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미생물막: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내용 및 각주 추가 중
33번째 줄: 33번째 줄:
미생물막은 일반적으로 수용액에 잠겨 있거나 수용액에 노출된 고체 기질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습도가 높은 기후에서는 액체 표면과 잎 표면에 떠 있는 매트로 형성될 수 있다. 성장을 위한 충분한 자원이 주어지면 미생물막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거시적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이다. 미생물막에는 다양한 유형의 미생물이 포함될 수 있다. 박테리아, 고세균, 원생동물, 균류 및 조류 등의 각 그룹은 특수 대사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일부 유기체는 특정 조건에서 단일 종만으로 필름을 형성한다. 미생물막 내의 사회 구조(협력/경쟁)는 기존에 존재한 다른 종에 크게 의존한다.<ref>{{저널 인용|제목=The sociobiology of biofilms|저널=FEMS Microbiology Reviews|성=Nadell|이름=Carey D.|성2=Xavier|이름2=Joao B.|url=https://academic.oup.com/femsre/article-lookup/doi/10.1111/j.1574-6976.2008.00150.x|날짜=2009-01|권=33|호=1|쪽=206–224|언어=en|doi=10.1111/j.1574-6976.2008.00150.x|issn=1574-6976|성3=Foster|이름3=Kevin R.}}</ref>
미생물막은 일반적으로 수용액에 잠겨 있거나 수용액에 노출된 고체 기질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습도가 높은 기후에서는 액체 표면과 잎 표면에 떠 있는 매트로 형성될 수 있다. 성장을 위한 충분한 자원이 주어지면 미생물막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거시적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이다. 미생물막에는 다양한 유형의 미생물이 포함될 수 있다. 박테리아, 고세균, 원생동물, 균류 및 조류 등의 각 그룹은 특수 대사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일부 유기체는 특정 조건에서 단일 종만으로 필름을 형성한다. 미생물막 내의 사회 구조(협력/경쟁)는 기존에 존재한 다른 종에 크게 의존한다.<ref>{{저널 인용|제목=The sociobiology of biofilms|저널=FEMS Microbiology Reviews|성=Nadell|이름=Carey D.|성2=Xavier|이름2=Joao B.|url=https://academic.oup.com/femsre/article-lookup/doi/10.1111/j.1574-6976.2008.00150.x|날짜=2009-01|권=33|호=1|쪽=206–224|언어=en|doi=10.1111/j.1574-6976.2008.00150.x|issn=1574-6976|성3=Foster|이름3=Kevin R.}}</ref>


=== 세포외 기질 ===
=== 세포외기질 ===
세포외기질은 엑소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및 핵산으로 구성된다.<ref>{{저널 인용|제목=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 Infections: Community Structure, Antimicrobial Tolerance and Immune Response|저널=Journal of Molecular Biology|성=Rybtke|이름=Morten|성2=Hultqvist|이름2=Louise Dahl|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022283615004817|날짜=2015-11|권=427|호=23|쪽=3628–3645|언어=en|doi=10.1016/j.jmb.2015.08.016|성3=Givskov|이름3=Michael|성4=Tolker-Nielsen|이름4=Tim}}</ref><ref>{{저널 인용|제목=Exopolysaccharide Production Is Required for Development of Escherichia coli K-12 Biofilm Architecture|저널=Journal of Bacteriology|성=Danese|이름=Paul N.|성2=Pratt|이름2=Leslie A.|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JB.182.12.3593-3596.2000|날짜=2000-06-15|권=182|호=12|쪽=3593–3596|언어=en|doi=10.1128/JB.182.12.3593-3596.2000|issn=0021-9193|pmc=PMC101973|pmid=10852895|성3=Kolter|이름3=Roberto}}</ref><ref>{{저널 인용|제목=A major protein component of the Bacillus subtilis biofilm matrix|저널=Molecular Microbiology|성=Branda|이름=Steven S.|성2=Chu|이름2=Frances|url=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1365-2958.2005.05020.x|날짜=2006-02|권=59|호=4|쪽=1229–1238|언어=en|doi=10.1111/j.1365-2958.2005.05020.x|issn=0950-382X|성3=Kearns|이름3=Daniel B.|성4=Losick|이름4=Richard|성5=Kolter|이름5=Roberto}}</ref> EPS의 많은 부분이 다소 강하게 수화되지만 소수성 EPS도 발생한다. 한 가지 예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셀룰로오스<ref>{{저널 인용|제목=Real-time optotracing of curli and cellulose in live Salmonella biofilms using luminescent oligothiophenes|저널=npj Biofilms and Microbiomes|성=Choong|이름=Ferdinand X|성2=Bäck|이름2=Marcus|url=http://www.nature.com/articles/npjbiofilms201624|날짜=2016-11|권=2|호=1|쪽=16024|언어=en|doi=10.1038/npjbiofilms.2016.24|issn=2055-5008|pmc=PMC5515270|pmid=28721253|성3=Fahlén|이름3=Sara|성4=Johansson|이름4=Leif BG|성5=Melican|이름5=Keira|성6=Rhen|이름6=Mikael|성7=Nilsson|이름7=K Peter R|성8=Richter-Dahlfors|이름8=Agneta}}</ref>이다. 이 매트릭스는 그 안에 있는 세포를 감싸고 생화학적 신호와 유전자 교환을 통해 세포 간의 의사 소통을 촉진한다. EPS 매트릭스는 또한 세포외 효소를 포획하여 세포에 가깝게 유지한다. 따라서 매트릭스는 외부 소화 시스템을 나타내며 다른 종의 안정적인 시너지 마이크로컨소시엄을 허용한다.<ref>{{저널 인용|제목=Biofilms: an emergent form of bacterial life|저널=Nature Reviews Microbiology|성=Flemming|이름=Hans-Curt|성2=Wingender|이름2=Jost|url=http://www.nature.com/articles/nrmicro.2016.94|날짜=2016-09|권=14|호=9|쪽=563–575|언어=en|doi=10.1038/nrmicro.2016.94|issn=1740-1526|성3=Szewzyk|이름3=Ulrich|성4=Steinberg|이름4=Peter|성5=Rice|이름5=Scott A.|성6=Kjelleberg|이름6=Staffan}}</ref> 일부 미생물막은 영양분과 신호 분자를 분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ref>{{저널 인용|제목=Liquid Flow in Biofilm Systems|저널=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성=Stoodley|이름=Paul|성2=deBeer|이름2=Dirk|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aem.60.8.2711-2716.1994|날짜=1994-08|권=60|호=8|쪽=2711–2716|언어=en|doi=10.1128/aem.60.8.2711-2716.1994|issn=0099-2240|pmc=PMC201713|pmid=16349345|성3=Lewandowski|이름3=Zbigniew}}</ref> 이 매트릭스는 특정 조건에서 미생물막이 화석화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다(스트로마톨라이트).
세포외기질은 엑소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및 핵산으로 구성된다.<ref>{{저널 인용|제목=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 Infections: Community Structure, Antimicrobial Tolerance and Immune Response|저널=Journal of Molecular Biology|성=Rybtke|이름=Morten|성2=Hultqvist|이름2=Louise Dahl|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022283615004817|날짜=2015-11|권=427|호=23|쪽=3628–3645|언어=en|doi=10.1016/j.jmb.2015.08.016|성3=Givskov|이름3=Michael|성4=Tolker-Nielsen|이름4=Tim}}</ref><ref>{{저널 인용|제목=Exopolysaccharide Production Is Required for Development of Escherichia coli K-12 Biofilm Architecture|저널=Journal of Bacteriology|성=Danese|이름=Paul N.|성2=Pratt|이름2=Leslie A.|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JB.182.12.3593-3596.2000|날짜=2000-06-15|권=182|호=12|쪽=3593–3596|언어=en|doi=10.1128/JB.182.12.3593-3596.2000|issn=0021-9193|pmc=PMC101973|pmid=10852895|성3=Kolter|이름3=Roberto}}</ref><ref>{{저널 인용|제목=A major protein component of the Bacillus subtilis biofilm matrix|저널=Molecular Microbiology|성=Branda|이름=Steven S.|성2=Chu|이름2=Frances|url=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1365-2958.2005.05020.x|날짜=2006-02|권=59|호=4|쪽=1229–1238|언어=en|doi=10.1111/j.1365-2958.2005.05020.x|issn=0950-382X|성3=Kearns|이름3=Daniel B.|성4=Losick|이름4=Richard|성5=Kolter|이름5=Roberto}}</ref> EPS의 많은 부분이 다소 강하게 수화되지만 소수성 EPS도 발생한다. 한 가지 예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셀룰로오스<ref>{{저널 인용|제목=Real-time optotracing of curli and cellulose in live Salmonella biofilms using luminescent oligothiophenes|저널=npj Biofilms and Microbiomes|성=Choong|이름=Ferdinand X|성2=Bäck|이름2=Marcus|url=http://www.nature.com/articles/npjbiofilms201624|날짜=2016-11|권=2|호=1|쪽=16024|언어=en|doi=10.1038/npjbiofilms.2016.24|issn=2055-5008|pmc=PMC5515270|pmid=28721253|성3=Fahlén|이름3=Sara|성4=Johansson|이름4=Leif BG|성5=Melican|이름5=Keira|성6=Rhen|이름6=Mikael|성7=Nilsson|이름7=K Peter R|성8=Richter-Dahlfors|이름8=Agneta}}</ref>이다. 이 매트릭스는 그 안에 있는 세포를 감싸고 생화학적 신호와 유전자 교환을 통해 세포 간의 의사 소통을 촉진한다. EPS 매트릭스는 또한 세포외 효소를 포획하여 세포에 가깝게 유지한다. 따라서 매트릭스는 외부 소화 시스템을 나타내며 다른 종의 안정적인 시너지 마이크로컨소시엄을 허용한다.<ref>{{저널 인용|제목=Biofilms: an emergent form of bacterial life|저널=Nature Reviews Microbiology|성=Flemming|이름=Hans-Curt|성2=Wingender|이름2=Jost|url=http://www.nature.com/articles/nrmicro.2016.94|날짜=2016-09|권=14|호=9|쪽=563–575|언어=en|doi=10.1038/nrmicro.2016.94|issn=1740-1526|성3=Szewzyk|이름3=Ulrich|성4=Steinberg|이름4=Peter|성5=Rice|이름5=Scott A.|성6=Kjelleberg|이름6=Staffan}}</ref> 일부 미생물막은 영양분과 신호 분자를 분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ref>{{저널 인용|제목=Liquid Flow in Biofilm Systems|저널=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성=Stoodley|이름=Paul|성2=deBeer|이름2=Dirk|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aem.60.8.2711-2716.1994|날짜=1994-08|권=60|호=8|쪽=2711–2716|언어=en|doi=10.1128/aem.60.8.2711-2716.1994|issn=0099-2240|pmc=PMC201713|pmid=16349345|성3=Lewandowski|이름3=Zbigniew}}</ref> 이 매트릭스는 특정 조건에서 미생물막이 화석화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다(스트로마톨라이트).


39번째 줄: 39번째 줄:


그러나 미생물막이 항상 항생제에 덜 민감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미생물막 형태는 고정상 플랑크톤 세포보다 항균제에 대한 내성이 크지 않지만, 미생물막이 대수상 플랑크톤 세포와 비교할 때 미생물막은 항균제에 대한 내성이 더 크다. 정지상 세포와 미생물막 모두에서 항생제에 대한 이러한 내성은 지속 세포의 존재 때문일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Biofilms and Planktonic Cells of Pseudomonas aeruginosa Have Similar Resistance to Killing by Antimicrobials|저널=Journal of Bacteriology|성=Spoering|이름=Amy L.|성2=Lewis|이름2=Kim|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JB.183.23.6746-6751.2001|날짜=2001-12|권=183|호=23|쪽=6746–6751|언어=en|doi=10.1128/JB.183.23.6746-6751.2001|issn=0021-9193|pmc=PMC95513|pmid=11698361}}</ref>
그러나 미생물막이 항상 항생제에 덜 민감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미생물막 형태는 고정상 플랑크톤 세포보다 항균제에 대한 내성이 크지 않지만, 미생물막이 대수상 플랑크톤 세포와 비교할 때 미생물막은 항균제에 대한 내성이 더 크다. 정지상 세포와 미생물막 모두에서 항생제에 대한 이러한 내성은 지속 세포의 존재 때문일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Biofilms and Planktonic Cells of Pseudomonas aeruginosa Have Similar Resistance to Killing by Antimicrobials|저널=Journal of Bacteriology|성=Spoering|이름=Amy L.|성2=Lewis|이름2=Kim|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JB.183.23.6746-6751.2001|날짜=2001-12|권=183|호=23|쪽=6746–6751|언어=en|doi=10.1128/JB.183.23.6746-6751.2001|issn=0021-9193|pmc=PMC95513|pmid=11698361}}</ref>

== 서식지 ==
미생물막은 유기체의 어디에나 존재한다. 거의 모든 종류의 미생물은 표면과 서로에 부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미생물막은 비멸균 수성 또는 습한 환경에서 거의 모든 비흘림 표면에 형성된다. 미생물막은 가장 극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뜨겁고 염도가 높은 온천수에서 매우 산성에서 매우 알칼리성, 얼어붙은 빙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미생물막은 대부분의 개울이나 강의 바닥에 있는 바위와 자갈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종종 고인 물 웅덩이의 표면에 형성된다. 미생물막은 강과 하천의 먹이 사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많은 물고기가 먹이를 먹는 수생 무척추 동물이 방목한다. 미생물막은 식물의 표면과 내부에서 발견된다. 그들은 작물 질병에 기여하거나 뿌리 결절에 질소 고정 rhizobia의 경우와 같이 식물과 공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080622002657/http://www.cs.montana.edu/ross/personal/intro-biofilms-s3.htm|제목=Introduction to Biofilms: Negative and positive impacts of biofilm|날짜=2008-06-22|확인날짜=2022-10-13}}</ref> 미생물막과 관련된 작물 질병의 예로는 감귤병, 포도의 피어스병, 고추 및 토마토와 같은 식물의 세균성 반점이 있다.<ref>{{저널 인용|제목=Influence of xylem fluid chemistry on planktonic growth, biofilm formation and aggregation of Xylella fastidiosa|저널=FEMS Microbiology Letters|성=Andersen|이름=Peter C.|성2=Brodbeck|이름2=Brent V.|url=https://academic.oup.com/femsle/article-lookup/doi/10.1111/j.1574-6968.2007.00827.x|날짜=2007-09|권=274|호=2|쪽=210–217|언어=en|doi=10.1111/j.1574-6968.2007.00827.x|성3=Oden|이름3=Steve|성4=Shriner|이름4=Anthony|성5=Leite|이름5=Breno}}</ref>

=== 여과 필터 ===
하수 처리 작업의 여과 필터는 침전된 하수에서 오염 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그들은 매우 큰 표면적을 갖도록 설계된 단단한 재료의 베드 위에 액체를 살포하여 작동한다. 오염 물질을 흡수, 흡착 및 대사하는 복잡한 미생물막이 배지 표면에 형성된다. 미생물막은 빠르게 성장하고 너무 두꺼워져 매체에 대한 그립을 유지할 수 없게 되면 씻어내고 새로 성장한 막으로 대체된다. 씻겨나간("슬러프된") 필름은 액체 흐름에서 침전되어 고도로 정제된 유출물을 남긴다.<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10418060449/http://www.staffs.ac.uk/schools/sciences/consultancy/dladmin/zCIWEMWWT/Activity5/act5.html|제목=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Unit|날짜=2011-04-18|확인날짜=2022-10-13}}</ref>

=== 완속 모래 필터 ===
완속 모래 필터<ref>{{웹 인용|url=http://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018752859628.pdf|제목=완속 모래여과 공정에서의 Geosmin 제거 특성|날짜=2010-08-18}}</ref>는 음용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수를 처리하기 위한 정수에 사용된다. 그들은 미세한 모래 층의 맨 위 몇 밀리미터에서 하층층 또는 슈무츠데케(Schmutzdecke)라고 불리는 미생물막의 형성을 통해 작동한다. Schmutzdecke는 작동 첫 10-20일 동안 형성되며<ref>Centre for Affordable Water and Sanitation Technology, Biosand Filter Manual: Design, Construction, & Installation," July 2007.</ref> 박테리아, 균류, 원생동물, 로티페라 및 다양한 수생 곤충 유충으로 구성된다. epigeal biofilm이 노화됨에 따라 더 많은 조류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부 선천동물, 달팽이 및 annelid 웜을 포함하여 더 큰 수생 유기체가 존재할 수 있다. 표면 미생물막은 음용수 처리에서 효과적인 정화를 제공하는 층이며, 밑에 있는 모래는 이 생물학적 처리 층을 위한 지지 매체를 제공한다. 물이 hypogeal 층을 통과함에 따라 이물질 입자가 점액질 표면에 포획되고 가용성 유기 물질이 흡착된다. 오염 물질은 박테리아, 곰팡이 및 원생 동물에 의해 대사된다. 예시적인 완속 모래 필터에서 생성된 물은 90-99% 박테리아 세포 수 감소로 우수한 품질이다.<ref>{{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06214558/http://www.nesc.wvu.edu/pdf/DW/publications/ontap/tech_brief/TB15_SlowSand.pdf|제목=Wayback Machine|날짜=2016-04-06|확인날짜=2022-10-13}}</ref>

