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관암: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hc9702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Ahc9702 (토론 | 기여)
intro
태그: 시각 편집 동음이의 링크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Short description|Bile duct adenocarcinoma}}{{Infobox medical condition
| name = 담관암
[[파일:ERCP cholangioca.jpg|thumb]]
| synonyms = 복통, 황달, 체중 감소, 전신 가려움증, 발열
'''담관암'''(cholangiocarcinoma)은 담관에 생기는 암이다. 중심성 담관암은 30%에서 절제 가능하다. 주로 수술부위에 국소적으로 재발하지만 약 30%에서는 폐 및 간에 재발한다. 국소 재발이나 수술 경계 부위의 침범이 흔하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수술 후에 보조 방사선치료를 받게 된다.
| image = Cholangiocarcinoma - very high mag.jpg
| width =
| alt =
| caption = 정상 간세포(이미지 왼쪽)에 인접한 간내 담관암(이미지 오른쪽)의 현미경 사진. H&E 염색.
| pronounce = {{IPAc-en|k|ə|,|l|æ|n|dʒ|i|ou|,|k|a:r|s|I|'|n|ou|m|ə|}} {{respell|kə-LAN-jee-oh-KAR-sih-NOH-mə}}<ref name=NCI2019Def/>
| field = [[종양학]]
| symptoms = [[Abdominal pain]], [[jaundice|yellowish skin]], [[weight loss]], [[Pruritis|generalized itching]], fever<ref name=NCI2018Pro/>
| complications =
| onset = 70세<ref name=Lancet2014/>
| duration =
| types = 간내, 간주변, 원위부<ref name=Lancet2014/>
| causes =
| risks =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궤양성 대장염, 특정 간 인플루엔자 감염, 일부 선천성 간 기형
| diagnosis = 현미경으로 종양을 검사하여 확인된 경우<ref name=NCI2018Sym/>
| differential =
| prevention =
| treatment = 외과적 절제,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스텐트 시술, 간 이식
| medication =
| prognosis = 일반적으로 좋지 않음<ref name=WCR2014_5.6/>
| frequency = 연간 100,000명당 1~2명(서구권)<ref name=Brid2016/>
| deaths =
}}



== 같이 보기 ==
'''담관암(Cholangiocarcinoma)은''' [[담관]]에 생기는 [[암]]의 일종이다.<ref name="NCI2019Def">{{cite web|url=https://www.cancer.gov/publications/dictionaries/cancer-terms/def/cholangiocarcinoma|title=cholangiocarcinoma|date=2 February 2011|website=National Cancer Institute|access-date=21 January 2019}}</ref> 담관암의 증상으로는 [[복통]], [[황달]], [[체중 감소]], [[가려움|전신 가려움증]], [[발열]] 등이 있다.<ref name="NCI2018Pro">{{cite web|url=https://www.cancer.gov/types/liver/hp/bile-duct-treatment-pdq#section/all|title=Bile Duct Cancer (Cholangiocarcinoma) Treatment|date=23 September 2020|website=National Cancer Institute|access-date=29 May 2021}}</ref> 밝은 색의 대변이나 어두운 소변도 나타날 수 있다.<ref name="NCI2018Sym">{{cite web|url=https://www.cancer.gov/types/liver/patient/about-bile-duct-cancer-pdq#section/all|title=Bile Duct Cancer (Cholangiocarcinoma)|date=5 July 2018|website=National Cancer Institute|access-date=21 January 2019}}</ref> 다른 담도암으로는 [[담낭암]]과 [[담췌관암]]이 있다.<ref>{{cite journal|title=Biliary tract cancers: SEOM clinical guidelines|journal=Clinical & Translational Oncology|date=December 2015|volume=17|issue=12|pages=982–7|doi=10.1007/s12094-015-1436-2|pmc=4689747|pmid=26607930|display-authors=6|vauthors=Benavides M, Antón A, Gallego J, Gómez MA, Jiménez-Gordo A, La Casta A, Laquente B, Macarulla T, Rodríguez-Mowbray JR, Maurel J|doi-access=free|title-link=doi}}</ref>
* [[간암]]

 

