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이뇨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LR0725 (토론 | 기여)
35번째 줄: 35번째 줄:


그러나 [[토라세미드]]나 [[부메타니드]]의 경구 투여 시 생체이용률은 90%을 넘는다. 토라세미드는 [[심부전]] 환자에서 푸로세미드(2.7시간)와 비교했을 때 더 긴 반감기(6시간)를 가진다. 고리 이뇨제는 보통 '천장 효과'(상한선, ceiling effect)를 가진다. 이는 최대 용량에서 더 많은 용량을 투여해도 약물의 치료 효과가 올라가지 않는다는 뜻이다. 푸로세미드를 40mg 투여한 것은 토라세미드 20mg 투여나 부메타니드 1mg 투여와 동등하다.<ref name="NEJM 2017"/>
그러나 [[토라세미드]]나 [[부메타니드]]의 경구 투여 시 생체이용률은 90%을 넘는다. 토라세미드는 [[심부전]] 환자에서 푸로세미드(2.7시간)와 비교했을 때 더 긴 반감기(6시간)를 가진다. 고리 이뇨제는 보통 '천장 효과'(상한선, ceiling effect)를 가진다. 이는 최대 용량에서 더 많은 용량을 투여해도 약물의 치료 효과가 올라가지 않는다는 뜻이다. 푸로세미드를 40mg 투여한 것은 토라세미드 20mg 투여나 부메타니드 1mg 투여와 동등하다.<ref name="NEJM 2017"/>

== 사용 ==
고리 이뇨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주로 사용된다.
* [[심부전]] - 이전 경구 용량의 2.5배씩 하루 두 번, [[급성 비보상 심부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은 합리적인 치료 전략이다. 그러나 이후 투여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매일 치료 반응을 평가해야 한다.<ref name="NEJM 2017"/>
* [[간경화증]]과 연관된 부종이나 [[콩팥증후군]].<ref>{{cite journal|last1=O'Brien|first1=James G|last2=Chennubthotla|first2=Shobha A|title=Treatment of Edema|journal=American Family Physician|date=1 June 2005|volume=71|issue=11|pages=2111–2117|url=https://www.aafp.org/afp/2005/0601/p2111.html|access-date=5 March 2018}}</ref>
* [[뇌부종]] - [[정맥 주사]]된 푸로세미드는 [[만니톨]]과 함께 급격한 [[이뇨]]를 시작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치료법이 최적의 작용 시간은 알려져 있지 않다. 혈액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뇌 관류량이 부족해지지 않도록 자주 체액량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10mg이나 20mg을 1회 정맥 투여하는 식으로 처방될 수 있으며 그 뒤에는 혈청 나트륨 농도를 올리기 위해 2% 또는 3%의 고장성 생리식염수를 정맥 주사로 투여한다.<ref>{{cite journal|last1=Ahmed|first1=Raslan|last2=Anish|first2=Bhardwaj|title=Medical management of cerebral edema|journal=Neurosurgical Focus|date=2007|volume=22|issue=5|pages=E12|pmid=17613230|doi=10.3171/foc.2007.22.5.13|doi-access=free}}</ref>
* [[폐부종]] - 체액과다나 폐부종이 있는 환자에서 분당 4mg씩 느리게 40-80mg의 푸로세미드를 정맥 투여(bolus)할 수 있다. 20분 뒤 같은 용량만큼 반복 투여한다. 정맥 투여 후에는 시간당 5-10mg씩 푸로세미드를 정맥 내 주입(infusion)할 수 있다. 콩팥 기능이 손상되었거나 심각한 심부전이 있는 경우 160-200mg까지 정맥 투여할 수 있다.<ref>{{cite journal|last1=Megan|first1=Purvey|last2=Goerge|first2=Allen|title=Managing acute pulmonary oedema|journal=Australian Prescriber|date=April 2017|volume=40|issue=2|pages=59–63|doi=10.18773/austprescr.2017.013|pmid=28507398|pmc=5408000}}</ref>
* [[고혈압]] - Cochrane Hypertension group에 의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고리 이뇨제는 항고혈압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고리 이뇨제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크지 않다고 밝혔다.<ref>{{cite journal | last1 = Musini | first1 = VM | last2 = Rezapour | first2 = P | last3 = Wright | first3 = JM | last4 = Bassett | first4 = K | last5 = Jauca | first5 = CD | year = 2015 | title = Blood pressure-lowering efficacy of loop diuretics for primary hypertension | journal =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 issue = 5 | page = CD003825 | doi = 10.1002/14651858.CD003825.pub4 | pmid=26000442| pmc = 7156893 }}</ref> Joint National Committee(JNC-8)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고혈압에 대한 일차 선택 약물은 [[티아지드]]계 이뇨제이다. 고리 이뇨제 사용은 이 가이드라인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반면에 2013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ESC)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고리 이뇨제는 콩팥 손상([[크레아티닌]](Cr) > 1.5 mg/dL, 또는 측정된 [[사구체여과율]](eGFR) < 30 mL/min/1.73 m<sup>2</sup>)이 있을 때만 티아지드계 이뇨제를 대체하여 사용한다.<ref>{{cite journal|last1=Line|first1=Malha|last2=Samuel|first2=J Mann|title=Loop Diuretics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journal=Current Hypertension Reports|date=7 March 2016|volume=18|issue=27|pages=27|doi=10.1007/s11906-016-0636-7|pmid=26951244}}</ref>