=== 근권 ===
식물에 유익한 미생물은 식물 성장을 촉진하는 리조박테리아로 분류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on Canola (Rapeseed)|저널=Plant Disease|성=Kloepper|이름=J. W.|url=http://www.apsnet.org/publications/PlantDisease/BackIssues/Documents/1988Abstracts/PD_72_42.htm|날짜=1988|권=72|호=1|쪽=42|doi=10.1094/PD-72-0042|issn=0191-2917}}</ref> 이러한 식물 성장 촉진제는 식물의 뿌리에 서식하며 질소 고정, 병원체 억제, 항진균 특성 및 유기 물질의 분해를 포함하여 숙주에게 광범위한 유익한 기능을 제공한다.<ref name=":02">{{저널 인용|제목=Impact of rhizosphere factors on cyclic lipopeptide signature from the plant beneficial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S499|저널=FEMS Microbiology Ecology|성=Nihorimbere|이름=Venant|성2=Cawoy|이름2=Hélène|url=https://academic.oup.com/femsec/article-lookup/doi/10.1111/j.1574-6941.2011.01208.x|날짜=2012-01|권=79|호=1|쪽=176–191|언어=en|doi=10.1111/j.1574-6941.2011.01208.x|성3=Seyer|이름3=Alexandre|성4=Brunelle|이름4=Alain|성5=Thonart|이름5=Philippe|성6=Ongena|이름6=Marc}}</ref> 이러한 기능 중 하나는 유도 전신 저항(ISR)<ref>{{저널 인용|제목=Interactions of Bacillus spp. and plants – With special reference to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SR)|저널=Microbiological Research|성=Choudhary|이름=Devendra K.|성2=Johri|이름2=Bhavdish N.|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944501308000566|날짜=2009-09|권=164|호=5|쪽=493–513|언어=en|doi=10.1016/j.micres.2008.08.007}}</ref> 또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유발된 유도 전신 반응(병원체 유발 전신 획득 저항)을 통해 병원성 토양 매개 박테리아 및 진균에 대한 방어이다.<ref name=":12">{{저널 인용|제목=Plant responses to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저널=Europ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성=van Loon|이름=L. C.|url=https://link.springer.com/10.1007/s10658-007-9165-1|날짜=2007-11|권=119|호=3|쪽=243–254|언어=en|doi=10.1007/s10658-007-9165-1|issn=0929-1873}}</ref> 식물 삼출물은 숙주 특정 박테리아가 군집을 형성하도록 하는 화학적 신호로 작용한다.<ref name=":22">{{저널 인용|제목=Plant immune responses triggered by beneficial microbes|저널=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성=Van Wees|이름=Saskia CM|성2=Van der Ent|이름2=Sjoerd|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1369526608001003|날짜=2008-08|권=11|호=4|쪽=443–448|언어=en|doi=10.1016/j.pbi.2008.05.005|성3=Pieterse|이름3=Corné MJ}}</ref> Rhizobacteria 콜로니화 단계에는 매력, 인식, 준수, 콜로니화 및 성장이 포함된다.<ref name=":02" /> 유익하고 미생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진 박테리아에는 Bacillus, Pseudomonas 및 Azospirillum이 포함된다.<ref>{{저널 인용|제목=Nitrogen-fixation by Azospirillum brasilense Cd is promoted when co-cultured with a mangrove rhizosphere bacterium (Staphylococcus sp.)|저널=Soil Biology and Biochemistry|성=Holguin|이름=Gina|성2=Bashan|이름2=Yoav|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038071796002519|날짜=1996-12|권=28|호=12|쪽=1651–1660|언어=en|doi=10.1016/S0038-0717(96)00251-9}}</ref><ref>{{저널 인용|제목=Beneficial bacteria of agricultural importance|저널=Biotechnology Letters|성=Babalola|이름=Olubukola Oluranti|url=http://link.springer.com/10.1007/s10529-010-0347-0|날짜=2010-11|권=32|호=11|쪽=1559–1570|언어=en|doi=10.1007/s10529-010-0347-0|issn=0141-5492}}</ref> 근권(Rhizosphere)의 미생물막은 종종 병원체 또는 식물 유도 전신 저항을 초래한다. 박테리아 표면의 분자 특성은 식물 숙주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ref name=":22" /> 이러한 미생물 관련 분자는 식물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고 여러 유전자좌에서 여러 다른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생화학적 반응을 활성화한다.<ref name=":22" /> 여러 다른 신호 분자가 유도된 전신 반응과 자스몬산 및 에틸렌과 같은 병원체에 의한 전신 반응 모두에 연결되어 있다.<ref name=":02" /> 식물 세포가 병원체의 구성 요소로 인식하는 박테리아 편모 및 지질 다당류와 같은 세포 외피 구성 요소.<ref>{{저널 인용|제목=Induced Systemic Resistance by Fluorescent Pseudomonas spp.|저널=Phytopathology®|성=Bakker|이름=Peter A. H. M.|성2=Pieterse|이름2=Corné M. J.|url=https://apsjournals.apsnet.org/doi/10.1094/PHYTO-97-2-0239|날짜=2007-02|권=97|호=2|쪽=239–243|언어=en|doi=10.1094/PHYTO-97-2-0239|issn=0031-949X|성3=van Loon|이름3=L. C.}}</ref> Pseudomonas에 의해 생성된 특정 철 대사 산물은 또한 유도된 전신 반응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f name=":22" /> 미생물막의 이러한 기능은 식물이 병원체에 대한 더 강한 저항력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미생물막을 형성하는 PGPR에 의해 콜로니화된 식물은 전신 저항을 얻었고 병원체에 대한 방어를 위해 준비되었다. 이것은 병원체로부터 식물을 방어하기 위해 작용하는 단백질 생산에 필요한 유전자가 발현되었고 식물이 병원체와 싸우기 위해 방출하는 화합물의 "비축량"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ref name=":22" /> 프라이밍된 방어 시스템은 병원체에 의해 유발된 감염에 반응하는 데 훨씬 더 빠르며 병원체가 스스로 정착하기 전에 방향을 틀 수 있다.<ref>{{서적 인용|url=http://link.springer.com/10.1007/0-387-23266-4_10|제목=Induced Systemic Resistance Mediated by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and Fungi (PGPF)|성=Bent|이름=Elizabeth|날짜=2006|편집자-성=Tuzun|편집자-이름=Sadik|편집자2-성=Bent|편집자2-이름=Elizabeth|출판사=Springer US|쪽=225–258|언어=en|doi=10.1007/0-387-23266-4_10|isbn=978-0-387-23265-2}}</ref> 식물은 리그닌의 생산을 증가시켜 세포벽을 강화하고 병원체가 세포로 침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동시에 이미 감염된 세포의 영양분을 차단하여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ref name=":02" /> 그들은 병원균의 성장을 방지하는 파이토알렉신, 키티나제 및 프로테이나제 억제제와 같은 항균 화합물을 생성한다.<ref name=":12" /> 이러한 질병억제 및 병원균 저항성의 기능은 궁극적으로 농업생산을 증가시키고 질병으로 인한 농작물 손실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화학농약, 제초제, 살균제의 사용을 감소시킨다.<ref>{{서적 인용|제목=eLS|날짜=2001-05-30|편집자-성=John Wiley & Sons, Ltd|판=1|출판사=Wiley|언어=en|doi=10.1038/npg.els.0000403|isbn=978-0-470-01617-6}}</ref> 유도된 전신 저항성과 병원체에 의한 전신 획득 저항성은 모두 근권에서 미생물막의 잠재적 기능이며 위험한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질병 억제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뉴에이지 농업 관행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한다.

=== 포유류의 내장 ===
2003년의 연구에 따르면 면역 체계가 대장의 미생물막 발달을 지원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것은 주로 면역계에 의해 가장 풍부하게 생성되는 두 분자가 미생물막 생성을 지원하고 장에서 발달된 미생물막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이것은 충수가 이러한 박테리아 미생물막의 대량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한다.<ref>{{저널 인용|제목=Biofilms in the large bowel suggest an apparent function of the human vermiform appendix|저널=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성=Randal Bollinger|이름=R.|성2=Barbas|이름2=Andrew S.|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02251930700416X|날짜=2007-12|권=249|호=4|쪽=826–831|언어=en|doi=10.1016/j.jtbi.2007.08.032|성3=Bush|이름3=Errol L.|성4=Lin|이름4=Shu S.|성5=Parker|이름5=William}}</ref> 이 발견은 맹장의 가능한 기능과 맹장이 장에 좋은 장내 세균총을 재접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장내 미생물막의 변형되거나 파괴된 상태는 염증성 장 질환 및 결장직장암과 같은 질병과 관련이 있다.<ref>{{저널 인용|제목=Pathobiont release from dysbiotic gut microbiota biofilms in intestinal inflammatory diseases: a role for iron?|저널=Journal of Biomedical Science|성=Buret|이름=Andre Gerald|성2=Motta|이름2=Jean-Paul|url=https://jbiomedsci.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929-018-0495-4|날짜=2019-12|권=26|호=1|쪽=1|언어=en|doi=10.1186/s12929-018-0495-4|issn=1423-0127|pmc=PMC6317250|pmid=30602371|성3=Allain|이름3=Thibault|성4=Ferraz|이름4=Jose|성5=Wallace|이름5=John Lawrence}}</ref>

=== 인간 환경 ===
인간 환경에서 미생물막은 번식할 수 있는 습하고 따뜻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소나기에서 매우 쉽게 자랄 수 있다. 그들은 상하수도관 내부에 형성되어 막힘 및 부식을 일으킬 수 있다. 바닥과 카운터에서 음식 준비 구역의 위생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토양에서는 생물학적 막힘을 유발할 수 있다. 냉각 또는 가열 수 시스템에서 열 전달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저널 인용|제목=Influence of Fouling Biofilms on Heat Transfer|저널=Heat Transfer Engineering|성=Characklis|이름=W. G.|성2=Nevimons|이름2=M. J.|url=http://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1457638108939572|날짜=1981-07|권=3|호=1|쪽=23–37|언어=en|doi=10.1080/01457638108939572|issn=0145-7632|성3=Picologlou|이름3=B. F.}}</ref> 해양 석유 및 가스 산업의 파이프라인과 같은 해양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미생물막은 심각한 부식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부식은 주로 비생물적 요인으로 인한 것이다. 그러나 부식의 최소 20%는 금속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발생한다(즉, 미생물의 영향을 받는 부식).

=== 선박 오염 ===
보트 선체에 대한 박테리아 부착은 항해 선박의 생물학적 오염의 기초 역할을 한다. 박테리아 필름이 형성되면 따개비와 같은 다른 해양 생물이 더 쉽게 부착된다. 이러한 오염은 최대 선박 속도를 최대 20%까지 감소시켜 항해를 연장하고 연료를 소비할 수 있다. 재조립 및 재도장을 위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시간은 선박 자산의 생산성을 감소시키고 선박의 선체에서 해양 생물의 부식 및 기계적 제거(스크레이핑)로 인해 선박의 수명도 단축된다.

=== 스트로마톨라이트 ===
스트로마톨라이트는 미생물 미생물막, 특히 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한 퇴적 입자의 포획, 결합 및 접합에 의해 얕은 물에서 형성된 층상 부착 구조이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생명체의 기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형성되고 있다.

=== 치태 ===
인체 내에서 미생물막은 치아에 치태로 존재하여 충치 및 잇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막은 치과 기구로 제거할 수 있는 석회화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제거하기 더 어려운 석회화된 상태일 수 있다. 제거 기술에는 항균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ref>{{저널 인용|제목=Biofilms: A microbial home|저널=Journal of Indian Society of Periodontology|성=Banthia|이름=Ruchi|성2=Chandki|이름2=Rita|url=http://www.jisponline.com/text.asp?2011/15/2/111/84377|날짜=2011|권=15|호=2|쪽=111|언어=en|doi=10.4103/0972-124X.84377|issn=0972-124X|pmc=PMC3183659|pmid=21976832|성3=Banthia|이름3=Priyank}}</ref>

치태는 치아에 달라붙는 구강 미생물막으로, 타액 중합체와 미생물 세포외 제품에 박혀 있는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와 진균(예: Streptococcus mutans 및 Candida albicans)으로 구성된다. 미생물이 축적되면 치아와 치은 조직이 고농도의 세균 대사 물질에 노출되어 치아 질환이 발생한다. 치아 표면의 미생물막은 산화 스트레스<ref>{{저널 인용|제목=Oxygen metabolism, oxidative stress and acid-base physiology of dental plaque biofilms|저널=Journal of Industrial Microbiology|성=Marquis|이름=Re|url=https://academic.oup.com/jimb/article/15/3/198-207/5988577|날짜=1995-09|권=15|호=3|쪽=198–207|언어=en|doi=10.1007/BF01569826|issn=0169-4146}}</ref>와 산성 스트레스<ref name=":32">{{웹 인용|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07114140/http://www.horizonpress.com/cimb/v/v7/07.pdf|제목=Wayback Machine|날짜=2014-04-07|확인날짜=2022-10-13}}</ref>를 자주 받는다. 식이 탄수화물은 구강 미생물막의 pH를 4 이하(산성 스트레스)로 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ref name=":32" /> 37°C의 체온에서 pH 4는 DNA의 탈퓨린화를 일으켜 DNA에 아퓨린(AP) 부위를 남기고<ref>{{저널 인용|제목=THE FORMATION OF APURINIC ACID FROM THE DESOXYRIBONUCLEIC ACID OF CALF THYMUS|저널=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성=Tamm|이름=Christoph|성2=Hodes|이름2=M.E.|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021925819508742|날짜=1952-03|권=195|호=1|쪽=49–63|언어=en|doi=10.1016/S0021-9258(19)50874-2|성3=Chargaff|이름3=Erwin}}</ref> 특히 구아닌이 손실된다.<ref>{{저널 인용|제목=TRANSITIONS AND TRANSVERSIONS INDUCED BY DEPURINATING AGENTS|저널=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성=Freese|이름=Elisabeth Bautz|url=https://pnas.org/doi/full/10.1073/pnas.47.4.540|날짜=1961-04|권=47|호=4|쪽=540–545|언어=en|doi=10.1073/pnas.47.4.540|issn=0027-8424|pmc=PMC221484|pmid=13701660}}</ref>

치태 미생물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면 치아 우식증이 발생할 수 있다. 치아 미생물막 내의 균형 잡힌 개체군에서 멀어지는 생태학적 변화는 환경이 우호적일 때 우세하기 시작하는 특정(충치 유발) 미생물 개체군에 의해 주도된다. 산성, 산성, 우식성 미생물 집단으로의 이동은 발효성 탄수화물의 빈번한 섭취에 의해 발생하고 유지된다. 미생물막의 활성 이동(및 치아 표면의 미생물막 내 산 생성)은 탈회와 재광화 사이의 불균형과 관련되어 치아 경조직(법랑질 다음 상아질) 내 순 무기질 손실, 징후 및 증상 우식병이 되는 것. 치태 미생물막이 성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우식을 유발하지 않는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치아 우식을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다.<ref name=":42">Pennwell, "Toothbrush technology, dentifrices and dental biofilm removal." ''Dental Academy of CE'' Accessed 12 January 2022</ref><ref>{{서적 인용|url=https://www.worldcat.org/oclc/136316302|제목=Dental caries : the disease and its clinical management|날짜=2008|판=2nd ed|출판사=Blackwell Munksgaard|위치=Oxford|isbn=978-1-4051-3889-5}}</ref> 이것은 발효 가능한 탄수화물(즉, 설탕 섭취)의 공급을 줄이고 미생물막을 자주 제거하는(즉, 칫솔질) 행동 단계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ref name=":42" />

==== 세포간 연결 ====
S. mutans의 펩티드 페로몬 정족수 감지 신호 시스템에는 유전적 능력을 제어하는 ​​능력 자극 펩티드(CSP)가 포함된다.<ref>{{저널 인용|제목=Natural Genetic Transform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Growing in Biofilms|저널=Journal of Bacteriology|성=Li|이름=Yung-Hua|성2=Lau|이름2=Peter C. Y.|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JB.183.3.897-908.2001|날짜=2001-02|권=183|호=3|쪽=897–908|언어=en|doi=10.1128/JB.183.3.897-908.2001|issn=0021-9193|pmc=PMC94956|pmid=11208787|성3=Lee|이름3=Janet H.|성4=Ellen|이름4=Richard P.|성5=Cvitkovitch|이름5=Dennis G.}}</ref><ref>{{서적 인용|url=http://link.springer.com/10.1007/978-0-387-78885-2_12|제목=Quorum Sensing and Biofilm Formation by Streptococcus mutans|성=Senadheera|이름=Dilani|성2=Cvitkovitch|이름2=Dennis G.|날짜=2008|편집자-성=Utsumi|편집자-이름=Ryutaro|권=631|출판사=Springer New York|위치=New York, NY|쪽=178–188|언어=en|doi=10.1007/978-0-387-78885-2_12|isbn=978-0-387-78884-5}}</ref> 유전적 능력은 세포가 다른 세포에서 방출된 DNA를 흡수하는 능력이다. 능력은 유전적 변형, 즉 성적 상호작용의 한 형태로, 높은 세포 밀도 및/또는 스트레스가 있는 조건에서 선호되며, 능력이 있는 세포와 근처 기증자 세포에서 방출된 DNA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최대 기회가 있는 조건에서 선호된다. 이 시스템은 S. mutans 세포가 활발하게 성장하는 미생물막에 존재할 때 최적으로 발현된다. 미생물막으로 성장한 S. mutans 세포는 액체에 부유하는 자유 부유 플랑크톤 세포로 성장하는 S. mutans보다 10-600배 더 빠른 속도로 유전적으로 형질전환된다.<ref>{{저널 인용|제목=Natural Genetic Transform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Growing in Biofilms|저널=Journal of Bacteriology|성=Li|이름=Yung-Hua|성2=Lau|이름2=Peter C. Y.|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JB.183.3.897-908.2001|날짜=2001-02|권=183|호=3|쪽=897–908|언어=en|doi=10.1128/JB.183.3.897-908.2001|issn=0021-9193|pmc=PMC94956|pmid=11208787|성3=Lee|이름3=Janet H.|성4=Ellen|이름4=Richard P.|성5=Cvitkovitch|이름5=Dennis G.}}</ref>

S. mutans 및 관련 구강 연쇄상 구균을 포함하는 미생물막이 산성 스트레스를 받으면 능력 레굴론이 유도되어 산에 의해 사멸되는 저항성을 유발한다.<ref name=":32" /> Michod et al.이 지적한 바와 같이, 박테리아 병원체의 형질전환은 DNA 손상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재조합 복구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ref name=":6">{{저널 인용|제목=Adaptive value of sex in microbial pathogens|저널=Infection, Genetics and Evolution|성=Michod|이름=Richard E.|성2=Bernstein|이름2=Harris|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156713480800004X|날짜=2008-05|권=8|호=3|쪽=267–285|언어=en|doi=10.1016/j.meegid.2008.01.002|성3=Nedelcu|이름3=Aurora M.}}</ref> S. mutans는 부분적으로 능력과 변형에 의해 제공되는 재조합 복구를 통해 구강 미생물막의 빈번한 산 스트레스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이다.

==== 포식-피식자 연결 ====
토양에 서식하는 선충인 Caenorhabditis elegans와 같은 미생물막과 박테리아 사이의 포식자-먹이 상호작용은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Yersinia pestis 미생물막은 끈적끈적한 기질의 생성과 응집체의 형성을 통해 C. elegans의 입을 막아 섭식을 방지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Biofilm Development on Caenorhabditis elegans by Yersinia Is Facilitated by Quorum Sensing-Dependent Repression of Type III Secretion|저널=PLoS Pathogens|성=Atkinson|이름=Steve|성2=Goldstone|이름2=Robert J.|url=https://dx.plos.org/10.1371/journal.ppat.1001250|날짜=2011-01-06|편집자-성=Ausubel|편집자-이름=Frederick M.|권=7|호=1|쪽=e1001250|언어=en|doi=10.1371/journal.ppat.1001250|issn=1553-7374|성3=Joshua|이름3=George W. P.|성4=Chang|이름4=Chien-Yi|성5=Patrick|이름5=Hannah L.|성6=Cámara|이름6=Miguel|성7=Wren|이름7=Brendan W.|성8=Williams|이름8=Paul}}</ref> 더욱이, Pseudomonas aeruginosa 미생물막은 '늪지 표현형'이라고 하는 C. elegans의 미끄러지는 운동성을 방해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미생물막 내에 C. elegans가 갇히고 감수성 미생물막을 섭식하는 선충의 탐색을 방지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Biofilm matrix disrupts nematode motility and predatory behavior|저널=The ISME Journal|성=Chan|이름=Shepherd Yuen|성2=Liu|이름2=Sylvia Yang|url=https://www.nature.com/articles/s41396-020-00779-9|날짜=2021-01|권=15|호=1|쪽=260–269|언어=en|doi=10.1038/s41396-020-00779-9|issn=1751-7362|pmc=PMC7852553|pmid=32958848|성3=Seng|이름3=Zijing|성4=Chua|이름4=Song Lin}}</ref> 이것은 포식자의 먹이 및 번식 능력을 현저히 감소시켜 미생물막의 생존을 촉진했다.

