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KAPE: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새 문서: '''ESKAPE'''은 독력이 강하고 항생제 내성을 많이 가지는 여섯 종류의 병원균을 가리키는 두문자어이다. 여섯 종류의 세균은 각각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e''),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엔테로박터(''Ente...
(차이 없음)

2023년 2월 24일 (금) 10:20 판

ESKAPE독력이 강하고 항생제 내성을 많이 가지는 여섯 종류의 병원균을 가리키는 두문자어이다. 여섯 종류의 세균은 각각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e),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엔테로박터(Enterobacter)이다.[1] 이 세균들은 시간이 갈수록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MDR)이 늘어나고 있어, 흔히 사용되는 항생제의 작용에서 빠져나갈(escape) 수 있다.[1] 이 때문에 ESKAPE에 속한 세균들은 전 세계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원내감염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인데, 특히 면역결핍 상태의 환자나 중증 환자에서 감염의 위험이 가장 크다.[2] 녹농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은 의료 시설에서 발견되는 미생물막에 가장 흔히 발견되는 세균이다.[3] 녹농균은 그람 음성간균으로 장내세균총이나 토양, 물 등에서 흔히 살면서 의료 시설에 있는 환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전파될 수 있다.[4][5] 병원균들은 의료 장비, 손, 다양한 물건의 표면 등을 오염시켜서 전파되기도 한다. 기회감염을 일으키는 병원균들은 입원한 환자들에서 폐렴 등의 폐 감염, 혈액 감염, 비뇨계 감염, 수술 후의 기타 다른 신체 부위 감염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5] 황색포도상구균은 그람 양성구균으로, 자연 환경에도 서식하며 많은 건강한 사람들의 피부와 코에도 살고 있다.[6] 황색포도상구균이 체내로 침입하면 피부와 뼈의 감염, 폐렴, 그 외 잠재적으로 심각할 수 있는 여러 감염병을 일으킬 수 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많은 항생제에 내성을 얻은 상태기 때문에 치료가 어려워지고 있다.[6] 세균은 여러 선택압을 받으면서 유전자 돌연변이로 내성이 발생하거나, 수평적 유전자 이동을 통해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획득하기도 한다.[7]

참고 문헌

  1. Mulani MS, Kamble EE, Kumkar SN, Tawre MS, Pardesi KR (2019). “Emerging Strategies to Combat ESKAPE Pathogens in the Era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 Review”. 《Frontiers in Microbiology》 (영어) 10: 539. doi:10.3389/fmicb.2019.00539. PMC 6452778. PMID 30988669. 
  2. Rice LB (April 2008). “Federal funding for the study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nosocomial pathogens: no ESKAPE”.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97 (8): 1079–81. doi:10.1086/533452. PMID 18419525. 
  3. Høiby N, Bjarnsholt T, Givskov M, Molin S, Ciofu O (April 2010). “Antibiotic resistance of bacterial biofilm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35 (4): 322–32. doi:10.1016/j.ijantimicag.2009.12.011. PMID 20149602. 
  4. Santajit S, Indrawattana N (2016년 5월 5일). “Mechanism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ESKAPE Pathogens”.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6: 2475067. doi:10.1155/2016/2475067. PMC 4871955. PMID 27274985. 
  5. CDC (2019). “Antibiotic Resistance Threats in the United States.” (PDF).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6. Taylor TA, Unakal CG (2020). 〈Staphylococcus Aureus〉.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28722898. 2020년 11월 13일에 확인함. 
  7. Madigan MT, Bender KS, Buckley DH, Sattley WM, Stahl SA. 2015.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5th ed. London, UK: Pearson (Global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