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웨리 무세베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부착 (근거 1, 근거 2)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대통령 정보
[[파일:Yoweri Museveni September 2015.jpg|섬네일|요웨리 무세베니]]
|이름 = 요웨리 무세베니
'''요웨리 카구타 무세베니'''(Yoweri Kaguta Museveni, {{문화어|요웨리 카구타 무쎄베니}}, [[1944년]] [[9월 15일]]~<ref>[http://www.britannica.com/ebc/article-9372873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encyclopedia.com/html/m/museveniy1.asp Encyclopedia.com], [http://encarta.msn.com/encyclopedia_761584090/Museveni_Yoweri.html Encarta] {{웨이백|url=http://encarta.msn.com/encyclopedia_761584090/Museveni_Yoweri.html |date=20050327170532 }}, [http://www.bartleby.com/65/mu/MuseveniY.html Columbia Encyclopedia] {{웨이백|url=http://www.bartleby.com/65/mu/MuseveniY.html |date=20080625040351 }}), 1945년 또는 1946년의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Oloka-Onyango 2003 [http://muse.jhu.edu/journals/africa_today/v050/50.3onyango.pdf Project MUSE]).</ref>)는 [[우간다]]의 정치인이다. 1986년 1월 26일부터 30년 이상 [[우간다의 대통령]]을 맡고 있다.
|원래 이름 = Yoweri Museveni
|그림 = Yoweri Museveni September 2015.jpg
|크기 =
|설명 = 요웨리 무세베니 (2015년)
|국가 = 우간다
|대수 = 9
|취임일 = 1986년 1월 29일
|퇴임일 =
|부통령 = [[삼손 키세카]]<br />[[스페키오자 카지베]]<br />[[길버트 부케냐]]<br />[[에드워드 세칸디]]<br />[[제시카 알루포]]
|총리 = [[삼손 키세카]]<br />[[조지 코스마스 아디예보]]<br />[[킨투 무소케]]<br />[[아폴로 은시밤비]]<br />[[아마마 음바바지]]<br />[[루하카나 루군다]]<br />[[로비나 나바냐]]
|국적 = {{UGA}}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1944|9|15}}
|출생지 = [[우간다 보호령]] [[루쿤기리]]
|학력 = [[다르에스살람 대학교]]
|정당 = [[국가저항운동]]
|부모 =
|배우자 = [[자넷 무세베니]]
|자녀 = 4명
|종교 = [[성공회]]
|서명 =
|전임 = 티토 오켈로
|전임대수 = 8
|후임 =
|후임대수 =
}}
'''요웨리 카구타 티부하부르와 무세베니'''({{llang|sw|Yoweri Kaguta Tibuhaburwa Museveni}}, [[1944년]] [[9월 15일]]~)는 [[우간다]]의 정치인이자 은퇴한 군 고위 장교로 [[우간다의 대통령|우간다의 제9대 대통령]]이다. 요웨리 무세베니는<ref>{{cite web|date=21 December 2020|title=Opinion: Open letter to President Yoweri Tibuhaburwa Kaguta Museveni|url=https://nilepost.co.ug/2020/12/21/opinion-open-letter-to-president-yoweri-tibuhaburwa-kaguta-museveni/|access-date=13 April 2021|website=Nile Post|language=en-US}}</ref> 1986년 권력을 잡기 전에 우간다의 대통령 [[밀턴 오보테]]와 [[이디 아민]]을 쓰러뜨린 반란에 연루되었다.

1990년대 중후반에, 무세베니는 아프리카 지도자들의 새로운 세대의 일부로 서방세계에 의해 기념되었다. 무세베니의 대통령직은 [[제1차 콩고 전쟁|콩고 전쟁]], [[르완다 내전]] 및 기타 [[아프리카 대호수|오대호]] 분쟁, 인도주의적 비상사태를 초래한 주 [[신의 저항군]]의 [[신의 저항군 반란|북부 우간다 반란]], 헌법 개정, 2005년 대통령 임기 제한 폐지, 2017년 대통령 연령 제한 폐지 등으로 얼룩졌다.