== 분류학적 다양성 ==
그람 양성균(예: Bacillus spp,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spp 및 Lactobacillus plantarum 및 Lactococcus lactis를 포함한 젖산균) 및 그람 음성 종(예: Escherichia coli 또는 Pseudomosa)을 비롯한 많은 다른 세균이 미생물막을 형성한다.<ref>{{저널 인용|제목=Biofilm formation and dispersal in Gram-positive bacteria|저널=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성=Abee|이름=Tjakko|성2=Kovács|이름2=Ákos T|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95816691000217X|날짜=2011-04|권=22|호=2|쪽=172–179|언어=en|doi=10.1016/j.copbio.2010.10.016|성3=Kuipers|이름3=Oscar P|성4=van der Veen|이름4=Stijn}}</ref> 남조류는 또한 수중 환경에서 미생물막을 형성한다.<ref>{{저널 인용|제목=Role of Cyanobacterial Exopolysaccharides in Phototrophic Biofilms and in Complex Microbial Mats|저널=Life|성=Rossi|이름=Federico|성2=De Philippis|이름2=Roberto|url=http://www.mdpi.com/2075-1729/5/2/1218|날짜=2015-04-01|권=5|호=2|쪽=1218–1238|언어=en|doi=10.3390/life5021218|issn=2075-1729|pmc=PMC4500136|pmid=25837843}}</ref>

미생물막은 식물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다.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fluorescens 및 관련 pseudomonads는 잎, 뿌리 및 토양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식물 관련 박테리아이며 대부분의 자연 분리균은 미생물막을 형성한다.<ref name=":5">{{저널 인용|제목=Biofilm Formation by Plant-Associated Bacteria|저널=Annual Review of Microbiology|성=Danhorn|이름=Thomas|성2=Fuqua|이름2=Clay|url=https://www.annualreviews.org/doi/10.1146/annurev.micro.61.080706.093316|날짜=2007-10-01|권=61|호=1|쪽=401–422|언어=en|doi=10.1146/annurev.micro.61.080706.093316|issn=0066-4227}}</ref> Rhizobium leguminosarum 및 Sinorhizobium meliloti와 같은 콩과 식물의 여러 질소 고정 공생자는 콩과 식물 뿌리 및 기타 불활성 표면에 미생물막을 형성한다.<ref name=":5" />

박테리아와 함께 미생물막은 고세균<ref>{{저널 인용|제목=Biofilms formed by the archaeon Haloferax volcaniiexhibit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social motility, and facilitate horizontal gene transfer|저널=BMC Biology|성=Chimileski|이름=Scott|성2=Franklin|이름2=Michael J|url=https://bmcbiol.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915-014-0065-5|날짜=2014-12|권=12|호=1|쪽=65|언어=en|doi=10.1186/s12915-014-0065-5|issn=1741-7007|pmc=PMC4180959|pmid=25124934|성3=Papke|이름3=R Thane}}</ref>과 진핵생물(예: 진균)에 의해 생성된다. Cryptococcus laurentii<ref>{{저널 인용|제목=Microbial Exopolymers Link Predator and Prey in a Model Yeast Biofilm System|저널=Microbial Ecology|성=Joubert|이름=L.-M.|성2=Wolfaardt|이름2=G. M.|url=http://link.springer.com/10.1007/s00248-006-9063-7|날짜=2006-08|권=52|호=2|쪽=187–197|언어=en|doi=10.1007/s00248-006-9063-7|issn=0095-3628|성3=Botha|이름3=A.}}</ref> 및 미세조류. 미세조류 중에서 미생물막의 주요 조상 중 하나는 전 세계적으로 신선하고 해양 환경에 서식하는 규조류이다.<ref>{{저널 인용|제목=Ecology of intertidal microbial biofilms: Mechanisms, patterns and future research needs|저널=Journal of Sea Research|성=Van Colen|이름=Carl|성2=Underwood|이름2=Graham J.C.|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1385110114001166|날짜=2014-09|권=92|쪽=2–5|언어=en|doi=10.1016/j.seares.2014.07.003|성3=Serôdio|이름3=João|성4=Paterson|이름4=David M.}}</ref><ref>{{저널 인용|제목=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tra- and Extracellular Carbohydrates and Polymeric Substances (EPS) of Three Sea-Ice Diatom Species, and Evidence for a Cryoprotective Role for EPS|저널=Journal of Phycology|성=Aslam|이름=Shazia N.|성2=Cresswell-Maynard|이름2=Tania|url=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py.12004|날짜=2012-12|권=48|호=6|쪽=1494–1509|언어=en|doi=10.1111/jpy.12004|성3=Thomas|이름3=David N.|성4=Underwood|이름4=Graham J. C.}}</ref>

질병 관련 미생물막 및 진핵생물에서 발생하는 미생물막의 다른 종에 대해서는 아래를 참조하십시오.

== 전염병 ==
미생물막은 모든 감염의 80%로 추정되는 신체의 다양한 미생물 감염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ref>{{웹 인용|url=https://grants.nih.gov/grants/guide/pa-files/PA-03-047.html|제목=NIH Guide: RESEARCH ON MICROBIAL BIOFILMS|확인날짜=2022-10-13}}</ref> 미생물막이 관련되어 있는 감염 과정에는 세균성 질염, 요로 감염, 카테터 감염, 중이염, 치태 형성,<ref>{{서적 인용|url=https://www.worldcat.org/oclc/170922278|제목=Molecular oral microbiology|날짜=2008|출판사=Caister Academic Press|위치=Norfolk, UK|쪽=88-91|isbn=978-1-904455-24-0}}</ref>치은염, 코팅 콘택트 렌즈<ref>{{저널 인용|제목=Fusarium and Candida albicans Biofilms on Soft Contact Lenses: Model Development, Influence of Lens Type, and Susceptibility to Lens Care Solutions|저널=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성=Imamura|이름=Yoshifumi|성2=Chandra|이름2=Jyotsna|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AAC.00387-07|날짜=2008-01|권=52|호=1|쪽=171–182|언어=en|doi=10.1128/AAC.00387-07|issn=0066-4804|pmc=PMC2223913|pmid=17999966|성3=Mukherjee|이름3=Pranab K.|성4=Lattif|이름4=Ali Abdul|성5=Szczotka-Flynn|이름5=Loretta B.|성6=Pearlman|이름6=Eric|성7=Lass|이름7=Jonathan H.|성8=O'Donnell|이름8=Kerry|성9=Ghannoum|이름9=Mahmoud A.}}</ref>와 같은 일반적인 문제가 포함된다. 심내막염, 낭포성 섬유증의 감염, 관절 보철물, 심장 판막 및 추간판과 같은 영구 유치 장치의 감염과 같은 치명적인 과정<ref>{{저널 인용|제목=Propionibacterium acnes biofilm is present in intervertebral discs of patients undergoing microdiscectomy|저널=PLOS ONE|성=Capoor|이름=Manu N.|성2=Ruzicka|이름2=Filip|url=https://dx.plos.org/10.1371/journal.pone.0174518|날짜=2017-04-03|편집자-성=Brüggemann|편집자-이름=Holger|권=12|호=4|쪽=e0174518|언어=en|doi=10.1371/journal.pone.0174518|issn=1932-6203|pmc=PMC5378350|pmid=28369127|성3=Schmitz|이름3=Jonathan E.|성4=James|이름4=Garth A.|성5=Machackova|이름5=Tana|성6=Jancalek|이름6=Radim|성7=Smrcka|이름7=Martin|성8=Lipina|이름8=Radim|성9=Ahmed|이름9=Fahad S.}}</ref><ref>{{저널 인용|제목=Riddle of Biofilm Resistance|저널=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성=Lewis|이름=Kim|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AAC.45.4.999-1007.2001|날짜=2001-04|권=45|호=4|쪽=999–1007|언어=en|doi=10.1128/AAC.45.4.999-1007.2001|issn=0066-4804|pmc=PMC90417|pmid=11257008}}</ref><ref>{{저널 인용|제목=Bacterial Biofilms: An Emerging Link to Disease Pathogenesis|저널=Annual Review of Microbiology|성=Parsek|이름=Matthew R.|성2=Singh|이름2=Pradeep K.|url=https://www.annualreviews.org/doi/10.1146/annurev.micro.57.030502.090720|날짜=2003-10|권=57|호=1|쪽=677–701|언어=en|doi=10.1146/annurev.micro.57.030502.090720|issn=0066-4227}}</ref> 미생물막의 첫 번째 시각적 증거는 척추 수술 후에 기록되었다.<ref>{{저널 인용|제목=High Prevalence of Biofilms on Retrieved Implants from Aseptic Pseudarthrosis Cases|저널=Spine Surgery and Related Research|성=Agarwal|이름=Aakash|성2=Mooney|이름2=Megan|url=https://www.jstage.jst.go.jp/article/ssrr/5/2/5_2020-0147/_article|날짜=2021-03-27|권=5|호=2|쪽=104–108|언어=en|doi=10.22603/ssrr.2020-0147|issn=2432-261X|pmc=PMC8026210|pmid=33842718|성3=Agarwal|이름3=Ashish G.|성4=Jayaswal|이름4=Daksh|성5=Saakyan|이름5=Gayane|성6=Goel|이름6=Vijay|성7=Wang|이름7=Jeffrey C.|성8=Anand|이름8=Neel|성9=Garfin|이름9=Steve}}</ref> 감염의 임상적 표현이 없는 경우, 함침된 박테리아가 임플란트 주위에 미생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미생물막은 면봉을 포함한 현대 진단 방법을 통해 감지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임플란트 미생물막은 "무균" 가관절증의 경우에 자주 존재한다.<ref>{{저널 인용|제목=High Prevalence of Biofilms on Retrieved Implants from Aseptic Pseudarthrosis Cases|저널=Spine Surgery and Related Research|성=Agarwal|이름=Aakash|성2=Mooney|이름2=Megan|url=https://www.jstage.jst.go.jp/article/ssrr/5/2/5_2020-0147/_article|날짜=2021-03-27|권=5|호=2|쪽=104–108|언어=en|doi=10.22603/ssrr.2020-0147|issn=2432-261X|성3=Agarwal|이름3=Ashish G.|성4=Jayaswal|이름4=Daksh|성5=Saakyan|이름5=Gayane|성6=Goel|이름6=Vijay|성7=Wang|이름7=Jeffrey C.|성8=Anand|이름8=Neel|성9=Garfin|이름9=Steve}}</ref><ref>{{웹 인용|url=https://spinalnewsinternational.com/new-study-first-to-visually-capture-biofilm-architecture-in-retrieved-implants-from-live-patients/|제목=New study first to visually capture biofilm architecture in retrieved implants from live patients|성=niamhcurran|날짜=2020-11-20|언어=en-GB|확인날짜=2022-10-13}}</ref><ref>{{웹 인용|url=https://orthospinenews.com/2020/12/22/first-study-to-visually-capture-biofilm-structure-of-retrieved-implants-from-spine-patients-with-pseudarthrosis/|제목=First Study to Visually Capture Biofilm Structure of Retrieved Implants from Spine Patients with Pseudarthrosis|성=Sandberg|이름=Josh|날짜=2020-12-22|언어=en-US|확인날짜=2022-10-13}}</ref> 더욱이, 박테리아 미생물막은 피부 상처 치유를 손상시키고 감염된 피부 상처를 치유하거나 치료하는 데 있어 국소 항균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었다.<ref>{{저널 인용|제목=Microscopic and physiologic evidence for biofilm-associated wound colonization in vivo|저널=Wound Repair and Regeneration|성=Davis|이름=Stephen C.|성2=Ricotti|이름2=Carlos|url=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1524-475X.2007.00303.x|날짜=2008-01|권=16|호=1|쪽=23–29|언어=en|doi=10.1111/j.1524-475X.2007.00303.x|성3=Cazzaniga|이름3=Alex|성4=Welsh|이름4=Esperanza|성5=Eaglstein|이름5=William H.|성6=Mertz|이름6=Patricia M.}}</ref> 미생물막 내 P. aeruginosa 세포의 다양성은 낭포성 섬유증 환자의 감염된 폐를 치료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생각된다.<ref>{{저널 인용|제목=Division of Labor: How Microbes Split Their Responsibility|저널=Current Biology|성=Momeni|이름=Babak|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960982218306262|날짜=2018-06|권=28|호=12|쪽=R697–R699|언어=en|doi=10.1016/j.cub.2018.05.024}}</ref> 상처의 미생물막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성공적인 만성 상처 관리에 매우 중요한다. 생존 가능한 상처에서 플랑크톤 박테리아를 식별하기 위해 많은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박테리아 미생물막을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은 거의 없다. 적시에 치료를 시작할 수 있도록 환자의 바로 옆에서 미생물막 군락을 식별하고 모니터링하는 수단을 찾기 위한 향후 연구가 필요한다.<ref>{{저널 인용|제목=Detection of Biofilm in Wounds as an Early Indicator for Risk for Tissue Infection and Wound Chronicity|저널=Annals of Plastic Surgery|성=Vyas|이름=Krishna S.|성2=Wong|이름2=Lesley K.|url=https://journals.lww.com/00000637-201601000-00027|날짜=2016-01|권=76|호=1|쪽=127–131|언어=en|doi=10.1097/SAP.0000000000000440|issn=0148-7043}}</ref>

만성 부비동염 수술을 받는 환자의 80%에서 제거된 조직에 미생물막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막이 있는 환자는 정상적인 섬모와 잔 세포 형태를 가진 미생물막이 없는 대조군과 달리 섬모와 잔 세포가 제거된 것으로 나타났다.<ref>{{저널 인용|제목=Bacterial Biofilms in Surgical Specimens of Patien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저널=The Laryngoscope|성=Sanclement|이름=Jose A.|성2=Webster|이름2=Paul|url=http://doi.wiley.com/10.1097/01.mlg.0000161346.30752.18|날짜=2005-04|권=115|호=4|쪽=578–582|언어=en|doi=10.1097/01.mlg.0000161346.30752.18|성3=Thomas|이름3=John|성4=Ramadan|이름4=Hassan H.}}</ref> 미생물막은 언급된 10명의 건강한 대조군 중 2명의 샘플에서도 발견되었다. 수술 중 배양에서 얻은 박테리아의 종은 각 환자 조직의 미생물막에 있는 박테리아 종과 일치하지 않았다. 즉, 박테리아가 존재했지만 배양은 음성이었다.<ref>{{저널 인용|제목=Bacterial Biofilms on the Sinus Mucosa of Human Subjec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저널=The Laryngoscope|성=Sanderson|이름=Alicia R.|성2=Leid|이름2=Jeff G.|url=http://doi.wiley.com/10.1097/01.mlg.0000221954.05467.54|날짜=2006-07|권=116|호=7|쪽=1121–1126|언어=en|doi=10.1097/01.mlg.0000221954.05467.54|issn=0023-852X|성3=Hunsaker|이름3=Darrell}}</ref> 살아있는 동물에서 자라는 박테리아 세포를 구별하기 위해 새로운 염색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알레르기 염증이 있는 조직에서.<ref>{{저널 인용|제목=Optical Imaging of Bacterial Infection in Living Mice Using a Fluorescent Near-Infrared Molecular Probe|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성=Leevy|이름=W. Matthew|성2=Gammon|이름2=Seth T.|url=https://pubs.acs.org/doi/10.1021/ja0665592|날짜=2006-12-01|권=128|호=51|쪽=16476–16477|언어=en|doi=10.1021/ja0665592|issn=0002-7863|pmc=PMC2531239|pmid=17177377|성3=Jiang|이름3=Hua|성4=Johnson|이름4=James R.|성5=Maxwell|이름5=Dustin J.|성6=Jackson|이름6=Erin N.|성7=Marquez|이름7=Manuel|성8=Piwnica-Worms|이름8=David|성9=Smith|이름9=Bradley D.}}</ref>

연구에 따르면 치료 수준 이하의 β-락탐 항생제가 황색 포도구균에서 미생물막 형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치료 수준 이하의 항생제는 농업에서 성장 촉진제로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항생제 치료의 정상적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낮은 수준의 메티실린에 의해 유도된 미생물막 형성은 DNase에 의해 억제되었으며, 이는 치료 수준 이하의 항생제가 세포외 DNA 방출을 유도함을 시사한다.<ref>{{저널 인용|제목=Low Levels of β-Lactam Antibiotics Induce Extracellular DNA Release and Biofilm Formation in Staphylococcus aureus|저널=mBio|성=Kaplan|이름=Jeffrey B.|성2=Izano|이름2=Era A.|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mBio.00198-12|날짜=2012-08-31|편집자-성=Dunman|편집자-이름=Paul|편집자2-성=Pier|편집자2-이름=Gerald|권=3|호=4|쪽=e00198–12|언어=en|doi=10.1128/mBio.00198-12|issn=2161-2129|pmc=PMC3419523|pmid=22851659|성3=Gopal|이름3=Prerna|성4=Karwacki|이름4=Michael T.|성5=Kim|이름5=Sangho|성6=Bose|이름6=Jeffrey L.|성7=Bayles|이름7=Kenneth W.|성8=Horswill|이름8=Alexander R.}}</ref> 더욱이, 진화론적 관점에서, 병원성 미생물에서 공유지의 비극의 생성은 협력자가 될 때까지 병원성 박테리아의 야생형 '협력자'를 침범할 수 있는 유전자 조작된 침습적 사기꾼을 통해 미생물막으로 인한 만성 감염에 대한 고급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인구가 멸종하거나 전체 인구 '협력자와 사기꾼'이 멸종된다.<ref>{{저널 인용|제목=The tragedy of the commons and prisoner's dilemma may improve our realization of the theory of life and provide us with advanced therapeutic ways|성=Ibrahim|이름=Ahmed|url=http://rgdoi.net/10.13140/RG.2.1.2327.9842|날짜=2015|doi=10.13140/RG.2.1.2327.9842}}</ref>

=== 녹농균 ===
P. aeruginosa는 ​​다양한 유형의 미생물막 관련 만성 감염에 관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미생물막 모델 유기체를 나타낸다.<ref name=":7">{{저널 인용|제목=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 Infections: Community Structure, Antimicrobial Tolerance and Immune Response|저널=Journal of Molecular Biology|성=Rybtke|이름=Morten|성2=Hultqvist|이름2=Louise Dahl|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022283615004817|날짜=2015-11|권=427|호=23|쪽=3628–3645|언어=en|doi=10.1016/j.jmb.2015.08.016|성3=Givskov|이름3=Michael|성4=Tolker-Nielsen|이름4=Tim}}</ref> 이러한 감염의 예로는 낭포성 섬유증(CF) 환자의 만성 상처, 만성 중이염, 만성 전립선염 및 만성 폐 감염이 있다. CF 환자의 약 80%가 만성 폐 감염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PMN으로 둘러싸인 비표면 부착 미생물막에서 자라는 녹농균에 의해 유발된다.<ref>{{저널 인용|제목=Antimicrobial resistanc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nd role of biofilms in lung infections in cystic fibrosis patients|저널=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성=Ciofu|이름=Oana|성2=Tolker-Nielsen|이름2=Tim|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169409X14002828|날짜=2015-05|권=85|쪽=7–23|언어=en|doi=10.1016/j.addr.2014.11.017|성3=Jensen|이름3=Peter Østrup|성4=Wang|이름4=Hengzhuang|성5=Høiby|이름5=Niels}}</ref> 공격적인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감염은 여전히 ​​존재하며 폐에 대한 지속적인 염증 손상으로 인해 CF 환자의 흔한 사망 원인이다.<ref name=":7" /> CF 환자에서 초기 미생물막 발달을 치료하는 한 가지 치료법은 DNase를 사용하여 미생물막을 구조적으로 약화시키는 것이다.<ref>{{저널 인용|제목=Biofilm Cohesive Strength as a Basis for Biofilm Recalcitrance: Are Bacterial Biofilms Overdesigned?|저널=Microbiology Insights|성=Aggarwal|이름=Srijan|성2=Stewart|이름2=Philip S.|url=http://journals.sagepub.com/doi/10.4137/MBI.S31444|날짜=2015-01|권=8s2|쪽=MBI.S31444|언어=en|doi=10.4137/MBI.S31444|issn=1178-6361|pmc=PMC4718087|pmid=26819559|성3=Hozalski|이름3=Raymond M.}}</ref><ref>{{저널 인용|제목=Extracellular DNA Required for Bacterial Biofilm Formation|저널=Science|성=Whitchurch|이름=Cynthia B.|성2=Tolker-Nielsen|이름2=Tim|url=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295.5559.1487|날짜=2002-02-22|권=295|호=5559|쪽=1487–1487|언어=en|doi=10.1126/science.295.5559.1487|issn=0036-8075|성3=Ragas|이름3=Paula C.|성4=Mattick|이름4=John S.}}</ref>

