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기관지동맥: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새 문서: {{해부학 정보 | 종류 = 동맥 | 이름 = 기관지동맥 | 영어 = bronchial artery | Latin = arteriae bronchiales<br>rami bronchiales partis thoracicae aortae | Image = Gray1032.png | Caption = 중앙 오른쪽에 표시된 기관지동맥 | 기원 = 내림가슴대동맥 | BranchTo = | Vein = 기관지정맥 | Supplies = 허파 }} 인체 해부학에서 '''기관지동맥'''(氣管支動脈, bronc...
 
LR072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Supplies = [[허파]]
| Supplies = [[허파]]
}}
}}
인체 [[해부학]]에서 '''기관지동맥'''(氣管支動脈, bronchial arteries)은 [[허파]]에 영양분과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다. [[해부학적 변이|변이]]가 많지만 보통 오른허파와 왼허파로 가는 기관지동맥이 하나씩, 개의 기관지동맥이 존재한다.
인체 [[해부학]]에서 '''기관지동맥'''(氣管支動脈, bronchial arteries)은 [[허파]]에 영양분과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다. [[해부학적 변이|변이]]가 많지만 보통 오른허파로 가는 기관지동맥이 하나, 왼허파로 가는 기관지동맥이 두 개로 개의 기관지동맥이 존재한다.

== 구조 ==
보통 왼기관지동맥이 두 개, 오른기관지동맥이 한 개이다.<ref name="Marini 2018">{{cite journal | vauthors = Marini TJ, He K, Hobbs SK, Kaproth-Joslin K | title = Pictorial review of the pulmonary vasculature: from arteries to veins | journal = Insights into Imaging | volume = 9 | issue = 6 | pages = 971–987 | date = December 2018 | pmid = 30382495 | pmc = 6269336 | doi = 10.1007/s13244-018-0659-5 }}</ref>

왼기관지동맥(위, 아래)은 [[내림가슴대동맥]]에서 직접 갈라져 나온다.<ref>{{cite book | vauthors = Leslie KO, Wick MR | chapter = Lung anatomy. | title = Practical Pulmonary Pathology: A Diagnostic Approach | edition = Third | date = January 2018 | pages = 1–14 | veditors = Leslie KO, Wick MR |publisher=Elsevier |doi=10.1016/b978-0-323-44284-8.00001-6 |isbn=978-0-323-44284-8 }}</ref>

단 한 개 존재하는 오른기관지동맥은 다음의 동맥들 중 하나에서 갈라져 나온다.
# 오른쪽 셋째 [[뒤갈비사이동맥]]과 함께 [[내림가슴대동맥]]에서 공통 동맥으로 갈라져 나온다.
# 왼쪽의 위기관지동맥
# 모든 오른쪽 [[갈비사이동맥]] 중 하나. 대부분 셋째 오른쪽 뒤갈비사이동맥이다.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22년 12월 31일 (토) 03:38 판

기관지동맥
중앙 오른쪽에 표시된 기관지동맥
정보
기원내림가슴대동맥
정맥기관지정맥
혈액 공급허파
식별자
라틴어arteriae bronchiales
rami bronchiales partis thoracicae aortae
영어bronchial artery
MeSHD001981
TA98A12.2.11.002
TA24579
FMA68109 71536, 68109

인체 해부학에서 기관지동맥(氣管支動脈, bronchial arteries)은 허파에 영양분과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다. 변이가 많지만 보통 오른허파로 가는 기관지동맥이 하나, 왼허파로 가는 기관지동맥이 두 개로 총 세 개의 기관지동맥이 존재한다.

구조

보통 왼기관지동맥이 두 개, 오른기관지동맥이 한 개이다.[1]

왼기관지동맥(위, 아래)은 내림가슴대동맥에서 직접 갈라져 나온다.[2]

단 한 개 존재하는 오른기관지동맥은 다음의 동맥들 중 하나에서 갈라져 나온다.

  1. 오른쪽 셋째 뒤갈비사이동맥과 함께 내림가슴대동맥에서 공통 동맥으로 갈라져 나온다.
  2. 왼쪽의 위기관지동맥
  3. 모든 오른쪽 갈비사이동맥 중 하나. 대부분 셋째 오른쪽 뒤갈비사이동맥이다.

참고 문헌

  1. Marini TJ, He K, Hobbs SK, Kaproth-Joslin K (December 2018). “Pictorial review of the pulmonary vasculature: from arteries to veins”. 《Insights into Imaging》 9 (6): 971–987. doi:10.1007/s13244-018-0659-5. PMC 6269336. PMID 30382495. 
  2. Leslie KO, Wick MR (January 2018). 〈Lung anatomy.〉. Leslie KO, Wick MR. 《Practical Pulmonary Pathology: A Diagnostic Approach》 Thi판. Elsevier. 1–14쪽. doi:10.1016/b978-0-323-44284-8.00001-6. ISBN 978-0-323-44284-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