2012 KDIGO(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가이드라인은 체액과다 상태를 관리할 때를 제외하면, 이뇨제가 급성 콩팥 손상 치료용으로는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서술했다. 이뇨제는 급성 콩팥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에 어떤 이득도 보여주지 못했다.<ref name="Claire 2013">{{cite journal|last1=Claire|first1=Annie|last2=Fredette|first2=Nadeau|last3=Bouchard|first3=Josée|title=Fluid Management and Use of Diuretics in Acute Kidney Injury|journal=Advances in Chronic Kidney Disease|date=January 2013|volume=20|issue=1|pages=45–55|doi=10.1053/j.ackd.2012.09.005|pmid=23265596}}</ref>

또한 종종 적절한 수액을 통한 재수화와 함께 심각한 [[고칼슘혈증]]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ref name="AMH2004"/>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22년 4월 16일 (토) 23:13 판

고리 이뇨제
약물 종류
고리 이뇨제인 푸로세미드, 아조세미드, 부메타니드, 피레타니드, 토라세미드, 에타크린산, 에타졸린의 구조.
클래스 식별자
동의어High-ceiling diuretic[3]
이용울혈성 심부전, 콩팥증후군, 간경화증, 고혈압, 부종[1]
ATC 코드C03C
생물학적 표적나트륨-칼륨-염소 공동수송체[2]
외부 링크
MeSHD049994
위키데이터

고리 이뇨제(loop diuretics)는 콩팥헨레 고리 오름부분에 작용하는 이뇨제이다. 고리 이뇨제는 주로 울혈성 심부전이나 만성 신장 질환으로 인한 고혈압부종을 치료하기 위해 의학적으로 사용된다. 티아지드계 이뇨제는 콩팥 기능이 정상인 환자에게 더 효과적이지만 고리 이뇨제는 콩팥 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 더 효과적이다.[4]

작용 기전

고리 이뇨제는 단백질에 90% 결합되어 있으며 유기 음이온 수송체 1(OAT-1), OAT-2, ABCC4를 통해 근위세뇨관으로 분비된다. 고리 이뇨제는 헨레 고리의 굵은 오름부분에서 Na + -K + -2Cl - 공동수송체(NKCC2)에 작용하여 나트륨, 염화물, 칼륨 재흡수를 억제한다. 이것은 Cl - 결합 부위에 대해 경쟁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고리 이뇨제는 치밀반에서 NKCC2를 억제하여 치밀반 세포로 수송되는 나트륨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레닌-안지오텐신계를 통해 신체의 체액 저류가 증가하고, 사구체의 관류를 증가시켜 사구체 여과율(GFR)을 증가시키는 레닌의 방출을 자극한다. 동시에, 고리 이뇨제는 세뇨관 사구체 피드백 기전을 억제하여 치밀반 근처의 내강에서 염분의 증가가 GFR을 감소시키는 반응을 유발하지 않도록 만든다.[5]