녹농균(P. aeruginosa)의 미생물막 형성은 다른 박테리아와 함께 만성 상처 감염의 90%에서 발견되며, 이는 미국에서 매년 미화 250억 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는 높은 치료 비용과 열악한 치유를 초래한다.<ref>{{저널 인용|제목=Human skin wounds: A major and snowballing threat to public health and the economy|저널=Wound Repair and Regeneration|성=Sen|이름=Chandan K.|성2=Gordillo|이름2=Gayle M.|url=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1524-475X.2009.00543.x|날짜=2009-11|권=17|호=6|쪽=763–771|언어=en|doi=10.1111/j.1524-475X.2009.00543.x|pmc=PMC2810192|pmid=19903300|성3=Roy|이름3=Sashwati|성4=Kirsner|이름4=Robert|성5=Lambert|이름5=Lynn|성6=Hunt|이름6=Thomas K.|성7=Gottrup|이름7=Finn|성8=Gurtner|이름8=Geoffrey C.|성9=Longaker|이름9=Michael T.}}</ref> 녹농균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숙주 상피 세포는 락토페린과 같은 항균 펩티드를 분비하여 미생물막 형성을 방지한다.<ref>{{저널 인용|제목=A component of innate immunity prevents bacterial biofilm development|저널=Nature|성=Singh|이름=Pradeep K.|성2=Parsek|이름2=Matthew R.|url=http://www.nature.com/articles/417552a|날짜=2002-05|권=417|호=6888|쪽=552–555|언어=en|doi=10.1038/417552a|issn=0028-0836|성3=Greenberg|이름3=E. Peter|성4=Welsh|이름4=Michael J.}}</ref>

==== 폐렴연쇄구균 ====
Streptococcus pneumoniae는 지역사회획득 폐렴과 어린이와 노인의 수막염, HIV 감염자의 패혈증의 주요 원인이다. S. pneumoniae가 미생물막에서 성장하면 산화 스트레스에 반응하고 능력을 유도하는 유전자가 구체적으로 발현된다.<ref>{{저널 인용|제목=Switch from planktonic to sessile life: a major event in pneumococcal pathogenesis|저널=Molecular Microbiology|성=Oggioni|이름=Marco R.|성2=Trappetti|이름2=Claudia|url=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1365-2958.2006.05310.x|날짜=2006-09|권=61|호=5|쪽=1196–1210|언어=en|doi=10.1111/j.1365-2958.2006.05310.x|issn=0950-382X|pmc=PMC1618759|pmid=16925554|성3=Kadioglu|이름3=Aras|성4=Cassone|이름4=Marco|성5=Iannelli|이름5=Francesco|성6=Ricci|이름6=Susanna|성7=Andrew|이름7=Peter W.|성8=Pozzi|이름8=Gianni}}</ref> 미생물막의 형성은 펩타이드(CSP)를 자극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 CSP는 정족수 감지 펩타이드로도 기능한다. 그것은 미생물막 형성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폐렴과 수막염의 독성을 증가시킨다.

능력 개발과 미생물막 형성은 숙주의 방어에서 살아남기 위한 S. pneumoniae의 적응이라고 제안되었다.<ref name=":6" /> 특히, 숙주의 다형핵 백혈구는 침입하는 박테리아를 방어하기 위해 산화 폭발을 일으키며, 이 반응은 박테리아의 DNA를 손상시켜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다. 미생물막에 있는 유능한 S. 뉴모니애는 미생물막의 근처 세포에서 변형 DNA를 더 쉽게 흡수하여 DNA의 산화 손상을 재조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생존 이점이 있다. Competent S. pneumoniae는 또한 non-competent cell(fratricide)을 파괴하는 효소(murein hydrolase)를 분비하여 DNA를 Competent 세포에서 잠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변 배지로 방출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Fratricide Is Essential for Efficient Gene Transfer between Pneumococci in Biofilms|저널=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성=Wei|이름=Hua|성2=Håvarstein|이름2=Leiv Sigve|url=https://journals.asm.org/doi/10.1128/AEM.01343-12|날짜=2012-08-15|권=78|호=16|쪽=5897–5905|언어=en|doi=10.1128/AEM.01343-12|issn=0099-2240|pmc=PMC3406168|pmid=22706053}}</ref>

곤충 항균 펩타이드 cecropin A는 단독으로 또는 항생제 nalidixic acid와 결합하여 플랑크톤성 및 고착성 미생물막 형성 요로병원성 E. coli 세포를 파괴할 수 있으며, 표적을 벗어난 세포 독성 없이 생체 내(곤충 숙주 Galleria mellonella에서) 감염을 상승적으로 제거한다. 다중 표적 작용 메커니즘은 외막 투과화에 이어 유출 펌프 활동의 억제와 세포외 및 세포내 핵산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미생물막 파괴를 포함한다.<ref>{{저널 인용|제목=The insect antimicrobial peptide cecropin A disrupts u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biofilms|저널=npj Biofilms and Microbiomes|성=Kalsy|이름=Miriam|성2=Tonk|이름2=Miray|url=http://www.nature.com/articles/s41522-020-0116-3|날짜=2020-12|권=6|호=1|쪽=6|언어=en|doi=10.1038/s41522-020-0116-3|issn=2055-5008|pmc=PMC7016129|pmid=32051417|성3=Hardt|이름3=Martin|성4=Dobrindt|이름4=Ulrich|성5=Zdybicka-Barabas|이름5=Agnieszka|성6=Cytrynska|이름6=Malgorzata|성7=Vilcinskas|이름7=Andreas|성8=Mukherjee|이름8=Krishnendu}}</ref>

=== 대장균 ===
대장균 미생물막은 많은 장내 감염 질환을 유발한다.<ref>{{저널 인용|제목=The role of quorum sensing in Escherichia coli (ETEC) virulence factors|저널=Veterinary Microbiology|성=Sturbelle|이름=Régis Tuchtenhagen|성2=Avila|이름2=Luciana Farias da Costa de|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378113515300055|날짜=2015-11|권=180|호=3-4|쪽=245–252|언어=en|doi=10.1016/j.vetmic.2015.08.015|성3=Roos|이름3=Talita Bandeira|성4=Borchardt|이름4=Jéssica Lopes|성5=de Cássia dos Santos da Conceição|이름5=Rita|성6=Dellagostin|이름6=Odir Antonio|성7=Leite|이름7=Fábio Pereira Leivas}}</ref> 대장균(ExPEC)의 장외 그룹은 요로 감염을 유발하는 비뇨기계를 공격하는 지배적인 박테리아 그룹이다.<ref>{{저널 인용|제목=Life on the outside: role of biofilms in environmental persistence of Shiga-toxin producing Escherichia coli|저널=Frontiers in Microbiology|성=Vogeleer|이름=Philippe|성2=Tremblay|이름2=Yannick D. N.|url=http://journal.frontiersin.org/article/10.3389/fmicb.2014.00317/abstract|날짜=2014-07-01|권=5|doi=10.3389/fmicb.2014.00317|issn=1664-302X|성3=Mafu|이름3=Akier A.|성4=Jacques|이름4=Mario|성5=Harel|이름5=Josée}}</ref> 이러한 병원성 대장균의 미생물막 형성은 복잡한 응집 구조로 인해 근절하기 어렵고, 공격적인 의학적 합병증, 입원율 증가 및 치료 비용 증가에 크게 기여한다.[116][117] 대장균 미생물막의 발달은 의료 기기 관련 감염의 발달에 기여함으로써 병원에서 요로 감염(UTI)의 일반적인 주요 원인이다. 카테터 관련 요로 감염(CAUTI)은 카테터 내부에 병원성 대장균 미생물막의 형성으로 인해 가장 흔한 병원 획득 감염이다.[118]

=== 황색포도상구균 ===
황색 포도구균 병원체는 피부와 폐를 공격하여 피부 감염과 폐렴을 유발할 수 있다.[119][120] 또한, S. 아우레우스의 미생물막 감염 네트워크는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가 박테리아 세포를 제거하고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21] 또한, S. aureus와 같은 박테리아에 의한 미생물막 형성은 항생제 약물에 대한 내성을 발달시킬 뿐만 아니라 항균 펩타이드(AMP)에 대한 내부 내성을 발달시켜 병원체의 억제를 방지하고 생존을 유지하게 한다.[122]

== 용도 및 영향 ==

=== 의학 ===
인간의 세균 감염의 약 2/3가 미생물막과 관련되어 있다고 제안된다.[48][123] 미생물막 성장과 관련된 감염은 일반적으로 근절하기 어렵다.[124] 이것은 대부분 성숙한 미생물막이 항균 내성과 면역 반응 회피를 나타낸다는 사실에 기인한다.[125]<ref name=":7" /> 미생물막은 종종 카테터, 인공 심장 판막 및 자궁 내 장치와 같은 이식 장치의 불활성 표면에 형성된다.[126] 치료하기 가장 어려운 감염 중 일부는 의료 기기 사용과 관련된 감염이다.[48][98]

생의학 장치 및 조직 공학 관련 제품에 대한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장되는 산업은 이미 연간 1,800억 달러 규모이지만 이 산업은 미생물 군집화로 계속해서 고통받고 있다. 아무리 정교하더라도 미생물 감염은 모든 의료 기기 및 조직 공학 구성에서 발생할 수 있다.[125] 병원 획득 감염의 60-70%는 생체 의료 기기의 이식과 관련이 있다.[125] 이로 인해 미국에서는 연간 200만 건의 사례가 발생하고 의료 시스템에 50억 달러 이상의 추가 의료 비용이 발생한다.[125]

미생물막의 항생제 내성 수준은 미생물막이 아닌 박테리아보다 훨씬 더 크며 5,000배나 더 높을 수 있다.[48] 미생물막의 세포외 기질은 미생물막 구조로의 항생제 침투를 감소시킬 수 있고 항생제 내성에 기여할 수 있는 주요 인자 중 하나로 간주된다.[127] 또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의 진화는 미생물막 생활 방식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128] 소량의 항생제와 함께 미생물막을 둘러싸고 있는 액체에 작은 전류를 도입하면 항생제 내성 수준을 미생물막이 아닌 박테리아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생체 전기 효과라고 한다.[48][129] 자체적으로 작은 DC 전류를 가하면 미생물막이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48] 연구에 따르면 사용된 전류의 유형은 생체 전기 효과에 차이가 없었다.[129]

=== 산업 ===
미생물막은 건설적인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하수 처리장에는 유기 화합물을 추출하고 소화하는 필터에서 성장한 미생물막을 폐수가 통과하는 2차 처리 단계가 포함된다. 이러한 미생물막에서 박테리아는 주로 유기물(BOD)의 제거를 담당하는 반면, 원생동물 및 로티퍼는 주로 병원체 및 기타 미생물을 포함한 부유 고형물(SS)의 제거를 담당한다. 완속 모래 필터는 식수로 호수, 샘 또는 강에서 지표수를 여과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미생물막 개발에 의존한다. 우리가 깨끗한 물로 간주하는 것은 사실상 이러한 미세 세포 유기체의 폐기물이다. 미생물막은 오염된 바다나 해양 시스템에서 석유 오일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름은 탄화수소 파괴 박테리아(HCB) 군집의 탄화수소 분해 활동에 의해 제거된다.[130] 미생물막은 미생물 연료 전지(MFC)에서 복잡한 유기 폐기물 및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를 비롯한 다양한 출발 물질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7][131][132] 미생물막은 생물침출 산업에서 금속 용해 개선과도 관련이 있다.[133]

=== 식품업 ===
미생물막은 식물과 산업 공정에서 형성되는 능력으로 인해 여러 식품 산업에서 문제가 되었다.[134] 박테리아는 물, 동물 분뇨 및 토양에서 장기간 생존하여 식물 또는 처리 장비에 미생물막을 형성할 수 있다.[135] 미생물막의 형성은 표면을 가로지르는 열 흐름에 영향을 미치고 표면 부식 및 유체의 마찰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136] 이는 시스템의 에너지 손실과 제품의 전반적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136] 경제적 문제와 함께 식품의 미생물막 형성은 식품을 소독제에 더 잘 견디게 하는 능력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건강 위험을 초래한다.[134] 그 결과, 1996년부터 2010년까지 질병 통제 예방 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는 4,800만 건의 식인성 질병을 추정했다. 연간.[134] 미생물막은 미국에서 세균 감염의 약 80%와 관련이 있다.[134]

농산물에서 미생물은 표면에 부착되고 미생물막은 내부적으로 발달한다.[134] 세척 과정에서 미생물막은 살균에 저항하고 박테리아가 농산물 전체에 퍼질 수 있도록 한다.[134] 이 문제는 즉석 식품에서도 발견된다. 식품은 소비 전에 제한된 세척 절차를 거치기 때문이다.[134] 유제품의 부패성 및 세척 절차의 제한으로 인해 박테리아가 축적되기 때문에 유제품은 미생물막 형성 및 오염.[134][136] 박테리아는 제품을 더 쉽게 부패시킬 수 있고 오염된 제품은 소비자에게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다양한 산업에서 발견될 수 있고 식인성 질병의 주요 원인인 박테리아의 한 종은 살모넬라이다.[137] 살모넬라 균주의 약 50%가 가금류 농장에서 미생물막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가금류 가공 산업에서 다량의 살모넬라 오염이 발견될 수 있다.[134] 살모넬라 균은 가금류 제품을 제대로 세척하고 조리하지 않으면 식인성 질병의 위험을 높이다. 살모넬라는 해산물 자체와 수중에서 해산물 매개 병원체로부터 미생물막이 형성되는 해산물 산업에서도 발견된다.[137] 새우 제품은 비위생적인 가공 및 취급 기술로 인해 일반적으로 살모넬라균의 영향을 받다.[137] 새우 및 기타 해산물 제품의 준비 과정은 제품에 박테리아가 축적될 수 있다.[137]

이러한 공정에서 미생물막 형성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세척 절차가 테스트되고 있으며 이는 보다 안전하고 생산적인 식품 가공 산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청소 절차는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종종 유독 가스를 지하수 저장소로 방출한다.[136] 미생물막 형성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공격적인 방법에 대한 대응으로 미생물막 분비 미생물의 증식 또는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많은 새로운 기술과 화학 물질이 조사 중에 있다. 현저한 항미생물막 활성을 나타내는 최근 제안된 생체분자에는 세균성 람노지질[138], 심지어 식물[139] 및 동물 유래 알칼로이드와 같은 다양한 대사 산물이 포함된다.[140]

=== 양식업 ===
조개류와 조류 양식에서 생물 오손 미생물 종은 그물과 새장을 막는 경향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공간과 음식에 대해 양식 종을 압도한다.[141] 박테리아 미생물막은 생물 오손 종에 더 유리한 미세 환경을 생성하여 콜로니화 과정을 시작한다. 해양 환경에서 미생물막은 선박 및 프로펠러의 유체역학적 효율을 감소시키고 파이프라인 막힘 및 센서 오작동을 일으키며 해수에 배치되는 기기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142] 많은 연구에서 미생물막이 민물 양식에서 잠재적으로 병원성 박테리아의 저장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43][144][145][146] 앞서 언급했듯이 미생물막은 항생제나 화학물질을 고용량으로 사용하더라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147][148] 미생물막이 세균성 어류 병원체의 저장소로서 수행하는 역할은 자세히 조사되지 않았지만 확실히 연구할 가치가 있다.


==활용==
==활용==

2022년 10월 13일 (목) 15:15 판

카테터에 서식하는 '황색 포도상구균'의 미생물막

미생물막(微生物膜, 영어: biofilm)은 미생물의 집합체로, 부착표면에 세포들이 서로 들러붙은 것을 말한다. 생물막(生物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세포들은 종종 스스로 생산한 '세포 밖 고분자 물질'(EPS)의 망 내부에 조밀하게 끼워져 있다. 미생물막 EPS는 세포 외부의 유전자, 단백질, 다당류로 이루어진 고분자 복합체이다. 미생물막은 생물 또는 무생물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산업 시설이나 병원등 환경공학적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1] 미생물막에서 자라는 미생물 균체는 생리학적으로 액체 배양액에 떠 있거나 헤엄치는 부유성 생물의 단일 세포 또는 활성슬러지(MLSS)와는 구별된다.

미생물들은 여러 요소들에 반응하여 미생물막을 형성하는데, 그 중에는 표면의 특정 또는 불특정 부착 부위의 세포의 인식. 영양 신호,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부유성 원생생물등을 포함하는 고착성 원생생물들이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가 포함된다.[2][3]미생물막 박테리아는 영양분을 공유할 수 있으며 건조, 항생제 및 숙주 신체의 면역 체계와 같은 환경의 유해 요인으로부터 보호기능을 한다. 미생물막은 일반적으로 자유롭게 헤엄치는 박테리아가 표면에 부착될 때 형성되기 시작한다.[4]

기원과 형성

기원

미생물막은 원시 지구에서 원핵생물의 방어 메커니즘으로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의 조건은 생존하기에 너무 가혹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지구 화석 기록(약 32억 5000만 년 전)에서 존재한 고세균과 박테리아로 매우 초기에 발견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원핵 세포에 항상성을 제공하여 미생물막에서 세포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의 발달을 촉진하여 원핵 세포를 보호한다.[5]

형성

미생물막의 형성은 표면에 자유롭게 떠 있는 미생물의 부착으로 시작된다.[6][7] 미생물막의 첫 번째 콜로니 박테리아는 약한 반데르발스 힘과 소수성 효과에 의해 초기에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8][9] 콜로니의 균이 표면에서 즉시 분리되지 않으면 필리와 같은 세포 접착 구조를 사용하여 더 영구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 무산소 지하수에 서식하는 독특한 고세균군은 하미(hami)라고 불리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 하무스(hamus)는 서로 또는 표면에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3개의 갈고리 부착물이 있는 긴 튜브로 커뮤니티가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10] 고온성 고세균인 Pyrobaculum calidifontis는 박테리아 미생물막 안정성에 기여하는 박테리아 미생물막의 세포외 기질의 주요 구성요소인 박테리아 TasA 필라멘트와 상동인 번들링 필리를 생성한다.[11] TasA 상동체는 다른 많은 고세균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으며, 이는 세균과 고세균 미생물막 사이의 기계적 유사성과 진화적 연결을 시사한다.[11]

소수성은 또한 박테리아가 미생물막을 형성하는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증가된 소수성을 가진 박테리아는 기질과 박테리아 사이의 반발력을 감소시켰다.[12] 일부 박테리아 종은 제한된 운동성으로 인해 자체적으로 표면에 성공적으로 부착할 수 없지만 대신 매트릭스에 스스로를 고정하거나 다른 초기 박테리아 콜로니에 직접 고정할 수 있다. 비운동성 박테리아는 운동성 박테리아만큼 쉽게 표면을 인식하거나 함께 뭉칠 수 없다.[12]

표면 집락화 동안 박테리아 세포는 N-아실 호모세린 락톤(AHL)과 같은 정족수 감지(QS) 제품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일단 콜로니화가 시작되면 미생물막은 세포 분열과 모집의 조합에 의해 성장한다. 다당류 매트릭스는 일반적으로 박테리아 미생물막을 둘러싸고 있다. 기질 엑소폴리사카라이드는 포식자 탐지를 방지하고 박테리아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미생물막 내에 QS 자가유도제를 가둘 수 있다.[13] 다당류 외에도 이러한 매트릭스에는 미네랄, 토양 입자 및 적혈구 및 섬유소와 같은 혈액 성분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주변 환경의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12] 미생물막 형성의 마지막 단계는 분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생물막이 형성되고 모양과 크기만 변할 수 있는 단계이다.

