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블라스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4번째 줄: 54번째 줄:


== 약리학 ==
== 약리학 ==
[[빈카 알칼로이드]]로, [[빈크리스틴]]과 화학적으로 유사하다.<ref name="Ravina_2011">{{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iDNy0XxGqT8C&pg=PA157|title=The evolution of drug discovery: from traditional medicines to modern drugs|date=2011|판=1|publisher=Wiley-VCH|page=157|isbn=9783527326693|vauthors=Ravina E}}</ref>
[[빈카 알칼로이드]]로, [[빈크리스틴]]과 화학적으로 유사하다.<ref name="Ravina_2011">{{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iDNy0XxGqT8C&pg=PA157|title=The evolution of drug discovery: from traditional medicines to modern drugs|date=2011|판=1|publisher=Wiley-VCH|page=157|isbn=9783527326693|vauthors=Ravina E}}</ref> [[튜불린]] 중합을 억제한다.<ref name="altmann">{{cite book|title=The Epothilones: An Outstanding Family of Anti-Tumor Agents: From Soil to the Clinic|year=2009|publisher=[[슈프링어]]|pages=157–220|chapter=Preclinical Pharmacology and Structure-Activity Studies of Epothilones|isbn=9783211782071|chapter-url=https://books.google.com/books?id=FfCfFgWenSAC&pg=PA158|veditors=Mulzer JH|vauthors=Altmann KH}}</ref>


== 역사 ==
== 역사 ==
로버트 노블과 찰스 비어는 일일초에서 처음 빈블라스틴을 분리했다. 1965년에 [[FDA]] 승인을 받았다.
로버트 노블과 찰스 비어는 일일초에서 처음 빈블라스틴을 분리했다. 1965년에 [[FDA]] 승인을 받았다.

== 같이 보기 ==
* [[독소루비신]]


== 각주 ==
== 각주 ==

2023년 9월 11일 (월) 16:19 판

빈블라스틴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다이메틸(2β,3β,4β,5α,12β,19α)-15-[(5S,9S)-5-에틸-5-하이드록시-9-(메톡시카보닐)-1,4,5,6,7,8,9,10-옥타하이드로-2H-3,7-메타노아자사이클로운데시노[5,4-b]인돌-9-일]-3-하이드록시-16-메톡시-1-메틸-6,7-다이디하이드로아스피도스퍼미딘-3,4-다이카복실레이트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865-21-4
ATC 코드 L01CA01
PubChem 241903
드러그뱅크 DB00570
ChemSpider 211446
화학적 성질
화학식 C46H58N4O9 
분자량 810.989g/mol
SMILES eMolecules & PubChem
유의어 빈카류코블라스틴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간 (CYP3A4 매개)
생물학적 반감기 24.8시간 (최종)
배출 담즙 및 콩팥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D(오스트레일리아)D(미국)
법적 상태
투여 방법 정맥 주사

빈블라스틴(Vinblastine) 또는 상표명 벨반(Velban)은 여러 유형의 을 치료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이다. 여기에는 호지킨 림프종, 비소세포성 폐암, 방광암, 뇌암, 흑색종고환암이 포함된다. 정맥 주사로 투여된다. 세포 분열을 저해함으로써 작용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간의 부작용을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감각 변화, 변비, 쇠약, 식욕 부진, 두통을 유발한다.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낮은 적혈구 수와 호흡곤란이 있다. 세균 감염이 있는 사람에게 투여해서는 안 된다. 임신 중에 사용하면 아기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1]

빈블라스틴은 1958년에 분리되었다. 주류 의약품으로 개발된 천연 약초 치료제의 예로, 원래 일일초(Catharanthus roseus)에서 얻었다.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기재되어 있다.[2]

약리학

빈카 알칼로이드로, 빈크리스틴과 화학적으로 유사하다.[3] 튜불린 중합을 억제한다.[4]

역사

로버트 노블과 찰스 비어는 일일초에서 처음 빈블라스틴을 분리했다. 1965년에 FDA 승인을 받았다.

각주

  1.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vinBLAStine (Monograph)”. 《Drugs.com》. 
  2. 세계보건기구 (2023). 《The selection and use of essential medicines 2023: web annex A: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3rd list (2023)》. 세계보건기구. hdl:10665/371090. 
  3. Ravina E (2011). 《The evolution of drug discovery: from traditional medicines to modern drugs》 1판. Wiley-VCH. 157쪽. ISBN 9783527326693. 
  4. Altmann KH (2009). 〈Preclinical Pharmacology and Structure-Activity Studies of Epothilones〉. Mulzer JH. 《The Epothilones: An Outstanding Family of Anti-Tumor Agents: From Soil to the Clinic》. 슈프링어. 157–220쪽. ISBN 9783211782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