disorders (영어) (Elsevier) 115: 311–366, doi:10.1016/b978-0-444-52902-2.00019-9, ISBN 9780444529022, PMID 23931789, 2020년 10월 22일에 확인함 
  5. “Abductor pollicis longus”. GPnotebook. 2016년 9월 25일에 확인함. 
  6.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PTC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