미생물막의 발달은 응집 세포 군체(또는 군체)가 점점 더 내성이 생기거나[14] 항생제에 내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세포 간 통신 또는 정족수 감지는 여러 박테리아 종에서 미생물막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개발

미생물막은 미생물 발달 과정의 산물이다.[16] 이 과정은 아래 다이어그램과 같이 미생물막 개발의 5가지 주요 단계로 요약된다.[17]

Mature biofilm structure[18]
Biofilm is characterised by heterogenous environment and the presence of a variety of subpopulations. A biofilm structure is composed of metabolically active (both resistant and tolerant) and non-active cells (viable but not culturable cells and persisters) as well as polymer matrix consisting of polysaccharide, extracellular DNA and proteins. Biofilm growth is associated with an escalated level of mutations and horizontal gene transfer which is promoted in due to the packed and dense structure. Bacteria in biofilms communicate by quorum sensing, which activates genes participating in virulence factors production.[18][19]
Five stages of biofilm development[20]
(1) Initial attachment, (2) Irreversible attachment, (3) Maturation I, (4) Maturation II, and (5) Dispersion. Each stage of development in the diagram is paired with a photomicrograph of a developing P. aeruginosa biofilm. All photomicrographs are shown to the same scale.

분산

미생물막 콜로니에서 세포의 분산은 미생물막 수명 주기의 필수 단계이다. 분산은 미생물막이 새로운 표면을 퍼뜨리고 콜로니화할 수 있도록 한다. dispersin B 및 deoxyribonuclease와 같은 미생물막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는 미생물막 분산에 기여할 수 있다.[21][22] 미생물막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는 항미생물막 제제로 유용할 수 있다.[23][24] 증거에 따르면 지방산 메신저인 cis-2-decenoic acid는 분산을 유도하고 미생물막 집락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해 분비되는 이 화합물은 여러 종의 박테리아와 효모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서 사이클로 이형 세포를 유도한다.[25] 산화질소는 또한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여러 박테리아 종[26][27]의 미생물막 분산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질소는 미생물막으로 인한 만성 감염이 있는 환자의 치료제로 잠재력이 있다.[28]

일반적으로 미생물막에서 분산된 세포는 즉시 플랑크톤 성장 단계에 들어간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미생물막에서 분산된 세포의 생리학은 플랑크톤 및 미생물막 세포의 생리학과 크게 다르다.[29][30] 따라서 분산 과정은 미생물막에서 박테리아의 플랑크톤 생활 방식으로 전환하는 동안 독특한 단계이다. 분산된 세포는 대식세포와 Caenorhabditis elegans에 대해 독성이 높지만 플랑크톤 세포에 비해 철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밝혀졌다.[29]

속성

미생물막은 일반적으로 수용액에 잠겨 있거나 수용액에 노출된 고체 기질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습도가 높은 기후에서는 액체 표면과 잎 표면에 떠 있는 매트로 형성될 수 있다. 성장을 위한 충분한 자원이 주어지면 미생물막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거시적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이다. 미생물막에는 다양한 유형의 미생물이 포함될 수 있다. 박테리아, 고세균, 원생동물, 균류 및 조류 등의 각 그룹은 특수 대사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일부 유기체는 특정 조건에서 단일 종만으로 필름을 형성한다. 미생물막 내의 사회 구조(협력/경쟁)는 기존에 존재한 다른 종에 크게 의존한다.[31]

세포외기질

세포외기질은 엑소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및 핵산으로 구성된다.[32][33][34] EPS의 많은 부분이 다소 강하게 수화되지만 소수성 EPS도 발생한다. 한 가지 예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셀룰로오스[35]이다. 이 매트릭스는 그 안에 있는 세포를 감싸고 생화학적 신호와 유전자 교환을 통해 세포 간의 의사 소통을 촉진한다. EPS 매트릭스는 또한 세포외 효소를 포획하여 세포에 가깝게 유지한다. 따라서 매트릭스는 외부 소화 시스템을 나타내며 다른 종의 안정적인 시너지 마이크로컨소시엄을 허용한다.[36] 일부 미생물막은 영양분과 신호 분자를 분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37] 이 매트릭스는 특정 조건에서 미생물막이 화석화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다(스트로마톨라이트).

미생물막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종의 자유 부유 박테리아와 상당히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막의 조밀하고 보호된 환경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협력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38] 이 환경의 한 가지 이점은 조밀한 세포외 기질과 세포의 외부층이 공동체 내부를 보호하기 때문에 세제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증가한다는 것이다.[39][40] 어떤 경우에는 항생제 내성이 5,00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41] 측면 유전자 전달은 종종 세균 및 고세균 미생물막 내에서 촉진되고[42] 보다 안정적인 미생물막 구조로 이어진다.[43] 세포외 DNA는 다양한 미생물 미생물막의 주요 구조적 구성요소이다.[44] 세포외 DNA의 효소적 분해는 미생물막 구조를 약화시키고 표면에서 미생물 세포를 방출할 수 있다.

그러나 미생물막이 항상 항생제에 덜 민감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미생물막 형태는 고정상 플랑크톤 세포보다 항균제에 대한 내성이 크지 않지만, 미생물막이 대수상 플랑크톤 세포와 비교할 때 미생물막은 항균제에 대한 내성이 더 크다. 정지상 세포와 미생물막 모두에서 항생제에 대한 이러한 내성은 지속 세포의 존재 때문일 수 있다.[45]

서식지

미생물막은 유기체의 어디에나 존재한다. 거의 모든 종류의 미생물은 표면과 서로에 부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미생물막은 비멸균 수성 또는 습한 환경에서 거의 모든 비흘림 표면에 형성된다. 미생물막은 가장 극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뜨겁고 염도가 높은 온천수에서 매우 산성에서 매우 알칼리성, 얼어붙은 빙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미생물막은 대부분의 개울이나 강의 바닥에 있는 바위와 자갈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종종 고인 물 웅덩이의 표면에 형성된다. 미생물막은 강과 하천의 먹이 사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많은 물고기가 먹이를 먹는 수생 무척추 동물이 방목한다. 미생물막은 식물의 표면과 내부에서 발견된다. 그들은 작물 질병에 기여하거나 뿌리 결절에 질소 고정 rhizobia의 경우와 같이 식물과 공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46] 미생물막과 관련된 작물 질병의 예로는 감귤병, 포도의 피어스병, 고추 및 토마토와 같은 식물의 세균성 반점이 있다.[47]

여과 필터

하수 처리 작업의 여과 필터는 침전된 하수에서 오염 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그들은 매우 큰 표면적을 갖도록 설계된 단단한 재료의 베드 위에 액체를 살포하여 작동한다. 오염 물질을 흡수, 흡착 및 대사하는 복잡한 미생물막이 배지 표면에 형성된다. 미생물막은 빠르게 성장하고 너무 두꺼워져 매체에 대한 그립을 유지할 수 없게 되면 씻어내고 새로 성장한 막으로 대체된다. 씻겨나간("슬러프된") 필름은 액체 흐름에서 침전되어 고도로 정제된 유출물을 남긴다.[48]

완속 모래 필터

완속 모래 필터[49]는 음용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수를 처리하기 위한 정수에 사용된다. 그들은 미세한 모래 층의 맨 위 몇 밀리미터에서 하층층 또는 슈무츠데케(Schmutzdecke)라고 불리는 미생물막의 형성을 통해 작동한다. Schmutzdecke는 작동 첫 10-20일 동안 형성되며[50] 박테리아, 균류, 원생동물, 로티페라 및 다양한 수생 곤충 유충으로 구성된다. epigeal biofilm이 노화됨에 따라 더 많은 조류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부 선천동물, 달팽이 및 annelid 웜을 포함하여 더 큰 수생 유기체가 존재할 수 있다. 표면 미생물막은 음용수 처리에서 효과적인 정화를 제공하는 층이며, 밑에 있는 모래는 이 생물학적 처리 층을 위한 지지 매체를 제공한다. 물이 hypogeal 층을 통과함에 따라 이물질 입자가 점액질 표면에 포획되고 가용성 유기 물질이 흡착된다. 오염 물질은 박테리아, 곰팡이 및 원생 동물에 의해 대사된다. 예시적인 완속 모래 필터에서 생성된 물은 90-99% 박테리아 세포 수 감소로 우수한 품질이다.[51]

근권

식물에 유익한 미생물은 식물 성장을 촉진하는 리조박테리아로 분류할 수 있다.[52] 이러한 식물 성장 촉진제는 식물의 뿌리에 서식하며 질소 고정, 병원체 억제, 항진균 특성 및 유기 물질의 분해를 포함하여 숙주에게 광범위한 유익한 기능을 제공한다.[53] 이러한 기능 중 하나는 유도 전신 저항(ISR)[54] 또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유발된 유도 전신 반응(병원체 유발 전신 획득 저항)을 통해 병원성 토양 매개 박테리아 및 진균에 대한 방어이다.[55] 식물 삼출물은 숙주 특정 박테리아가 군집을 형성하도록 하는 화학적 신호로 작용한다.[56] Rhizobacteria 콜로니화 단계에는 매력, 인식, 준수, 콜로니화 및 성장이 포함된다.[53] 유익하고 미생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진 박테리아에는 Bacillus, Pseudomonas 및 Azospirillum이 포함된다.[57][58] 근권(Rhizosphere)의 미생물막은 종종 병원체 또는 식물 유도 전신 저항을 초래한다. 박테리아 표면의 분자 특성은 식물 숙주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56] 이러한 미생물 관련 분자는 식물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고 여러 유전자좌에서 여러 다른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생화학적 반응을 활성화한다.[56] 여러 다른 신호 분자가 유도된 전신 반응과 자스몬산 및 에틸렌과 같은 병원체에 의한 전신 반응 모두에 연결되어 있다.[53] 식물 세포가 병원체의 구성 요소로 인식하는 박테리아 편모 및 지질 다당류와 같은 세포 외피 구성 요소.[59] Pseudomonas에 의해 생성된 특정 철 대사 산물은 또한 유도된 전신 반응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6] 미생물막의 이러한 기능은 식물이 병원체에 대한 더 강한 저항력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미생물막을 형성하는 PGPR에 의해 콜로니화된 식물은 전신 저항을 얻었고 병원체에 대한 방어를 위해 준비되었다. 이것은 병원체로부터 식물을 방어하기 위해 작용하는 단백질 생산에 필요한 유전자가 발현되었고 식물이 병원체와 싸우기 위해 방출하는 화합물의 "비축량"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56] 프라이밍된 방어 시스템은 병원체에 의해 유발된 감염에 반응하는 데 훨씬 더 빠르며 병원체가 스스로 정착하기 전에 방향을 틀 수 있다.[60] 식물은 리그닌의 생산을 증가시켜 세포벽을 강화하고 병원체가 세포로 침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동시에 이미 감염된 세포의 영양분을 차단하여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53] 그들은 병원균의 성장을 방지하는 파이토알렉신, 키티나제 및 프로테이나제 억제제와 같은 항균 화합물을 생성한다.[55] 이러한 질병억제 및 병원균 저항성의 기능은 궁극적으로 농업생산을 증가시키고 질병으로 인한 농작물 손실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화학농약, 제초제, 살균제의 사용을 감소시킨다.[61] 유도된 전신 저항성과 병원체에 의한 전신 획득 저항성은 모두 근권에서 미생물막의 잠재적 기능이며 위험한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질병 억제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뉴에이지 농업 관행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한다.

포유류의 내장

2003년의 연구에 따르면 면역 체계가 대장의 미생물막 발달을 지원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것은 주로 면역계에 의해 가장 풍부하게 생성되는 두 분자가 미생물막 생성을 지원하고 장에서 발달된 미생물막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이것은 충수가 이러한 박테리아 미생물막의 대량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한다.[62] 이 발견은 맹장의 가능한 기능과 맹장이 장에 좋은 장내 세균총을 재접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장내 미생물막의 변형되거나 파괴된 상태는 염증성 장 질환 및 결장직장암과 같은 질병과 관련이 있다.[63]

인간 환경

인간 환경에서 미생물막은 번식할 수 있는 습하고 따뜻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소나기에서 매우 쉽게 자랄 수 있다. 그들은 상하수도관 내부에 형성되어 막힘 및 부식을 일으킬 수 있다. 바닥과 카운터에서 음식 준비 구역의 위생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토양에서는 생물학적 막힘을 유발할 수 있다. 냉각 또는 가열 수 시스템에서 열 전달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4] 해양 석유 및 가스 산업의 파이프라인과 같은 해양 엔지니어링 시스템의 미생물막은 심각한 부식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부식은 주로 비생물적 요인으로 인한 것이다. 그러나 부식의 최소 20%는 금속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발생한다(즉, 미생물의 영향을 받는 부식).

선박 오염

보트 선체에 대한 박테리아 부착은 항해 선박의 생물학적 오염의 기초 역할을 한다. 박테리아 필름이 형성되면 따개비와 같은 다른 해양 생물이 더 쉽게 부착된다. 이러한 오염은 최대 선박 속도를 최대 20%까지 감소시켜 항해를 연장하고 연료를 소비할 수 있다. 재조립 및 재도장을 위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시간은 선박 자산의 생산성을 감소시키고 선박의 선체에서 해양 생물의 부식 및 기계적 제거(스크레이핑)로 인해 선박의 수명도 단축된다.

스트로마톨라이트

스트로마톨라이트는 미생물 미생물막, 특히 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한 퇴적 입자의 포획, 결합 및 접합에 의해 얕은 물에서 형성된 층상 부착 구조이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생명체의 기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형성되고 있다.

치태

인체 내에서 미생물막은 치아에 치태로 존재하여 충치 및 잇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막은 치과 기구로 제거할 수 있는 석회화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제거하기 더 어려운 석회화된 상태일 수 있다. 제거 기술에는 항균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65]

치태는 치아에 달라붙는 구강 미생물막으로, 타액 중합체와 미생물 세포외 제품에 박혀 있는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와 진균(예: Streptococcus mutans 및 Candida albicans)으로 구성된다. 미생물이 축적되면 치아와 치은 조직이 고농도의 세균 대사 물질에 노출되어 치아 질환이 발생한다. 치아 표면의 미생물막은 산화 스트레스[66]와 산성 스트레스[67]를 자주 받는다. 식이 탄수화물은 구강 미생물막의 pH를 4 이하(산성 스트레스)로 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67] 37°C의 체온에서 pH 4는 DNA의 탈퓨린화를 일으켜 DNA에 아퓨린(AP) 부위를 남기고[68] 특히 구아닌이 손실된다.[69]

치태 미생물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면 치아 우식증이 발생할 수 있다. 치아 미생물막 내의 균형 잡힌 개체군에서 멀어지는 생태학적 변화는 환경이 우호적일 때 우세하기 시작하는 특정(충치 유발) 미생물 개체군에 의해 주도된다. 산성, 산성, 우식성 미생물 집단으로의 이동은 발효성 탄수화물의 빈번한 섭취에 의해 발생하고 유지된다. 미생물막의 활성 이동(및 치아 표면의 미생물막 내 산 생성)은 탈회와 재광화 사이의 불균형과 관련되어 치아 경조직(법랑질 다음 상아질) 내 순 무기질 손실, 징후 및 증상 우식병이 되는 것. 치태 미생물막이 성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우식을 유발하지 않는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치아 우식을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다.[70][71] 이것은 발효 가능한 탄수화물(즉, 설탕 섭취)의 공급을 줄이고 미생물막을 자주 제거하는(즉, 칫솔질) 행동 단계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70]

세포간 연결

S. mutans의 펩티드 페로몬 정족수 감지 신호 시스템에는 유전적 능력을 제어하는 ​​능력 자극 펩티드(CSP)가 포함된다.[72][73] 유전적 능력은 세포가 다른 세포에서 방출된 DNA를 흡수하는 능력이다. 능력은 유전적 변형, 즉 성적 상호작용의 한 형태로, 높은 세포 밀도 및/또는 스트레스가 있는 조건에서 선호되며, 능력이 있는 세포와 근처 기증자 세포에서 방출된 DNA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최대 기회가 있는 조건에서 선호된다. 이 시스템은 S. mutans 세포가 활발하게 성장하는 미생물막에 존재할 때 최적으로 발현된다. 미생물막으로 성장한 S. mutans 세포는 액체에 부유하는 자유 부유 플랑크톤 세포로 성장하는 S. mutans보다 10-600배 더 빠른 속도로 유전적으로 형질전환된다.[74]

S. mutans 및 관련 구강 연쇄상 구균을 포함하는 미생물막이 산성 스트레스를 받으면 능력 레굴론이 유도되어 산에 의해 사멸되는 저항성을 유발한다.[67] Michod et al.이 지적한 바와 같이, 박테리아 병원체의 형질전환은 DNA 손상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재조합 복구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75] S. mutans는 부분적으로 능력과 변형에 의해 제공되는 재조합 복구를 통해 구강 미생물막의 빈번한 산 스트레스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이다.

포식-피식자 연결

토양에 서식하는 선충인 Caenorhabditis elegans와 같은 미생물막과 박테리아 사이의 포식자-먹이 상호작용은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Yersinia pestis 미생물막은 끈적끈적한 기질의 생성과 응집체의 형성을 통해 C. elegans의 입을 막아 섭식을 방지할 수 있다.[76] 더욱이, Pseudomonas aeruginosa 미생물막은 '늪지 표현형'이라고 하는 C. elegans의 미끄러지는 운동성을 방해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미생물막 내에 C. elegans가 갇히고 감수성 미생물막을 섭식하는 선충의 탐색을 방지할 수 있다.[77] 이것은 포식자의 먹이 및 번식 능력을 현저히 감소시켜 미생물막의 생존을 촉진했다.

분류학적 다양성

그람 양성균(예: Bacillus spp,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spp 및 Lactobacillus plantarum 및 Lactococcus lactis를 포함한 젖산균) 및 그람 음성 종(예: Escherichia coli 또는 Pseudomosa)을 비롯한 많은 다른 세균이 미생물막을 형성한다.[78] 남조류는 또한 수중 환경에서 미생물막을 형성한다.[79]

미생물막은 식물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다.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fluorescens 및 관련 pseudomonads는 잎, 뿌리 및 토양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식물 관련 박테리아이며 대부분의 자연 분리균은 미생물막을 형성한다.[80] Rhizobium leguminosarum 및 Sinorhizobium meliloti와 같은 콩과 식물의 여러 질소 고정 공생자는 콩과 식물 뿌리 및 기타 불활성 표면에 미생물막을 형성한다.[80]

박테리아와 함께 미생물막은 고세균[81]과 진핵생물(예: 진균)에 의해 생성된다. Cryptococcus laurentii[82] 및 미세조류. 미세조류 중에서 미생물막의 주요 조상 중 하나는 전 세계적으로 신선하고 해양 환경에 서식하는 규조류이다.[83][84]

질병 관련 미생물막 및 진핵생물에서 발생하는 미생물막의 다른 종에 대해서는 아래를 참조하십시오.