담관암의 위험 요인으로는 [[원발 경화 쓸개관염|원발성 경화성 담관염]](담관의 염증성 질환), [[궤양성 대장염]], [[간경변]], [[C형 간염]], [[B형 간염]], 특정 [[간흡충]] 감염, 일부 선천성 간 기형 등이 있다.<ref name="NCI2018Pro" /><ref name="Lancet2014">{{cite journal|title=Cholangiocarcinoma|journal=Lancet|date=June 2014|volume=383|issue=9935|pages=2168–79|doi=10.1016/S0140-6736(13)61903-0|pmc=4069226|pmid=24581682|vauthors=Razumilava N, Gores GJ|doi-access=free|title-link=doi}}</ref><ref>{{cite journal|title=Thinking beyond Opisthorchis viverrini for risk of cholangiocarcinoma in the lower Mekong reg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journal=Infectious Diseases of Poverty|date=May 2018|volume=7|issue=1|pages=44|doi=10.1186/s40249-018-0434-3|pmc=5956617|pmid=29769113|display-authors=6|vauthors=Steele JA, Richter CH, Echaubard P, Saenna P, Stout V, Sithithaworn P, Wilcox BA|doi-access=free|title-link=doi}}</ref>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식별 가능한 위험 요인이 없다.<ref name="Lancet2014" /> 진단은 [[혈액 검사]], [[의료 영상]], [[내시경]] 검사, 때로는 외과적 탐색의 조합을 기반으로 의심된다.<ref name="NCI2018Sym" /> 이 질병은 현미경으로 종양의 세포를 검사하여 확인한다<ref name="NCI2018Sym" />. 일반적으로 [[선암]](샘을 형성하거나 [[뮤신]]을 분비하는 암)이 원인이다.<ref name="Lancet2014" />

담관암은 일반적으로 진단 시 완치가 불가능하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ref name="NCI2018Pro" /><ref>{{Cite journal|title=A Predictive Model Based on the Gut Microbiota Improves the Diagnostic Effect in Patients with Cholangiocarcinoma|journal=Frontiers in Cellular and Infection Microbiology|last1=Zhang|first1=Tan|last2=Zhang|first2=Sina|year=2021|volume=11|page=751795|doi=10.3389/fcimb.2021.751795|pmc=8650695|pmid=34888258|display-authors=3|last3=Jin|first3=Chen|last4=Lin|first4=Zixia|last5=Deng|first5=Tuo|last6=Xie|first6=Xiaozai|last7=Deng|first7=Liming|last8=Li|first8=Xueyan|last9=Ma|first9=Jun|last10=Ding|first10=Xiwei|last11=Liu|first11=Yaming|last12=Shan|first12=Yunfeng|last13=Yu|first13=Zhengping|last14=Wang|first14=Yi|last15=Chen|first15=Gang|doi-access=free|last16=Li|first16=Jialiang}}</ref> 이러한 경우 [[완화 치료]]에는 [[수술 (의학)|외과적 절제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스텐트]] 시술이 포함될 수 있다.<ref name="NCI2018Pro" /> [[총담관낭|총담관]]에 발생한 경우 약 1/3에서, 다른 위치에 발생한 경우에는 드물게 수술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여 완치할 수 있다.<ref name="NCI2018Pro" /> 수술적 제거에 성공한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이 권장된다.<ref name="NCI2018Pro" /> 경우에 따라 수술에 [[간 이식]]이 포함될 수 있다.<ref name="Lancet2014" /> 수술이 성공하더라도 5년 생존율은 일반적으로 50% 미만이다.<ref name="Brid2016">{{cite journal|title=Biliary Tract Cancer: Epidemiology, Radiotherapy, and Molecular Profiling|journal=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Educational Book.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nnual Meeting|date=2016|volume=35|issue=36|pages=e194-203|doi=10.1200/EDBK_160831|pmid=27249723|vauthors=Bridgewater JA, Goodman KA, Kalyan A, Mulcahy MF|doi-access=free}}</ref>

담관암은 [[서구]]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며, 연간 10만 명당 0.5~2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ref name="NCI2018Pro" /><ref name="Brid2016" /> [[간흡충]]이 흔한 [[동남아시아]]에서는 발병률이 더 높다.<ref name="WCR2014_5.6">{{cite book|url=https://publications.iarc.fr/_publications/media/download/5839/bc44643f904185d5c8eddb933480b5bc18b21dba.pdf|title=World Cancer Report|last1=Bosman|first1=Frank T.|date=2014|editor1-last=Stewart|editor1-first=Bernard W.|editor2-last=Wild|editor2-first=Christopher P|publisher=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World Health Organization|pages=403–12|chapter=Chapter 5.6: Liver cancer|isbn=978-92-832-0443-5}} {{open access}}</ref> [[태국]] 일부 지역의 발병률은 연간 10만 명당 60명이다.<ref name="WCR2014_5.6" /> 일반적으로 70대에 발생하지만,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환자의 경우 40대에도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ref name="Lancet2014" /> 서구에서는 간 내 담관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ref name="Brid2016" />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2023년 10월 26일 (목) 13:20 판

담관암
다른 이름복통, 황달, 체중 감소, 전신 가려움증, 발열
정상 간세포(이미지 왼쪽)에 인접한 간내 담관암(이미지 오른쪽)의 현미경 사진. H&E 염색.
발음
진료과종양학
증상Abdominal pain, yellowish skin, weight loss, generalized itching, fever[2]
통상적 발병 시기70세[3]
유형간내, 간주변, 원위부[3]
위험 인자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궤양성 대장염, 특정 간 인플루엔자 감염, 일부 선천성 간 기형
진단 방식현미경으로 종양을 검사하여 확인된 경우[4]
치료외과적 절제,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스텐트 시술, 간 이식
예후일반적으로 좋지 않음[5]
빈도연간 100,000명당 1~2명(서구권)[6]