무세베니의 통치는 학자들에 의해 경쟁적 권위주의<ref>{{Citation|last=Kagoro|first=Jude|title=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n Uganda: the not so hidden hand of the military|date=2016|url=https://doi.org/10.1007/978-3-658-09216-0_9|work=Democratization and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n Africa|pages=155–172|editor-last=Bogaards|editor-first=Matthijs|series=Zeitschrift für Vergleichende Politikwissenschaft – Sonderhefte|place=Wiesbaden|publisher=Springer Fachmedien|language=en|doi=10.1007/978-3-658-09216-0_9|isbn=978-3-658-09216-0|access-date=2022-02-20|editor2-last=Elischer|editor2-first=Sebastian}}</ref> 또는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로 묘사되어 왔다.<ref>{{Cite journal|last=Muhumuza|first=William|date=2009-09-01|title=From Fundamental Change to No Change: The NRM and democratization in Uganda|url=https://journals.openedition.org/eastafrica/578|journal=Les Cahiers d'Afrique de l'Est|language=en|issue=41|pages=21–42|doi=10.4000/eastafrica.578|s2cid=198678389|issn=2071-7245}}</ref> 언론은 정부의 권한하에 있어왔다.<ref>{{Cite book|last=Tapscott|first=Rebecca|url=https://global.oup.com/academic/product/arbitrary-states-9780198856474|title=Arbitrary States: Social Control and Modern Authoritarianism in Museveni's Uganda|date=2021|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isbn=978-0-19-259847-9|language=en}}</ref><ref>{{Cite journal|last=Tripp|first=Aili Mari|date=2004|title=The Changing Face of Authoritarianism in Africa: The Case of Uganda|url=https://www.jstor.org/stable/4187590|journal=Africa Today|volume=50|issue=3|pages=3–26|doi=10.1353/at.2004.0035|jstor=4187590|s2cid=154238851|issn=0001-9887}}</ref><ref>{{Citation|last=Kagoro|first=Jude|title=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n Uganda: the not so hidden hand of the military|date=2016|url=https://doi.org/10.1007/978-3-658-09216-0_9|work=Democratization and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n Africa|pages=155–172|editor-last=Bogaards|editor-first=Matthijs|publisher=Springer|language=en|doi=10.1007/978-3-658-09216-0_9|isbn=978-3-658-09216-0|editor2-last=Elischer|editor2-first=Sebastian}}</ref> 지난 30년간 실시된 우간다 선거 중 자유롭고 투명한 선거는 단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았다.<ref>{{Cite web|title=Is it true that Uganda has not had held a fair and transparent election in 30 years?|url=https://pesacheck.org/is-it-true-that-uganda-has-not-held-a-fair-and-transparent-election-in-over-30-years-5d8548d42059|url-status=live|website=Pesacheck|date=22 June 2021}}</ref> 2021년 1월 16일 선거관리위원회는 무세베니가 58.6%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ref>{{Cite news|title=Uganda's Museveni names new top electoral official, critics say he lacks credibility|url=https://www.reuters.com/article/us-uganda-politics-idUSKBN13D1IU|url-status=live|website=Reuters|date=18 November 2016}}</ref>, 400개 이상의 투표소<ref>{{Cite web|title=Two Presiding Officers Arrested in Lugazi for Ballot Stuffing|url=https://ugandaradionetwork.net/story/-two-presiding-officers-arrested-in-lugazi-for-ballot-stuffing|url-status=live|website=URN}}</ref>, 100% 투표율<ref>{{Cite web|title=409 Polling Stations had 100% Voter Turnout, Giving Museveni 95.8%|url=https://ugandaradionetwork.com/story/409-polling-stations-had-100-voter-turnout-giving-museveni-95-8|url-status=live|website=URN}}</ref>, 인권침해 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ref>{{cite web|date=21 January 2021|title=Uganda: Elections Marred by Violence|url=https://www.hrw.org/news/2021/01/21/uganda-elections-marred-violence|access-date=14 February 2021|website=Human Rights Watch|language=en}}</ref><ref>{{cite web|title=Museveni declared winner of disputed Uganda presidential election|url=https://www.aljazeera.com/news/2021/1/16/ugandas-museveni-declared-winner-of-presidential-election}}</ref> 당선자로 자신을 지명했다고 밝혔다.

== 초기 생애 및 경력 ==
무세베니는 1944년 9월 15일 목축업자 음지 아모스 카구타 (1916년~2013년)와 에스테리 코쿤데카 은간지 (1918년~2001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음포로 왕국(현재의 [[안콜레]])의 히마족이다.

[[줄리어스 니에레레]]에 따르면 무세베니의 아버지 아모스 카구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왕의 아프리카 소총에 참가한 군인이었다고 한다. 그는 제7대대에 있었다. 그래서 요웨리가 태어났을 때 친척들은 "그의 아버지는 뮤세븐이었다" (7번째 의미) 라고 말하곤 했다. 이것이 그가 무세베니라는 이름을 얻은 방법이다.

그의 가족은 나중에 [[영국]] [[우간다 보호령]]으로 [[은퉁가모]]로 이주했다. 무세베니는 초등 및 중등 교육을 위해 캬메이트 초등학교, 음바라라 고등학교, 은타레 학교에 다녔다. 그는 또한 [[탄자니아]]의 [[다르에스살람 대학교]]에서 3차 교육을 받았다. 그는 경제와 정치학을 공부했다. 그 당시 대학은 급진적인 [[범아프리카주의]]와 [[마르크스주의]] 정치사상의 온상이었다. 대학생 아프리카혁명전선 학생운동가 단체를 결성하고 학생대표단을 이끌고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에 있는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 영토로 가서 군사훈련을 받았다. 좌파 [[월터 로드니]] 밑에서 공부한 무세베니는 식민지 이후의 아프리카에 대한 [[프란츠 파농]]의 사상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대학 논문을 썼다.