전염병

미생물막은 모든 감염의 80%로 추정되는 신체의 다양한 미생물 감염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85] 미생물막이 관련되어 있는 감염 과정에는 세균성 질염, 요로 감염, 카테터 감염, 중이염, 치태 형성,[86]치은염, 코팅 콘택트 렌즈[87]와 같은 일반적인 문제가 포함된다. 심내막염, 낭포성 섬유증의 감염, 관절 보철물, 심장 판막 및 추간판과 같은 영구 유치 장치의 감염과 같은 치명적인 과정[88][89][90] 미생물막의 첫 번째 시각적 증거는 척추 수술 후에 기록되었다.[91] 감염의 임상적 표현이 없는 경우, 함침된 박테리아가 임플란트 주위에 미생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미생물막은 면봉을 포함한 현대 진단 방법을 통해 감지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임플란트 미생물막은 "무균" 가관절증의 경우에 자주 존재한다.[92][93][94] 더욱이, 박테리아 미생물막은 피부 상처 치유를 손상시키고 감염된 피부 상처를 치유하거나 치료하는 데 있어 국소 항균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었다.[95] 미생물막 내 P. aeruginosa 세포의 다양성은 낭포성 섬유증 환자의 감염된 폐를 치료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생각된다.[96] 상처의 미생물막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성공적인 만성 상처 관리에 매우 중요한다. 생존 가능한 상처에서 플랑크톤 박테리아를 식별하기 위해 많은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박테리아 미생물막을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은 거의 없다. 적시에 치료를 시작할 수 있도록 환자의 바로 옆에서 미생물막 군락을 식별하고 모니터링하는 수단을 찾기 위한 향후 연구가 필요한다.[97]

만성 부비동염 수술을 받는 환자의 80%에서 제거된 조직에 미생물막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막이 있는 환자는 정상적인 섬모와 잔 세포 형태를 가진 미생물막이 없는 대조군과 달리 섬모와 잔 세포가 제거된 것으로 나타났다.[98] 미생물막은 언급된 10명의 건강한 대조군 중 2명의 샘플에서도 발견되었다. 수술 중 배양에서 얻은 박테리아의 종은 각 환자 조직의 미생물막에 있는 박테리아 종과 일치하지 않았다. 즉, 박테리아가 존재했지만 배양은 음성이었다.[99] 살아있는 동물에서 자라는 박테리아 세포를 구별하기 위해 새로운 염색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알레르기 염증이 있는 조직에서.[100]

연구에 따르면 치료 수준 이하의 β-락탐 항생제가 황색 포도구균에서 미생물막 형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치료 수준 이하의 항생제는 농업에서 성장 촉진제로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항생제 치료의 정상적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낮은 수준의 메티실린에 의해 유도된 미생물막 형성은 DNase에 의해 억제되었으며, 이는 치료 수준 이하의 항생제가 세포외 DNA 방출을 유도함을 시사한다.[101] 더욱이, 진화론적 관점에서, 병원성 미생물에서 공유지의 비극의 생성은 협력자가 될 때까지 병원성 박테리아의 야생형 '협력자'를 침범할 수 있는 유전자 조작된 침습적 사기꾼을 통해 미생물막으로 인한 만성 감염에 대한 고급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인구가 멸종하거나 전체 인구 '협력자와 사기꾼'이 멸종된다.[102]

녹농균

P. aeruginosa는 ​​다양한 유형의 미생물막 관련 만성 감염에 관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미생물막 모델 유기체를 나타낸다.[103] 이러한 감염의 예로는 낭포성 섬유증(CF) 환자의 만성 상처, 만성 중이염, 만성 전립선염 및 만성 폐 감염이 있다. CF 환자의 약 80%가 만성 폐 감염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PMN으로 둘러싸인 비표면 부착 미생물막에서 자라는 녹농균에 의해 유발된다.[104] 공격적인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감염은 여전히 ​​존재하며 폐에 대한 지속적인 염증 손상으로 인해 CF 환자의 흔한 사망 원인이다.[103] CF 환자에서 초기 미생물막 발달을 치료하는 한 가지 치료법은 DNase를 사용하여 미생물막을 구조적으로 약화시키는 것이다.[105][106]

녹농균(P. aeruginosa)의 미생물막 형성은 다른 박테리아와 함께 만성 상처 감염의 90%에서 발견되며, 이는 미국에서 매년 미화 250억 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는 높은 치료 비용과 열악한 치유를 초래한다.[107] 녹농균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숙주 상피 세포는 락토페린과 같은 항균 펩티드를 분비하여 미생물막 형성을 방지한다.[108]

폐렴연쇄구균

Streptococcus pneumoniae는 지역사회획득 폐렴과 어린이와 노인의 수막염, HIV 감염자의 패혈증의 주요 원인이다. S. pneumoniae가 미생물막에서 성장하면 산화 스트레스에 반응하고 능력을 유도하는 유전자가 구체적으로 발현된다.[109] 미생물막의 형성은 펩타이드(CSP)를 자극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 CSP는 정족수 감지 펩타이드로도 기능한다. 그것은 미생물막 형성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폐렴과 수막염의 독성을 증가시킨다.

능력 개발과 미생물막 형성은 숙주의 방어에서 살아남기 위한 S. pneumoniae의 적응이라고 제안되었다.[75] 특히, 숙주의 다형핵 백혈구는 침입하는 박테리아를 방어하기 위해 산화 폭발을 일으키며, 이 반응은 박테리아의 DNA를 손상시켜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다. 미생물막에 있는 유능한 S. 뉴모니애는 미생물막의 근처 세포에서 변형 DNA를 더 쉽게 흡수하여 DNA의 산화 손상을 재조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생존 이점이 있다. Competent S. pneumoniae는 또한 non-competent cell(fratricide)을 파괴하는 효소(murein hydrolase)를 분비하여 DNA를 Competent 세포에서 잠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변 배지로 방출할 수 있다.[110]

곤충 항균 펩타이드 cecropin A는 단독으로 또는 항생제 nalidixic acid와 결합하여 플랑크톤성 및 고착성 미생물막 형성 요로병원성 E. coli 세포를 파괴할 수 있으며, 표적을 벗어난 세포 독성 없이 생체 내(곤충 숙주 Galleria mellonella에서) 감염을 상승적으로 제거한다. 다중 표적 작용 메커니즘은 외막 투과화에 이어 유출 펌프 활동의 억제와 세포외 및 세포내 핵산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미생물막 파괴를 포함한다.[111]

대장균

대장균 미생물막은 많은 장내 감염 질환을 유발한다.[112] 대장균(ExPEC)의 장외 그룹은 요로 감염을 유발하는 비뇨기계를 공격하는 지배적인 박테리아 그룹이다.[113] 이러한 병원성 대장균의 미생물막 형성은 복잡한 응집 구조로 인해 근절하기 어렵고, 공격적인 의학적 합병증, 입원율 증가 및 치료 비용 증가에 크게 기여한다.[116][117] 대장균 미생물막의 발달은 의료 기기 관련 감염의 발달에 기여함으로써 병원에서 요로 감염(UTI)의 일반적인 주요 원인이다. 카테터 관련 요로 감염(CAUTI)은 카테터 내부에 병원성 대장균 미생물막의 형성으로 인해 가장 흔한 병원 획득 감염이다.[118]

황색포도상구균

황색 포도구균 병원체는 피부와 폐를 공격하여 피부 감염과 폐렴을 유발할 수 있다.[119][120] 또한, S. 아우레우스의 미생물막 감염 네트워크는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가 박테리아 세포를 제거하고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21] 또한, S. aureus와 같은 박테리아에 의한 미생물막 형성은 항생제 약물에 대한 내성을 발달시킬 뿐만 아니라 항균 펩타이드(AMP)에 대한 내부 내성을 발달시켜 병원체의 억제를 방지하고 생존을 유지하게 한다.[122]

용도 및 영향

의학

인간의 세균 감염의 약 2/3가 미생물막과 관련되어 있다고 제안된다.[48][123] 미생물막 성장과 관련된 감염은 일반적으로 근절하기 어렵다.[124] 이것은 대부분 성숙한 미생물막이 항균 내성과 면역 반응 회피를 나타낸다는 사실에 기인한다.[125][103] 미생물막은 종종 카테터, 인공 심장 판막 및 자궁 내 장치와 같은 이식 장치의 불활성 표면에 형성된다.[126] 치료하기 가장 어려운 감염 중 일부는 의료 기기 사용과 관련된 감염이다.[48][98]

생의학 장치 및 조직 공학 관련 제품에 대한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장되는 산업은 이미 연간 1,800억 달러 규모이지만 이 산업은 미생물 군집화로 계속해서 고통받고 있다. 아무리 정교하더라도 미생물 감염은 모든 의료 기기 및 조직 공학 구성에서 발생할 수 있다.[125] 병원 획득 감염의 60-70%는 생체 의료 기기의 이식과 관련이 있다.[125] 이로 인해 미국에서는 연간 200만 건의 사례가 발생하고 의료 시스템에 50억 달러 이상의 추가 의료 비용이 발생한다.[125]

미생물막의 항생제 내성 수준은 미생물막이 아닌 박테리아보다 훨씬 더 크며 5,000배나 더 높을 수 있다.[48] 미생물막의 세포외 기질은 미생물막 구조로의 항생제 침투를 감소시킬 수 있고 항생제 내성에 기여할 수 있는 주요 인자 중 하나로 간주된다.[127] 또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의 진화는 미생물막 생활 방식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128] 소량의 항생제와 함께 미생물막을 둘러싸고 있는 액체에 작은 전류를 도입하면 항생제 내성 수준을 미생물막이 아닌 박테리아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생체 전기 효과라고 한다.[48][129] 자체적으로 작은 DC 전류를 가하면 미생물막이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48] 연구에 따르면 사용된 전류의 유형은 생체 전기 효과에 차이가 없었다.[129]

산업

미생물막은 건설적인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하수 처리장에는 유기 화합물을 추출하고 소화하는 필터에서 성장한 미생물막을 폐수가 통과하는 2차 처리 단계가 포함된다. 이러한 미생물막에서 박테리아는 주로 유기물(BOD)의 제거를 담당하는 반면, 원생동물 및 로티퍼는 주로 병원체 및 기타 미생물을 포함한 부유 고형물(SS)의 제거를 담당한다. 완속 모래 필터는 식수로 호수, 샘 또는 강에서 지표수를 여과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미생물막 개발에 의존한다. 우리가 깨끗한 물로 간주하는 것은 사실상 이러한 미세 세포 유기체의 폐기물이다. 미생물막은 오염된 바다나 해양 시스템에서 석유 오일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름은 탄화수소 파괴 박테리아(HCB) 군집의 탄화수소 분해 활동에 의해 제거된다.[130] 미생물막은 미생물 연료 전지(MFC)에서 복잡한 유기 폐기물 및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를 비롯한 다양한 출발 물질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7][131][132] 미생물막은 생물침출 산업에서 금속 용해 개선과도 관련이 있다.[133]

식품업

미생물막은 식물과 산업 공정에서 형성되는 능력으로 인해 여러 식품 산업에서 문제가 되었다.[134] 박테리아는 물, 동물 분뇨 및 토양에서 장기간 생존하여 식물 또는 처리 장비에 미생물막을 형성할 수 있다.[135] 미생물막의 형성은 표면을 가로지르는 열 흐름에 영향을 미치고 표면 부식 및 유체의 마찰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136] 이는 시스템의 에너지 손실과 제품의 전반적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136] 경제적 문제와 함께 식품의 미생물막 형성은 식품을 소독제에 더 잘 견디게 하는 능력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건강 위험을 초래한다.[134] 그 결과, 1996년부터 2010년까지 질병 통제 예방 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는 4,800만 건의 식인성 질병을 추정했다. 연간.[134] 미생물막은 미국에서 세균 감염의 약 80%와 관련이 있다.[134]

농산물에서 미생물은 표면에 부착되고 미생물막은 내부적으로 발달한다.[134] 세척 과정에서 미생물막은 살균에 저항하고 박테리아가 농산물 전체에 퍼질 수 있도록 한다.[134] 이 문제는 즉석 식품에서도 발견된다. 식품은 소비 전에 제한된 세척 절차를 거치기 때문이다.[134] 유제품의 부패성 및 세척 절차의 제한으로 인해 박테리아가 축적되기 때문에 유제품은 미생물막 형성 및 오염.[134][136] 박테리아는 제품을 더 쉽게 부패시킬 수 있고 오염된 제품은 소비자에게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다양한 산업에서 발견될 수 있고 식인성 질병의 주요 원인인 박테리아의 한 종은 살모넬라이다.[137] 살모넬라 균주의 약 50%가 가금류 농장에서 미생물막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가금류 가공 산업에서 다량의 살모넬라 오염이 발견될 수 있다.[134] 살모넬라 균은 가금류 제품을 제대로 세척하고 조리하지 않으면 식인성 질병의 위험을 높이다. 살모넬라는 해산물 자체와 수중에서 해산물 매개 병원체로부터 미생물막이 형성되는 해산물 산업에서도 발견된다.[137] 새우 제품은 비위생적인 가공 및 취급 기술로 인해 일반적으로 살모넬라균의 영향을 받다.[137] 새우 및 기타 해산물 제품의 준비 과정은 제품에 박테리아가 축적될 수 있다.[137]

이러한 공정에서 미생물막 형성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세척 절차가 테스트되고 있으며 이는 보다 안전하고 생산적인 식품 가공 산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청소 절차는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종종 유독 가스를 지하수 저장소로 방출한다.[136] 미생물막 형성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공격적인 방법에 대한 대응으로 미생물막 분비 미생물의 증식 또는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많은 새로운 기술과 화학 물질이 조사 중에 있다. 현저한 항미생물막 활성을 나타내는 최근 제안된 생체분자에는 세균성 람노지질[138], 심지어 식물[139] 및 동물 유래 알칼로이드와 같은 다양한 대사 산물이 포함된다.[140]

양식업

조개류와 조류 양식에서 생물 오손 미생물 종은 그물과 새장을 막는 경향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공간과 음식에 대해 양식 종을 압도한다.[141] 박테리아 미생물막은 생물 오손 종에 더 유리한 미세 환경을 생성하여 콜로니화 과정을 시작한다. 해양 환경에서 미생물막은 선박 및 프로펠러의 유체역학적 효율을 감소시키고 파이프라인 막힘 및 센서 오작동을 일으키며 해수에 배치되는 기기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142] 많은 연구에서 미생물막이 민물 양식에서 잠재적으로 병원성 박테리아의 저장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43][144][145][146] 앞서 언급했듯이 미생물막은 항생제나 화학물질을 고용량으로 사용하더라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147][148] 미생물막이 세균성 어류 병원체의 저장소로서 수행하는 역할은 자세히 조사되지 않았지만 확실히 연구할 가치가 있다.

활용

미생물막(生物膜,Biofilm)은 환경공학에서 미생물이 주된 구성 요소가 되어 생성된 막을 가리킨다. 하,폐수에서 오염 물질을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미생물막법(生物膜法, Bio-membrane process)은 배수 중 유기물을 분해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운반체 표면에 필름 모양으로 미생물을 부착하는 하수 처리 방법이다. HBC, 회전 원판법이나 살수 여상법이 여기에 속한다. 미생물막 표면에서는 호기성 처리가, 내부에서는 혐기성 처리가 이루어진다.

원생생물

보티셀라(vorticella)같은 원생생물 등이 주요하게 이를 형성한다.

수평적 유전자 전달

수평적 유전자 전달은 세포 유기체 사이의 유전 물질 전달 방법이다. 원핵 생물에서 자주 발생하고 진핵 생물에서는 덜 발생한다. 박테리아에서 수평적 유전자 전달은 형질전환(환경에서 자유 부유 DNA의 흡수), 형질도입(바이러스 매개 DNA 흡수) 또는 접합(두 인접 박테리아의 선모 구조 사이의 DNA 전달)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156] 최근 연구에서는 막 소포 전달 또는 유전자 전달제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도 밝혀냈다.[114] 미생물막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적 유전자 전달을 촉진한다.

미생물막은 접합을 촉진하여 많은 미생물막의 다양한 이질성으로 인해 종종 종간 이동을 촉진한다. 또한, 미생물막은 다당류 매트릭스에 의해 구조적으로 제한되어 접합을 위한 긴밀한 공간 요구 사항을 제공한다. 형질전환은 미생물막에서도 자주 관찰된다. 박테리아 자가분해는 미생물막 구조 조절의 핵심 메커니즘으로, 변형 흡수를 위해 준비된 유능한 DNA의 풍부한 소스를 제공한다.[114][115] 어떤 경우에는 미생물막 간 정족수 감지가 자유 부동 eDNA의 능력을 향상시켜 형질전환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114] 박테리오파지 운반체를 통한 Stx 유전자 전달은 미생물막 내에서 목격되었으며, 이는 미생물막이 형질도입에 적합한 환경임을 시사한다.[114] 막 소포 HGT는 방출된 막 소포(유전 정보 포함)가 수용 박테리아와 융합하고 유전 물질을 박테리아의 세포질로 방출할 때 발생한다.[114]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막 소포 HGT가 단일 균주 미생물막 형성을 촉진할 수 있지만 막 소포 HGT가 다중 균주 미생물막 형성에서 수행하는 역할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GTA 또는 유전자 전달제는 숙주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는 파지 같은 입자이며 숙주 박테리아 게놈에서 무작위 DNA 단편을 포함한다.[114] 미생물막 내의 HGT는 미생물막 개체군 전체에 항생제 내성 또는 증가된 병원성을 부여하여 미생물막 항상성을 촉진할 수 있다.[114]

예시

접합 플라스미드는 세포 접착을 촉진하는 PtgA, PrgB 또는 PrgC와 같은 미생물막 관련 단백질을 암호화 할 수 있다(조기 미생물막 형성에 필요).[116] type III fimbria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conjugative-pilus-dependent biofilm 형성을 촉진하는 pOLA52(Klebsiella pneumoniae plasmid)에서 발견된다.[116]

변환은 일반적으로 미생물막 내에서 발생한다. 연쇄상구균 종에서 세포벽 분해 효소가 방출되어 이웃 박테리아를 용해하고 DNA를 방출하는 fratricide라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 DNA는 살아남은 박테리아에 의해 흡수(변환)될 수 있다. 능력 자극 펩티드는 S. pneumoniae와 S. mutans 사이에서도 미생물막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116] V. cholerae 중에서, 능력 pilus 자체는 미생물막 형성 초기에 pilus-pilus 상호 작용을 통해 세포 응집을 촉진한다.[116]

파지 침입은 미생물막 수명 주기에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박테리아를 용해하고 eDNA를 방출하여 미생물막 구조를 강화하고 형질전환 시 이웃 박테리아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116] E. coli phage Rac 및 P. aeruginosa prophage Pf4에 의한 미생물막 파괴는 미생물막에서 세포의 분리를 유발한다.[116] 이와 같은 세포 박리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미생물막 관련 현상이지만, 미생물막을 구성하는 박테리아 종을 증식시키는 것으로 가정된다.