담관암(Cholangiocarcinoma)은 담관에 생기는 의 일종이다.[1] 담관암의 증상으로는 복통, 황달, 체중 감소, 전신 가려움증, 발열 등이 있다.[2] 밝은 색의 대변이나 어두운 소변도 나타날 수 있다.[4] 다른 담도암으로는 담낭암담췌관암이 있다.[7]

 

담관암의 위험 요인으로는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담관의 염증성 질환), 궤양성 대장염, 간경변, C형 간염, B형 간염, 특정 간흡충 감염, 일부 선천성 간 기형 등이 있다.[2][3][8]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식별 가능한 위험 요인이 없다.[3] 진단은 혈액 검사, 의료 영상, 내시경 검사, 때로는 외과적 탐색의 조합을 기반으로 의심된다.[4] 이 질병은 현미경으로 종양의 세포를 검사하여 확인한다[4]. 일반적으로 선암(샘을 형성하거나 뮤신을 분비하는 암)이 원인이다.[3]

담관암은 일반적으로 진단 시 완치가 불가능하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2][9] 이러한 경우 완화 치료에는 외과적 절제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스텐트 시술이 포함될 수 있다.[2] 총담관에 발생한 경우 약 1/3에서, 다른 위치에 발생한 경우에는 드물게 수술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여 완치할 수 있다.[2] 수술적 제거에 성공한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이 권장된다.[2] 경우에 따라 수술에 간 이식이 포함될 수 있다.[3] 수술이 성공하더라도 5년 생존율은 일반적으로 50% 미만이다.[6]

담관암은 서구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며, 연간 10만 명당 0.5~2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6] 간흡충이 흔한 동남아시아에서는 발병률이 더 높다.[5] 태국 일부 지역의 발병률은 연간 10만 명당 60명이다.[5] 일반적으로 70대에 발생하지만,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환자의 경우 40대에도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3] 서구에서는 간 내 담관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6]

외부 링크

  1. “cholangiocarcinoma”.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년 2월 2일. 2019년 1월 21일에 확인함. 
  2. “Bile Duct Cancer (Cholangiocarcinoma) Treatment”. 《National Cancer Institute》. 2020년 9월 23일.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 
  3. Razumilava N, Gores GJ (June 2014). “Cholangiocarcinoma”. 《Lancet》 383 (9935): 2168–79. doi:10.1016/S0140-6736(13)61903-0. PMC 4069226. PMID 24581682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069226 |PMC=은 제목을 필요로 함 (도움말). 
  4. “Bile Duct Cancer (Cholangiocarcinoma)”.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8년 7월 5일. 2019년 1월 21일에 확인함. 
  5. Bosman, Frank T. (2014). 〈Chapter 5.6: Liver cancer〉. Stewart, Bernard W.; Wild, Christopher P. 《World Cancer Report》 (PDF).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World Health Organization. 403–12쪽. ISBN 978-92-832-0443-5.  오픈 액세스로 게시된 글 -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
  6. Bridgewater JA, Goodman KA, Kalyan A, Mulcahy MF (2016). “Biliary Tract Cancer: Epidemiology, Radiotherapy, and Molecular Profiling”.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Educational Book.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nnual Meeting》 35 (36): e194–203. doi:10.1200/EDBK_160831. PMID 27249723. 
  7. Benavides M, Antón A, Gallego J, Gómez MA, Jiménez-Gordo A, La Casta A, 외. (December 2015). “Biliary tract cancers: SEOM clinical guidelines”. 《Clinical & Translational Oncology》 17 (12): 982–7. doi:10.1007/s12094-015-1436-2. PMC 4689747. PMID 26607930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689747 |PMC=은 제목을 필요로 함 (도움말). 
  8. Steele JA, Richter CH, Echaubard P, Saenna P, Stout V, Sithithaworn P, 외. (May 2018). “Thinking beyond Opisthorchis viverrini for risk of cholangiocarcinoma in the lower Mekong reg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fectious Diseases of Poverty》 7 (1): 44. doi:10.1186/s40249-018-0434-3. PMC 5956617. PMID 29769113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956617 |PMC=은 제목을 필요로 함 (도움말). 
  9. Zhang, Tan; Zhang, Sina; Jin, Chen; 외. (2021). “A Predictive Model Based on the Gut Microbiota Improves the Diagnostic Effect in Patients with Cholangiocarcinoma”. 《Frontiers in Cellular and Infection Microbiology》 11: 751795. doi:10.3389/fcimb.2021.751795. PMC 8650695. PMID 34888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