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테로박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엔테로박터
트립티케이스 소이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엔테로박터 클로아카
트립티케이스 소이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엔테로박터 클로아카
생물 분류ℹ️
계: 세균계
문: 프로테오박테리아문
강: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목: 장내세균목
과: 장내세균과
속: 엔테로박터
학명
Enterobacter
Hormaeche & Edwards 1960

학명이명

Cloaca Castellani & Chalmers, 1919
Aerobacter Hormaeche & Edwards, 1958

엔테로박터(Enterobacter)는 장내세균과에 속한 한 이다. 엔테로박터에 속한 세균들은 그람 음성이며 조건혐기성이고, 모양은 막대 모양을 한 간균이며 아포를 형성하지 않는다.[1] 엔테로박터에 속한 여러 균주들이 병원성을 띄며, 면역손상 상태(입원 등)거나 기계환기 중인 숙주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주로 배설계호흡계가 감염 부위가 된다. 한편 엔테로박터는 대장균군에 속하나, 대장균 등과는 달리 분원성 대장균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엔테로박터 세균들이 담즙염이 존재할 때 44.5°C에서 생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엔테로박터의 일부 종은 정족수 감지를 할 수 있다.[2][3]

엔테로박터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종으로 엔테로박터 클로아카(E. cloacae)가 있다.

생화학적 특징[편집]

엔테로박터속은 35~37°C의 담즙염과 세정제가 있는 환경에서 락토오스를 발효시켜 가스를 만들 수 있다. 산화효소 음성, 인돌 음성이며 유레이스 시험의 결과는 편차가 있다.[3][4]

치료[편집]

치료는 그 지역의 항생제 내성 수준에 따라 다르다. 4세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인 세페핌,[5] 카바페넴의 일종인 이미페넴 등을 종종 치료에 쓸 수 있다.[4] 아미카신과 같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도 아주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퀴놀론계 항생제는 치료 시 대안이 될 수 있다.[4]

참고 문헌[편집]

  1. Adeolu, M.; 외. (2016). “Genome based phylogeny and taxonomy of the 'Enterobacteriales': proposal for Enterobacterales ord. nov. divided into the families Enterobacteriaceae, Erwiniaceae fam. nov., Pectobacteriaceae fam. nov., Yersiniaceae fam. nov., Hafniaceae fam. nov., Morganellaceae fam. nov., and Budviciaceae fam.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66 (12): 5575–5599. doi:10.1099/ijsem.0.001485. PMID 27620848. 
  2. Tan, Wen-Si; Muhamad Yunos, Nina Yusrina; Tan, Pui-Wan; Mohamad, Nur Izzati; Adrian, Tan-Guan-Sheng; Yin, Wai-Fong; Chan, Kok-Gan (2014년 6월 13일). “Freshwater-Borne Bacteria Isolated from a Malaysian Rainforest Waterfall Exhibiting Quorum Sensing Properties”. 《Sensors》 14 (6): 10527–10537. Bibcode:2014Senso..1410527T. doi:10.3390/s140610527. PMC 4118381. PMID 24932870. 
  3. Cabral, JPS (2010). “Water Microbiology. Bacterial Pathogens and Water.”.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7 (10): 3657–3703. doi:10.3390/ijerph7103657. PMC 2996186. PMID 21139855. 
  4. Russo Thomas A, Johnson James R, "Chapter 143. Diseases Caused by Gram-Negative Enteric Bacilli" (Chapter). Fauci AS, Braunwald E, Kasper DL,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Loscalzo J: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7e: http://www.accessmedicine.com/content.aspx?aID=2894446.[깨진 링크]
  5. Lee, Nan-Yao; Lee, Ching-Chi; Li, Chia-Wen; Li, Ming-Chi; Chen, Po-Lin; Chang, Chia-Ming; Ko, Wen-Chien (2015년 12월). “Cefepime Therapy for Monomicrobial Enterobacter cloacae Bacteremia: Unfavorable Outcomes in Patients Infected by Cefepime-Susceptible Dose-Dependent Isolates”.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영어) 59 (12): 7558–7563. doi:10.1128/AAC.01477-15. ISSN 0066-4804. PMC 4649147. PMID 2641685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