또한 고리 이뇨제는 굵은 오름부분에서 일어나는 마그네슘칼슘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마그네슘과 칼슘의 흡수는 상피를 사이에 두고 10mV의 전압 기울기를 갖는 내강 쪽 양의 전압과 간질 쪽 더 작은 크기의 양의 전압에 의존한다. 이로 인해 마그네슘과 칼슘 이온이 내강 쪽에서 간질 쪽으로 흡수되기 쉬워진다. 양쪽 전압 차이는 ROMK 통로를 통한 칼륨 재활용에 의해 형성된다. 칼륨 재활용이 억제되면 전압 기울기가 없어지고 마그네슘과 칼슘의 재흡수가 억제된다.[6] 고리 이뇨제는 이런 식으로 이온의 재흡수를 방해하여 콩팥속질이 고장성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온이 농축된 수질이 없으면 물은 집합관 시스템을 떠나는 삼투압이 작아지며 궁극적으로는 소변 생성량이 증가한다. 이뇨가 증가하면 혈액으로 재흡수되는 물의 양이 줄어들어 전체 혈액량을 감소시킨다.

고리 이뇨제의 이차적인 효과는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증가시켜 혈관을 확장시키고 콩팥으로의 혈액 공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7][8]

혈액량이 감소하고 혈관이 확장되면 결과적으로 혈압이 낮아지고 부종 상태가 개선된다.

약동학

고리 이뇨제는 단백질 결합이 많으며 따라서 분포 용적이 적다. 단백질 결합이 높으므로 근위 세뇨관의 내강 쪽 벽의 여러 수송체 분자를 통해 쉽게 분비되어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푸로세미드생체이용률은 10%에서 90%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푸로세미드의 생물학적 반감기위장관계에서 혈류 방향으로의 흡수에 의해 제한된다. 정맥 주사 시 푸로세미드의 효과는 경구 투여 때보다 두 배 정도 강하다.[5]

그러나 토라세미드부메타니드의 경구 투여 시 생체이용률은 90%을 넘는다. 토라세미드는 심부전 환자에서 푸로세미드(2.7시간)와 비교했을 때 더 긴 반감기(6시간)를 가진다. 고리 이뇨제는 보통 '천장 효과'(상한선, ceiling effect)를 가진다. 이는 최대 용량에서 더 많은 용량을 투여해도 약물의 치료 효과가 올라가지 않는다는 뜻이다. 푸로세미드를 40mg 투여한 것은 토라세미드 20mg 투여나 부메타니드 1mg 투여와 동등하다.[5]

사용

고리 이뇨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주로 사용된다.

  • 심부전 - 이전 경구 용량의 2.5배씩 하루 두 번, 급성 비보상 심부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은 합리적인 치료 전략이다. 그러나 이후 투여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매일 치료 반응을 평가해야 한다.[5]
  • 간경화증과 연관된 부종이나 콩팥증후군.[9]
  • 뇌부종 - 정맥 주사된 푸로세미드는 만니톨과 함께 급격한 이뇨를 시작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치료법이 최적의 작용 시간은 알려져 있지 않다. 혈액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뇌 관류량이 부족해지지 않도록 자주 체액량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10mg이나 20mg을 1회 정맥 투여하는 식으로 처방될 수 있으며 그 뒤에는 혈청 나트륨 농도를 올리기 위해 2% 또는 3%의 고장성 생리식염수를 정맥 주사로 투여한다.[10]
  • 폐부종 - 체액과다나 폐부종이 있는 환자에서 분당 4mg씩 느리게 40-80mg의 푸로세미드를 정맥 투여(bolus)할 수 있다. 20분 뒤 같은 용량만큼 반복 투여한다. 정맥 투여 후에는 시간당 5-10mg씩 푸로세미드를 정맥 내 주입(infusion)할 수 있다. 콩팥 기능이 손상되었거나 심각한 심부전이 있는 경우 160-200mg까지 정맥 투여할 수 있다.[11]
  • 고혈압 - Cochrane Hypertension group에 의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고리 이뇨제는 항고혈압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고리 이뇨제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크지 않다고 밝혔다.[12] Joint National Committee(JNC-8)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고혈압에 대한 일차 선택 약물은 티아지드계 이뇨제이다. 고리 이뇨제 사용은 이 가이드라인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반면에 2013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ESC)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고리 이뇨제는 콩팥 손상(크레아티닌(Cr) > 1.5 mg/dL, 또는 측정된 사구체여과율(eGFR) < 30 mL/min/1.73 m2)이 있을 때만 티아지드계 이뇨제를 대체하여 사용한다.[13]