막 소포 HGT는 Neisseria gonorrhoeae, Pseudomonas aeruginosa, Helicobacter pylori 및 기타 많은 박테리아 종 중에서 해양 환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목격되었다.[116] 막 소포 HGT가 미생물막 형성에 기여하는 인자로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막 소포 매개 HGT가 미생물막 내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필요하다.[114][116] 막 소포 HGT는 Bacillus subtilis SPP1 파지 내성 세포(SPP1 수용체 단백질 결핍)에서 파지-박테리아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체를 포함하는 소포에 노출되면 pBT163(cat-encoding plasmid)의 형질도입이 발생하여 SPP1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을 유발하여 수용 박테리아가 후의 파지 감염에 노출될 수 있다.[116]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세균 종 H. volcanii는 세포-세포 접촉을 필요로 하고 세포질 가교 및 세포 융합 이벤트의 형성을 수반하는 분화 및 HGT와 같은 박테리아 미생물막과 유사한 일부 미생물막 표현형을 가지고 있다.[117]

같이 보기

외부 링크

각주

  1. Hall-Stoodley L, Costerton JW, Stoodley P (2004년 2월). “Bacterial biofilms: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to infectious diseases”. 《Nature|Nature Reviews. Microbiology2 (2): 95~108. doi:10.1038/nrmicro821. PMID 15040259. 
  2. Karatan E, Watnick P (2009년 6월). “Signals, regulatory networks, and materials that build and break bacterial biofilms”.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 73 (2): 310~47. doi:10.1128/MMBR.00041-08. PMC 2698413. PMID 19487730. 
  3. Hoffman LR, D'Argenio DA, MacCoss MJ, Zhang Z, Jones RA, Miller SI (2005년 8월). “Aminoglycoside antibiotics induce bacterial biofilm formation”. 《Nature》 436 (7054): 1171~5. doi:10.1038/nature03912. PMID 16121184. 
  4. Case C, Funke B, Tortora G. Microbiology An Introduction (tenth ed.)
  5. Hall-Stoodley, Luanne; Costerton, J. William; Stoodley, Paul (2004년 2월). “Bacterial biofilms: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to infectious disease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영어) 2 (2): 95–108. doi:10.1038/nrmicro821. ISSN 1740-1526. 
  6. Watnick, Paula; Kolter, Roberto (2000년 5월 15일). “Biofilm, City of Microbes”. 《Journal of Bacteriology》 (영어) 182 (10): 2675–2679. doi:10.1128/JB.182.10.2675-2679.2000. ISSN 0021-9193. PMC 101960. PMID 10781532. 
  7. O'Toole, George A.; Kolter, Roberto (1998년 4월). “Initiation of biofilm formation in Pseudomonas fluorescens WCS365 proceeds via multiple, convergent signalling pathways: a genetic analysis”. 《Molecular Microbiology》 (영어) 28 (3): 449–461. doi:10.1046/j.1365-2958.1998.00797.x. ISSN 0950-382X. 
  8. Briandet, R; Herry, J.-M; Bellon-Fontaine, M.-N (2001년 8월). “Determination of the van der Waals, electron donor and electron acceptor surface tension components of static Gram-positive microbial biofilms”. 《Colloids and Surfaces B: Biointerfaces》 (영어) 21 (4): 299–310. doi:10.1016/S0927-7765(00)00213-7. 
  9. Takahashi, H.; Suda, T.; Tanaka, Y.; Kimura, B. (2010년 3월 22일). “Cellular hydrophobicity of Listeria monocytogenes involves initial attachment and biofilm formation on the surface of polyvinyl chloride: Cellular properties and biofilm formation of L. monocytogenes”. 《Letters in Applied Microbiology》 (영어) 50 (6): 618–625. doi:10.1111/j.1472-765X.2010.02842.x. 
  10. Madigan, Michael T. (2019).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Fifteen, Global판. NY, NY. 86쪽. ISBN 978-1-292-23510-3. 
  11. Wang, Fengbin; Cvirkaite-Krupovic, Virginija; Krupovic, Mart; Egelman, Edward H. (2022년 6월 28일). “Archaeal bundling pili of Pyrobaculum calidifontis reveal similarities between archaeal and bacterial biofilm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영어) 119 (26): e2207037119. doi:10.1073/pnas.2207037119. ISSN 0027-8424. PMC 9245690. PMID 35727984. 
  12. Donlan, Rodney M. (2002년 9월). “Biofilms: Microbial Life on Surface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8 (9): 881–890. doi:10.3201/eid0809.020063. ISSN 1080-6040. PMC 2732559. PMID 12194761. 
  13. Li, Shaoyang; Liu, Sylvia Yang; Chan, Shepherd Yuen; Chua, Song Lin (2022년 5월). “Biofilm matrix cloaks bacterial quorum sensing chemoattractants from predator detection”. 《The ISME Journal》 (영어) 16 (5): 1388–1396. doi:10.1038/s41396-022-01190-2. ISSN 1751-7362. PMC 9038794. PMID 35034106. 
  14. Ciofu, Oana; Tolker-Nielsen, Tim (2019년 5월 3일). “Tolerance and Resistance of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s to Antimicrobial Agents—How P. aeruginosa Can Escape Antibiotics”. 《Frontiers in Microbiology》 10: 913. doi:10.3389/fmicb.2019.00913. ISSN 1664-302X. PMC 6509751. PMID 31130925. 
  15. Sakuragi, Yumiko; Kolter, Roberto (2007년 7월 15일). “Quorum-Sensing Regulation of the Biofilm Matrix Genes ( pel ) of Pseudomonas aeruginosa”. 《Journal of Bacteriology》 (영어) 189 (14): 5383–5386. doi:10.1128/JB.00137-07. ISSN 0021-9193. PMC 1951888. PMID 17496081. 
  16. O'Toole, George; Kaplan, Heidi B.; Kolter, Roberto (2000년 10월). “Biofilm Formation as Microbial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영어) 54 (1): 49–79. doi:10.1146/annurev.micro.54.1.49. ISSN 0066-4227. 
  17. Monroe, Don (2007년 11월 13일). “Looking for Chinks in the Armor of Bacterial Biofilms”. 《PLoS Biology》 (영어) 5 (11): e307. doi:10.1371/journal.pbio.0050307. ISSN 1545-7885. PMC 2071939. PMID 18001153. 
  18. Rapacka-Zdonczyk A, Wozniak A, Nakonieczna J, Grinholc M (February 2021).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Phototreatment Tolerance: Why the Methodology Mat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MDPI AG) 22 (4): 2224. doi:10.3390/ijms22042224. PMC 7926562. PMID 33672375.  Material was copied from this source, which is available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19. Hall CW, Mah TF (May 2017). “Molecular mechanisms of biofilm-based antibiotic resistance and tolerance in pathogenic bacteria”. 《FEMS Microbiology Reviews》 (Oxford University Press (OUP)) 41 (3): 276–301. doi:10.1093/femsre/fux010. PMID 28369412. 
  20.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Monroe2007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1. Kaplan, Jeffrey B.; Ragunath, Chandran; Ramasubbu, Narayanan; Fine, Daniel H. (2003년 8월 15일). “Detachment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Biofilm Cells by an Endogenous β-Hexosaminidase Activity”. 《Journal of Bacteriology》 (영어) 185 (16): 4693–4698. doi:10.1128/JB.185.16.4693-4698.2003. ISSN 0021-9193. PMC 166467. PMID 12896987. 
  22. Izano, Era A.; Amarante, Matthew A.; Kher, William B.; Kaplan, Jeffrey B. (2008년 1월 15일). “Differential Roles of Poly- N -Acetylglucosamine Surface Polysaccharide and Extracellular DNA in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Biofilm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영어) 74 (2): 470–476. doi:10.1128/AEM.02073-07. ISSN 0099-2240. PMC 2223269. PMID 18039822. 
  23. Kaplan, Jeffrey B.; Ragunath, Chandran; Velliyagounder, Kabilan; Fine, Daniel H.; Ramasubbu, Narayanan (2004년 7월). “Enzymatic Detachment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Biofilms”.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영어) 48 (7): 2633–2636. doi:10.1128/AAC.48.7.2633-2636.2004. ISSN 0066-4804. 
  24. Xavier, Joao B.; Picioreanu, Cristian; Rani, Suriani Abdul; van Loosdrecht, Mark C. M.; Stewart, Philip S. (2005년 12월 1일). “Biofilm-control strategies based on enzymic disruption of the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matrix – a modelling study”. 《Microbiology》 (영어) 151 (12): 3817–3832. doi:10.1099/mic.0.28165-0. ISSN 1350-0872. 
  25. Davies, David G.; Marques, Cláudia N. H. (2009년 3월). “A Fatty Acid Messenger Is Responsible for Inducing Dispersion in Microbial Biofilms”. 《Journal of Bacteriology》 (영어) 191 (5): 1393–1403. doi:10.1128/JB.01214-08. ISSN 0021-9193. PMC 2648214. PMID 19074399. 
  26. Barraud, Nicolas ; Hassett, Daniel J.; Hwang, Sung-Hei; Rice, Scott A.; Kjelleberg, Staffan; Webb, Jeremy S. (2006년 11월). “Involvement of Nitric Oxide in Biofilm Dispersal of Pseudomonas aeruginosa”. 《Journal of Bacteriology》 (영어) 188 (21): 7344–7353. doi:10.1128/JB.00779-06. ISSN 0021-9193. PMC 1636254. PMID 17050922. 
  27. Barraud, Nicolas; Storey, Michael V.; Moore, Zoe P.; Webb, Jeremy S.; Rice, Scott A.; Kjelleberg, Staffan (2009년 5월). “Nitric oxide-mediated dispersal in single- and multi-species biofilms of clinically and industrially relevant microorganisms: NO-mediated dispersal in bacterial biofilms”. 《Microbial Biotechnology》 (영어) 2 (3): 370–378. doi:10.1111/j.1751-7915.2009.00098.x. PMC 3815757. PMID 21261931. 
  28. “Dispersal of Biofilms in Cystic Fibrosis | Biological Sciences | University of Southampton”.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29. Chua, Song Lin; Liu, Yang; Yam, Joey Kuok Hoong; Chen, Yicai; Vejborg, Rebecca Munk; Tan, Bryan Giin Chyuan; Kjelleberg, Staffan; Tolker-Nielsen, Tim; Givskov, Michael (2014년 12월 17일). “Dispersed cells represent a distinct stage in the transition from bacterial biofilm to planktonic lifestyles”. 《Nature Communications》 (영어) 5 (1): 4462. doi:10.1038/ncomms5462. ISSN 2041-1723. 
  30. Chua, Song Lin; Hultqvist, Louise D; Yuan, Mingjun; Rybtke, Morten; Nielsen, Thomas E; Givskov, Michael; Tolker-Nielsen, Tim; Yang, Liang (2015년 8월). “In vitro and in vivo gen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dispersed cells via c-di-GMP manipulation”. 《Nature Protocols》 (영어) 10 (8): 1165–1180. doi:10.1038/nprot.2015.067. ISSN 1754-2189. 
  31. Nadell, Carey D.; Xavier, Joao B.; Foster, Kevin R. (2009년 1월). “The sociobiology of biofilms”. 《FEMS Microbiology Reviews》 (영어) 33 (1): 206–224. doi:10.1111/j.1574-6976.2008.00150.x. ISSN 1574-6976. 
  32. Rybtke, Morten; Hultqvist, Louise Dahl; Givskov, Michael; Tolker-Nielsen, Tim (2015년 11월).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 Infections: Community Structure, Antimicrobial Tolerance and Immune Response”.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영어) 427 (23): 3628–3645. doi:10.1016/j.jmb.2015.08.016. 
  33. Danese, Paul N.; Pratt, Leslie A.; Kolter, Roberto (2000년 6월 15일).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Is Required for Development of Escherichia coli K-12 Biofilm Architecture”. 《Journal of Bacteriology》 (영어) 182 (12): 3593–3596. doi:10.1128/JB.182.12.3593-3596.2000. ISSN 0021-9193. PMC 101973. PMID 10852895. 
  34. Branda, Steven S.; Chu, Frances; Kearns, Daniel B.; Losick, Richard; Kolter, Roberto (2006년 2월). “A major protein component of the Bacillus subtilis biofilm matrix”. 《Molecular Microbiology》 (영어) 59 (4): 1229–1238. doi:10.1111/j.1365-2958.2005.05020.x. ISSN 0950-382X. 
  35. Choong, Ferdinand X; Bäck, Marcus; Fahlén, Sara; Johansson, Leif BG; Melican, Keira; Rhen, Mikael; Nilsson, K Peter R; Richter-Dahlfors, Agneta (2016년 11월). “Real-time optotracing of curli and cellulose in live Salmonella biofilms using luminescent oligothiophenes”. 《npj Biofilms and Microbiomes》 (영어) 2 (1): 16024. doi:10.1038/npjbiofilms.2016.24. ISSN 2055-5008. PMC 5515270. PMID 28721253. 
  36. Flemming, Hans-Curt; Wingender, Jost; Szewzyk, Ulrich; Steinberg, Peter; Rice, Scott A.; Kjelleberg, Staffan (2016년 9월). “Biofilms: an emergent form of bacterial life”. 《Nature Reviews Microbiology》 (영어) 14 (9): 563–575. doi:10.1038/nrmicro.2016.94. ISSN 1740-1526. 
  37. Stoodley, Paul; deBeer, Dirk; Lewandowski, Zbigniew (1994년 8월). “Liquid Flow in Biofilm System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영어) 60 (8): 2711–2716. doi:10.1128/aem.60.8.2711-2716.1994. ISSN 0099-2240. PMC 201713. PMID 16349345. 
  38. Vlamakis, Hera; Aguilar, Claudio; Losick, Richard; Kolter, Roberto (2008년 4월 1일). “Control of cell fate by the formation of an architecturally complex bacterial community”. 《Genes & Development》 (영어) 22 (7): 945–953. doi:10.1101/gad.1645008. ISSN 0890-9369. PMC 2279205. PMID 18381896. 
  39. Stewart, Philip S; William Costerton, J (2001년 7월). “Antibiotic resistance of bacteria in biofilms”. 《The Lancet》 (영어) 358 (9276): 135–138. doi:10.1016/S0140-6736(01)05321-1. 
  40. Pandey, Rosy; Mishra, Shyam Kumar; Shrestha, Angela (2021년 6월). “Characterisation of ESKAPE Pathogens with Special Reference to Multidrug Resistance and Biofilm Production in a Nepalese Hospital”. 《Infection and Drug Resistance》 (영어). Volume 14: 2201–2212. doi:10.2147/IDR.S306688. ISSN 1178-6973. 
  41. Del Pozo, J. L.; Rouse, M. S.; Patel, R. (2008년 9월). “Bioelectric Effect and Bacterial Biofilms. a Systematic Review”.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Organs》 (영어) 31 (9): 786–795. doi:10.1177/039139880803100906. ISSN 0391-3988. PMC 3910516. PMID 18924090. 
  42. Chimileski, Scott; Franklin, Michael J; Papke, R Thane (2014년 12월). “Biofilms formed by the archaeon Haloferax volcaniiexhibit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social motility, and facilitate horizontal gene transfer”. 《BMC Biology》 (영어) 12 (1): 65. doi:10.1186/s12915-014-0065-5. ISSN 1741-7007. 
  43. Molin, Søren; Tolker-Nielsen, Tim (2003년 6월). “Gene transfer occurs with enhanced efficiency in biofilms and induces enhanced stabilisation of the biofilm structure”.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영어) 14 (3): 255–261. doi:10.1016/S0958-1669(03)00036-3. 
  44. Jakubovics, N.S.; Shields, R.C.; Rajarajan, N.; Burgess, J.G. (2013년 12월). “Life after death: the critical role of extracellular DNA in microbial biofilms”. 《Letters in Applied Microbiology》 (영어) 57 (6): 467–475. doi:10.1111/lam.12134. 
  45. Spoering, Amy L.; Lewis, Kim (2001년 12월). “Biofilms and Planktonic Cells of Pseudomonas aeruginosa Have Similar Resistance to Killing by Antimicrobials”. 《Journal of Bacteriology》 (영어) 183 (23): 6746–6751. doi:10.1128/JB.183.23.6746-6751.2001. ISSN 0021-9193. PMC 95513. PMID 11698361. 
  46. “Introduction to Biofilms: Negative and positive impacts of biofilm”. 2008년 6월 22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47. Andersen, Peter C.; Brodbeck, Brent V.; Oden, Steve; Shriner, Anthony; Leite, Breno (2007년 9월). “Influence of xylem fluid chemistry on planktonic growth, biofilm formation and aggregation of Xylella fastidiosa”. 《FEMS Microbiology Letters》 (영어) 274 (2): 210–217. doi:10.1111/j.1574-6968.2007.00827.x. 
  48.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Unit”. 2011년 4월 18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49. “완속 모래여과 공정에서의 Geosmin 제거 특성” (PDF). 2010년 8월 18일. 
  50. Centre for Affordable Water and Sanitation Technology, Biosand Filter Manual: Design, Construction, & Installation," July 2007.
  51. “Wayback Machine” (PDF). 2016년 4월 6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52. Kloepper, J. W. (1988).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on Canola (Rapeseed)”. 《Plant Disease》 72 (1): 42. doi:10.1094/PD-72-0042. ISSN 0191-2917. 
  53. Nihorimbere, Venant; Cawoy, Hélène; Seyer, Alexandre; Brunelle, Alain; Thonart, Philippe; Ongena, Marc (2012년 1월). “Impact of rhizosphere factors on cyclic lipopeptide signature from the plant beneficial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S499”. 《FEMS Microbiology Ecology》 (영어) 79 (1): 176–191. doi:10.1111/j.1574-6941.2011.01208.x. 
  54. Choudhary, Devendra K.; Johri, Bhavdish N. (2009년 9월). “Interactions of Bacillus spp. and plants – With special reference to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SR)”. 《Microbiological Research》 (영어) 164 (5): 493–513. doi:10.1016/j.micres.2008.08.007. 
  55. van Loon, L. C. (2007년 11월). “Plant responses to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Europ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영어) 119 (3): 243–254. doi:10.1007/s10658-007-9165-1. ISSN 0929-1873. 
  56. Van Wees, Saskia CM; Van der Ent, Sjoerd; Pieterse, Corné MJ (2008년 8월). “Plant immune responses triggered by beneficial microbes”.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영어) 11 (4): 443–448. doi:10.1016/j.pbi.2008.05.005. 
  57. Holguin, Gina; Bashan, Yoav (1996년 12월). “Nitrogen-fixation by Azospirillum brasilense Cd is promoted when co-cultured with a mangrove rhizosphere bacterium (Staphylococcus sp.)”.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영어) 28 (12): 1651–1660. doi:10.1016/S0038-0717(96)00251-9. 
  58. Babalola, Olubukola Oluranti (2010년 11월). “Beneficial bacteria of agricultural importance”. 《Biotechnology Letters》 (영어) 32 (11): 1559–1570. doi:10.1007/s10529-010-0347-0. ISSN 0141-5492. 
  59. Bakker, Peter A. H. M.; Pieterse, Corné M. J.; van Loon, L. C. (2007년 2월). “Induced Systemic Resistance by Fluorescent Pseudomonas spp.”. 《Phytopathology®》 (영어) 97 (2): 239–243. doi:10.1094/PHYTO-97-2-0239. ISSN 0031-949X. 