2012 KDIGO(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가이드라인은 체액과다 상태를 관리할 때를 제외하면, 이뇨제가 급성 콩팥 손상 치료용으로는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서술했다. 이뇨제는 급성 콩팥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에 어떤 이득도 보여주지 못했다.[14]

또한 종종 적절한 수액을 통한 재수화와 함께 심각한 고칼슘혈증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15]

참고 문헌

  1. Huxel, Chris; Raja, Avais; Ollivierre-Lawrence, Michelle D. (2022). “Loop Diuretics”.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년 4월 9일에 확인함. 
  2. Khan, M. Gabriel (2006년 1월 1일). “Diuretics”. 《Encyclopedia of Heart Diseases》 (영어). Academic Press. 313–318쪽. doi:10.1016/b978-012406061-6/50053-9. 2022년 4월 9일에 확인함. 
  3. “WHOCC - ATC/DDD Index”. 《www.whocc.no》. 2022년 4월 9일에 확인함. 
  4. Wile, D (Sep 2012). “Diuretics: a review.”. 《Annals of Clinical Biochemistry》 49 (Pt 5): 419–31. doi:10.1258/acb.2011.011281. PMID 22783025. 
  5. Ingelfinger, Julie R (2017년 11월 16일). “Diuretic Treatment in Heart Failur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7 (20): 1964–1975. doi:10.1056/NEJMra1703100. PMC 5811193. PMID 29141174. 
  6. Rose, BD (Feb 1991). “Diuretics.”. 《Kidney International》 39 (2): 336–52. doi:10.1038/ki.1991.43. PMID 2002648. 
  7. Liguori, A.; A. Casini; M. Di Loreto; I. Andreini; C. Napoli (1999). “Loop diuretics enhance the secretion of prostacyclin in vitro, in healthy persons, and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55 (2): 117–124. doi:10.1007/s002280050605. ISSN 0031-6970. PMID 10335906. 
  8. Miyanoshita, A.; M. Terada; H. Endou (1989). “Furosemide directly stimulates prostaglandin E2 production in the thick ascending limb of Henle's loop”.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51 (3): 1155–1159. ISSN 0022-3565. PMID 2600809. 
  9. O'Brien, James G; Chennubthotla, Shobha A (2005년 6월 1일). “Treatment of Edema”. 《American Family Physician》 71 (11): 2111–2117. 2018년 3월 5일에 확인함. 
  10. Ahmed, Raslan; Anish, Bhardwaj (2007). “Medical management of cerebral edema”. 《Neurosurgical Focus》 22 (5): E12. doi:10.3171/foc.2007.22.5.13. PMID 17613230. 
  11. Megan, Purvey; Goerge, Allen (April 2017). “Managing acute pulmonary oedema”. 《Australian Prescriber》 40 (2): 59–63. doi:10.18773/austprescr.2017.013. PMC 5408000. PMID 28507398. 
  12. Musini, VM; Rezapour, P; Wright, JM; Bassett, K; Jauca, CD (2015). “Blood pressure-lowering efficacy of loop diuretics for primary hypertens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5): CD003825. doi:10.1002/14651858.CD003825.pub4. PMC 7156893. PMID 26000442. 
  13. Line, Malha; Samuel, J Mann (2016년 3월 7일). “Loop Diuretics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Current Hypertension Reports》 18 (27): 27. doi:10.1007/s11906-016-0636-7. PMID 26951244. 
  14. Claire, Annie; Fredette, Nadeau; Bouchard, Josée (January 2013). “Fluid Management and Use of Diuretics in Acute Kidney Injury”. 《Advances in Chronic Kidney Disease》 20 (1): 45–55. doi:10.1053/j.ackd.2012.09.005. PMID 23265596. 
  15.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AMH2004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