  60. Bent, Elizabeth (2006). Tuzun, Sadik; Bent, Elizabeth, 편집. 《Induced Systemic Resistance Mediated by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and Fungi (PGPF)》 (영어). Springer US. 225–258쪽. doi:10.1007/0-387-23266-4_10. ISBN 978-0-387-23265-2. 
  61. John Wiley & Sons, Ltd, 편집. (2001년 5월 30일). 《eLS》 (영어) 1판. Wiley. doi:10.1038/npg.els.0000403. ISBN 978-0-470-01617-6. 
  62. Randal Bollinger, R.; Barbas, Andrew S.; Bush, Errol L.; Lin, Shu S.; Parker, William (2007년 12월). “Biofilms in the large bowel suggest an apparent function of the human vermiform appendix”.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영어) 249 (4): 826–831. doi:10.1016/j.jtbi.2007.08.032. 
  63. Buret, Andre Gerald; Motta, Jean-Paul; Allain, Thibault; Ferraz, Jose; Wallace, John Lawrence (2019년 12월). “Pathobiont release from dysbiotic gut microbiota biofilms in intestinal inflammatory diseases: a role for iron?”.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영어) 26 (1): 1. doi:10.1186/s12929-018-0495-4. ISSN 1423-0127. PMC 6317250. PMID 30602371. 
  64. Characklis, W. G.; Nevimons, M. J.; Picologlou, B. F. (1981년 7월). “Influence of Fouling Biofilms on Heat Transfer”. 《Heat Transfer Engineering》 (영어) 3 (1): 23–37. doi:10.1080/01457638108939572. ISSN 0145-7632. 
  65. Banthia, Ruchi; Chandki, Rita; Banthia, Priyank (2011). “Biofilms: A microbial home”. 《Journal of Indian Society of Periodontology》 (영어) 15 (2): 111. doi:10.4103/0972-124X.84377. ISSN 0972-124X. PMC 3183659. PMID 21976832. 
  66. Marquis, Re (1995년 9월). “Oxygen metabolism, oxidative stress and acid-base physiology of dental plaque biofilms”. 《Journal of Industrial Microbiology》 (영어) 15 (3): 198–207. doi:10.1007/BF01569826. ISSN 0169-4146. 
  67. “Wayback Machine” (PDF). 2014년 4월 7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68. Tamm, Christoph; Hodes, M.E.; Chargaff, Erwin (1952년 3월). “THE FORMATION OF APURINIC ACID FROM THE DESOXYRIBONUCLEIC ACID OF CALF THYMU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영어) 195 (1): 49–63. doi:10.1016/S0021-9258(19)50874-2. 
  69. Freese, Elisabeth Bautz (1961년 4월). “TRANSITIONS AND TRANSVERSIONS INDUCED BY DEPURINATING AGE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영어) 47 (4): 540–545. doi:10.1073/pnas.47.4.540. ISSN 0027-8424. PMC 221484. PMID 13701660. 
  70. Pennwell, "Toothbrush technology, dentifrices and dental biofilm removal." Dental Academy of CE Accessed 12 January 2022
  71. 《Dental caries : the disease and its clinical management》 2판. Oxford: Blackwell Munksgaard. 2008. ISBN 978-1-4051-3889-5. 
  72. Li, Yung-Hua; Lau, Peter C. Y.; Lee, Janet H.; Ellen, Richard P.; Cvitkovitch, Dennis G. (2001년 2월). “Natural Genetic Transform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Growing in Biofilms”. 《Journal of Bacteriology》 (영어) 183 (3): 897–908. doi:10.1128/JB.183.3.897-908.2001. ISSN 0021-9193. PMC 94956. PMID 11208787. 
  73. Senadheera, Dilani; Cvitkovitch, Dennis G. (2008). Utsumi, Ryutaro, 편집. 《Quorum Sensing and Biofilm Formation by Streptococcus mutans》 (영어) 631. New York, NY: Springer New York. 178–188쪽. doi:10.1007/978-0-387-78885-2_12. ISBN 978-0-387-78884-5. 
  74. Li, Yung-Hua; Lau, Peter C. Y.; Lee, Janet H.; Ellen, Richard P.; Cvitkovitch, Dennis G. (2001년 2월). “Natural Genetic Transform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Growing in Biofilms”. 《Journal of Bacteriology》 (영어) 183 (3): 897–908. doi:10.1128/JB.183.3.897-908.2001. ISSN 0021-9193. PMC 94956. PMID 11208787. 
  75. Michod, Richard E.; Bernstein, Harris; Nedelcu, Aurora M. (2008년 5월). “Adaptive value of sex in microbial pathogens”. 《Infection, Genetics and Evolution》 (영어) 8 (3): 267–285. doi:10.1016/j.meegid.2008.01.002. 
  76. Atkinson, Steve; Goldstone, Robert J.; Joshua, George W. P.; Chang, Chien-Yi; Patrick, Hannah L.; Cámara, Miguel; Wren, Brendan W.; Williams, Paul (2011년 1월 6일). Ausubel, Frederick M., 편집. “Biofilm Development on Caenorhabditis elegans by Yersinia Is Facilitated by Quorum Sensing-Dependent Repression of Type III Secretion”. 《PLoS Pathogens》 (영어) 7 (1): e1001250. doi:10.1371/journal.ppat.1001250. ISSN 1553-7374. 
  77. Chan, Shepherd Yuen; Liu, Sylvia Yang; Seng, Zijing; Chua, Song Lin (2021년 1월). “Biofilm matrix disrupts nematode motility and predatory behavior”. 《The ISME Journal》 (영어) 15 (1): 260–269. doi:10.1038/s41396-020-00779-9. ISSN 1751-7362. PMC 7852553. PMID 32958848. 
  78. Abee, Tjakko; Kovács, Ákos T; Kuipers, Oscar P; van der Veen, Stijn (2011년 4월). “Biofilm formation and dispersal in Gram-positive bacteria”.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영어) 22 (2): 172–179. doi:10.1016/j.copbio.2010.10.016. 
  79. Rossi, Federico; De Philippis, Roberto (2015년 4월 1일). “Role of Cyanobacterial Exopolysaccharides in Phototrophic Biofilms and in Complex Microbial Mats”. 《Life》 (영어) 5 (2): 1218–1238. doi:10.3390/life5021218. ISSN 2075-1729. PMC 4500136. PMID 25837843. 
  80. Danhorn, Thomas; Fuqua, Clay (2007년 10월 1일). “Biofilm Formation by Plant-Associated Bacteria”.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영어) 61 (1): 401–422. doi:10.1146/annurev.micro.61.080706.093316. ISSN 0066-4227. 
  81. Chimileski, Scott; Franklin, Michael J; Papke, R Thane (2014년 12월). “Biofilms formed by the archaeon Haloferax volcaniiexhibit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social motility, and facilitate horizontal gene transfer”. 《BMC Biology》 (영어) 12 (1): 65. doi:10.1186/s12915-014-0065-5. ISSN 1741-7007. PMC 4180959. PMID 25124934. 
  82. Joubert, L.-M.; Wolfaardt, G. M.; Botha, A. (2006년 8월). “Microbial Exopolymers Link Predator and Prey in a Model Yeast Biofilm System”. 《Microbial Ecology》 (영어) 52 (2): 187–197. doi:10.1007/s00248-006-9063-7. ISSN 0095-3628. 
  83. Van Colen, Carl; Underwood, Graham J.C.; Serôdio, João; Paterson, David M. (2014년 9월). “Ecology of intertidal microbial biofilms: Mechanisms, patterns and future research needs”. 《Journal of Sea Research》 (영어) 92: 2–5. doi:10.1016/j.seares.2014.07.003. 
  84. Aslam, Shazia N.; Cresswell-Maynard, Tania; Thomas, David N.; Underwood, Graham J. C. (2012년 12월).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tra- and Extracellular Carbohydrates and Polymeric Substances (EPS) of Three Sea-Ice Diatom Species, and Evidence for a Cryoprotective Role for EPS”. 《Journal of Phycology》 (영어) 48 (6): 1494–1509. doi:10.1111/jpy.12004. 
  85. “NIH Guide: RESEARCH ON MICROBIAL BIOFILMS”.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86. 《Molecular oral microbiology》. Norfolk, UK: Caister Academic Press. 2008. 88-91쪽. ISBN 978-1-904455-24-0. 
  87. Imamura, Yoshifumi; Chandra, Jyotsna; Mukherjee, Pranab K.; Lattif, Ali Abdul; Szczotka-Flynn, Loretta B.; Pearlman, Eric; Lass, Jonathan H.; O'Donnell, Kerry; Ghannoum, Mahmoud A. (2008년 1월). “Fusarium and Candida albicans Biofilms on Soft Contact Lenses: Model Development, Influence of Lens Type, and Susceptibility to Lens Care Solutions”.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영어) 52 (1): 171–182. doi:10.1128/AAC.00387-07. ISSN 0066-4804. PMC 2223913. PMID 17999966. 
  88. Capoor, Manu N.; Ruzicka, Filip; Schmitz, Jonathan E.; James, Garth A.; Machackova, Tana; Jancalek, Radim; Smrcka, Martin; Lipina, Radim; Ahmed, Fahad S. (2017년 4월 3일). Brüggemann, Holger, 편집. “Propionibacterium acnes biofilm is present in intervertebral discs of patients undergoing microdiscectomy”. 《PLOS ONE》 (영어) 12 (4): e0174518. doi:10.1371/journal.pone.0174518. ISSN 1932-6203. PMC 5378350. PMID 28369127. 
  89. Lewis, Kim (2001년 4월). “Riddle of Biofilm Resistance”.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영어) 45 (4): 999–1007. doi:10.1128/AAC.45.4.999-1007.2001. ISSN 0066-4804. PMC 90417. PMID 11257008. 
  90. Parsek, Matthew R.; Singh, Pradeep K. (2003년 10월). “Bacterial Biofilms: An Emerging Link to Disease Pathogenesis”.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영어) 57 (1): 677–701. doi:10.1146/annurev.micro.57.030502.090720. ISSN 0066-4227. 
  91. Agarwal, Aakash; Mooney, Megan; Agarwal, Ashish G.; Jayaswal, Daksh; Saakyan, Gayane; Goel, Vijay; Wang, Jeffrey C.; Anand, Neel; Garfin, Steve (2021년 3월 27일). “High Prevalence of Biofilms on Retrieved Implants from Aseptic Pseudarthrosis Cases”. 《Spine Surgery and Related Research》 (영어) 5 (2): 104–108. doi:10.22603/ssrr.2020-0147. ISSN 2432-261X. PMC 8026210. PMID 33842718. 
  92. Agarwal, Aakash; Mooney, Megan; Agarwal, Ashish G.; Jayaswal, Daksh; Saakyan, Gayane; Goel, Vijay; Wang, Jeffrey C.; Anand, Neel; Garfin, Steve (2021년 3월 27일). “High Prevalence of Biofilms on Retrieved Implants from Aseptic Pseudarthrosis Cases”. 《Spine Surgery and Related Research》 (영어) 5 (2): 104–108. doi:10.22603/ssrr.2020-0147. ISSN 2432-261X. 
  93. niamhcurran (2020년 11월 20일). “New study first to visually capture biofilm architecture in retrieved implants from live patients” (영국 영어).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94. Sandberg, Josh (2020년 12월 22일). “First Study to Visually Capture Biofilm Structure of Retrieved Implants from Spine Patients with Pseudarthrosis” (미국 영어).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95. Davis, Stephen C.; Ricotti, Carlos; Cazzaniga, Alex; Welsh, Esperanza; Eaglstein, William H.; Mertz, Patricia M. (2008년 1월). “Microscopic and physiologic evidence for biofilm-associated wound colonization in vivo”. 《Wound Repair and Regeneration》 (영어) 16 (1): 23–29. doi:10.1111/j.1524-475X.2007.00303.x. 
  96. Momeni, Babak (2018년 6월). “Division of Labor: How Microbes Split Their Responsibility”. 《Current Biology》 (영어) 28 (12): R697–R699. doi:10.1016/j.cub.2018.05.024. 
  97. Vyas, Krishna S.; Wong, Lesley K. (2016년 1월). “Detection of Biofilm in Wounds as an Early Indicator for Risk for Tissue Infection and Wound Chronicity”. 《Annals of Plastic Surgery》 (영어) 76 (1): 127–131. doi:10.1097/SAP.0000000000000440. ISSN 0148-7043. 
  98. Sanclement, Jose A.; Webster, Paul; Thomas, John; Ramadan, Hassan H. (2005년 4월). “Bacterial Biofilms in Surgical Specimens of Patien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 《The Laryngoscope》 (영어) 115 (4): 578–582. doi:10.1097/01.mlg.0000161346.30752.18. 
  99. Sanderson, Alicia R.; Leid, Jeff G.; Hunsaker, Darrell (2006년 7월). “Bacterial Biofilms on the Sinus Mucosa of Human Subjec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 《The Laryngoscope》 (영어) 116 (7): 1121–1126. doi:10.1097/01.mlg.0000221954.05467.54. ISSN 0023-852X. 
  100. Leevy, W. Matthew; Gammon, Seth T.; Jiang, Hua; Johnson, James R.; Maxwell, Dustin J.; Jackson, Erin N.; Marquez, Manuel; Piwnica-Worms, David; Smith, Bradley D. (2006년 12월 1일). “Optical Imaging of Bacterial Infection in Living Mice Using a Fluorescent Near-Infrared Molecular Prob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영어) 128 (51): 16476–16477. doi:10.1021/ja0665592. ISSN 0002-7863. PMC 2531239. PMID 17177377. 
  101. Kaplan, Jeffrey B.; Izano, Era A.; Gopal, Prerna; Karwacki, Michael T.; Kim, Sangho; Bose, Jeffrey L.; Bayles, Kenneth W.; Horswill, Alexander R. (2012년 8월 31일). Dunman, Paul; Pier, Gerald, 편집. “Low Levels of β-Lactam Antibiotics Induce Extracellular DNA Release and Biofilm Formation in Staphylococcus aureus”. 《mBio》 (영어) 3 (4): e00198–12. doi:10.1128/mBio.00198-12. ISSN 2161-2129. PMC 3419523. PMID 22851659. 
  102. Ibrahim, Ahmed (2015). “The tragedy of the commons and prisoner's dilemma may improve our realization of the theory of life and provide us with advanced therapeutic ways”. doi:10.13140/RG.2.1.2327.9842. 
  103. Rybtke, Morten; Hultqvist, Louise Dahl; Givskov, Michael; Tolker-Nielsen, Tim (2015년 11월).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 Infections: Community Structure, Antimicrobial Tolerance and Immune Response”.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영어) 427 (23): 3628–3645. doi:10.1016/j.jmb.2015.08.016. 
  104. Ciofu, Oana; Tolker-Nielsen, Tim; Jensen, Peter Østrup; Wang, Hengzhuang; Høiby, Niels (2015년 5월). “Antimicrobial resistanc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nd role of biofilms in lung infections in cystic fibrosis patient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영어) 85: 7–23. doi:10.1016/j.addr.2014.11.017. 
  105. Aggarwal, Srijan; Stewart, Philip S.; Hozalski, Raymond M. (2015년 1월). “Biofilm Cohesive Strength as a Basis for Biofilm Recalcitrance: Are Bacterial Biofilms Overdesigned?”. 《Microbiology Insights》 (영어) 8s2: MBI.S31444. doi:10.4137/MBI.S31444. ISSN 1178-6361. PMC 4718087. PMID 26819559. 
  106. Whitchurch, Cynthia B.; Tolker-Nielsen, Tim; Ragas, Paula C.; Mattick, John S. (2002년 2월 22일). “Extracellular DNA Required for Bacterial Biofilm Formation”. 《Science》 (영어) 295 (5559): 1487–1487. doi:10.1126/science.295.5559.1487. ISSN 0036-8075. 
  107. Sen, Chandan K.; Gordillo, Gayle M.; Roy, Sashwati; Kirsner, Robert; Lambert, Lynn; Hunt, Thomas K.; Gottrup, Finn; Gurtner, Geoffrey C.; Longaker, Michael T. (2009년 11월). “Human skin wounds: A major and snowballing threat to public health and the economy”. 《Wound Repair and Regeneration》 (영어) 17 (6): 763–771. doi:10.1111/j.1524-475X.2009.00543.x. PMC 2810192. PMID 19903300. 
  108. Singh, Pradeep K.; Parsek, Matthew R.; Greenberg, E. Peter; Welsh, Michael J. (2002년 5월). “A component of innate immunity prevents bacterial biofilm development”. 《Nature》 (영어) 417 (6888): 552–555. doi:10.1038/417552a. ISSN 0028-0836. 
  109. Oggioni, Marco R.; Trappetti, Claudia; Kadioglu, Aras; Cassone, Marco; Iannelli, Francesco; Ricci, Susanna; Andrew, Peter W.; Pozzi, Gianni (2006년 9월). “Switch from planktonic to sessile life: a major event in pneumococcal pathogenesis”. 《Molecular Microbiology》 (영어) 61 (5): 1196–1210. doi:10.1111/j.1365-2958.2006.05310.x. ISSN 0950-382X. PMC 1618759. PMID 16925554. 
  110. Wei, Hua; Håvarstein, Leiv Sigve (2012년 8월 15일). “Fratricide Is Essential for Efficient Gene Transfer between Pneumococci in Biofilm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영어) 78 (16): 5897–5905. doi:10.1128/AEM.01343-12. ISSN 0099-2240. PMC 3406168. PMID 22706053. 
  111. Kalsy, Miriam; Tonk, Miray; Hardt, Martin; Dobrindt, Ulrich; Zdybicka-Barabas, Agnieszka; Cytrynska, Malgorzata; Vilcinskas, Andreas; Mukherjee, Krishnendu (2020년 12월). “The insect antimicrobial peptide cecropin A disrupts u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biofilms”. 《npj Biofilms and Microbiomes》 (영어) 6 (1): 6. doi:10.1038/s41522-020-0116-3. ISSN 2055-5008. PMC 7016129. PMID 32051417. 
  112. Sturbelle, Régis Tuchtenhagen; Avila, Luciana Farias da Costa de; Roos, Talita Bandeira; Borchardt, Jéssica Lopes; de Cássia dos Santos da Conceição, Rita; Dellagostin, Odir Antonio; Leite, Fábio Pereira Leivas (2015년 11월). “The role of quorum sensing in Escherichia coli (ETEC) virulence factors”. 《Veterinary Microbiology》 (영어) 180 (3-4): 245–252. doi:10.1016/j.vetmic.2015.08.015. 
  113. Vogeleer, Philippe; Tremblay, Yannick D. N.; Mafu, Akier A.; Jacques, Mario; Harel, Josée (2014년 7월 1일). “Life on the outside: role of biofilms in environmental persistence of Shiga-toxin producing Escherichia coli”. 《Frontiers in Microbiology》 5. doi:10.3389/fmicb.2014.00317. ISSN 1664-302X. 
  114. Luo, Aihua; Wang, Fang; Sun, Degang; Liu, Xueyu; Xin, Bingchang (2022년 1월 4일). “Formation, Development, and Cross-Species Interactions in Biofilms”. 《Frontiers in Microbiology》 12: 757327. doi:10.3389/fmicb.2021.757327. ISSN 1664-302X. PMC 8764401. PMID 35058893. 
  115. Thomas, Vinai Chittezham; Hancock, Lynn E. (2009년 9월). “Suicide and Fratricide in Bacterial Biofilm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Organs》 (영어) 32 (9): 537–544. doi:10.1177/039139880903200902. ISSN 0391-3988. 
  116. Abe, Kimihiro; Nomura, Nobuhiko; Suzuki, Satoru (2020년 5월 1일). “Biofilms: hot spots of horizontal gene transfer (HGT) in aquatic environments, with a focus on a new HGT mechanism”. 《FEMS Microbiology Ecology》 (영어) 96 (5): fiaa031. doi:10.1093/femsec/fiaa031. ISSN 0168-6496. PMC 7189800. PMID 32109282. 
  117. Chimileski, Scott; Franklin, Michael J; Papke, R Thane (2014년 12월). “Biofilms formed by the archaeon Haloferax volcaniiexhibit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social motility, and facilitate horizontal gene transfer”. 《BMC Biology》 (영어) 12 (1): 65. doi:10.1186/s12915-014-0065-5. ISSN 1741-7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