== 개인 생활 ==
무세베니는 [[성공회]] 신자이며 우간다의 성공회 신자이다.

그는 [[자넷 무세베니|자넷 카타하 무세베니]]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 역대 선거 결과 ==
== 역대 선거 결과 ==
25번째 줄: 67번째 줄: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https://www.yowerikmuseveni.com/ Official website of Yoweri Museveni]
* {{위키공용분류-줄}}
* [http://www.statehouse.go.ug/ State House Official Website ]
* {{언어링크|en}} [https://web.archive.org/web/20100607054154/http://www.statehouse.go.ug/profile.php?catId=8 대통령 프로필 소개] - 공식 스테이트 하우스 웹사이트
* {{언어링크|en}} [http://www.nndb.com/people/161/000092882/ NNDB의 무세베니 프로필]


{{위키공용분류}}
{{전임후임
{{전임후임
|전임자 = (군사의회 의장)[[티토 오켈로]]
|전임자 = [[티토 오켈로]]
|후임자 =
|후임자 =
|대수 = 9
|대수 = 9
|직책 = [[우간다의 대통령]]
|직책 = [[우간다의 대통령]]
|임기 = 1986년 1월 26일~
|임기 = 1986년~현재
}}
}}
{{전임후임
{{전임후임
41번째 줄: 83번째 줄:
|대수 = 28
|대수 = 28
|직책 =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위원장
|직책 =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위원장
|임기 = 1990년 7월 9일~1991년 6월 3일
|임기 = 1990년~1991년
}}
}}


48번째 줄: 90번째 줄:
{{전거 통제}}
{{전거 통제}}
{{기본정렬:무세베니, 요웨리}}
{{기본정렬:무세베니, 요웨리}}

[[분류:1944년 출생]]
[[분류:1944년 출생]]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서부주 (우간다) 출신]]
[[분류:우간다의 정치인]]
[[분류:우간다의 대통령]]
[[분류:우간다의 대통령]]
[[분류: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
[[분류:현재 국가 지도자]]
[[분류:다르에스살람 대학교 동문]]
[[분류:우간다의 복음주의자]]
[[분류:우간다의 복음주의자]]
[[분류:우간다의 장군]]
[[분류:우간다의 군인]]
[[분류:우간다의 망명자]]
[[분류:우간다의 작가]]
[[분류:다르에스살람 대학교 동문]]
[[분류: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

2022년 3월 9일 (수) 16:14 판

요웨리 무세베니
Yoweri Museveni
요웨리 무세베니 (2015년)
요웨리 무세베니 (2015년)
우간다제9대 대통령
임기 1986년 1월 29일~
부통령 삼손 키세카
스페키오자 카지베
길버트 부케냐
에드워드 세칸디
제시카 알루포
총리 삼손 키세카
조지 코스마스 아디예보
킨투 무소케
아폴로 은시밤비
아마마 음바바지
루하카나 루군다
로비나 나바냐
전임: 티토 오켈로(제8대)

신상정보
출생일 1944년 9월 15일(1944-09-15)(79세)
출생지 우간다 보호령 루쿤기리
국적 우간다의 기 우간다
학력 다르에스살람 대학교
정당 국가저항운동
배우자 자넷 무세베니
자녀 4명
종교 성공회

요웨리 카구타 티부하부르와 무세베니(스와힐리어: Yoweri Kaguta Tibuhaburwa Museveni, 1944년 9월 15일~)는 우간다의 정치인이자 은퇴한 군 고위 장교로 우간다의 제9대 대통령이다. 요웨리 무세베니는[1] 1986년 권력을 잡기 전에 우간다의 대통령 밀턴 오보테이디 아민을 쓰러뜨린 반란에 연루되었다.

1990년대 중후반에, 무세베니는 아프리카 지도자들의 새로운 세대의 일부로 서방세계에 의해 기념되었다. 무세베니의 대통령직은 콩고 전쟁, 르완다 내전 및 기타 오대호 분쟁, 인도주의적 비상사태를 초래한 주 신의 저항군북부 우간다 반란, 헌법 개정, 2005년 대통령 임기 제한 폐지, 2017년 대통령 연령 제한 폐지 등으로 얼룩졌다.

무세베니의 통치는 학자들에 의해 경쟁적 권위주의[2] 또는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로 묘사되어 왔다.[3] 언론은 정부의 권한하에 있어왔다.[4][5][6] 지난 30년간 실시된 우간다 선거 중 자유롭고 투명한 선거는 단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았다.[7] 2021년 1월 16일 선거관리위원회는 무세베니가 58.6%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8], 400개 이상의 투표소[9], 100% 투표율[10], 인권침해 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11][12] 당선자로 자신을 지명했다고 밝혔다.

초기 생애 및 경력

무세베니는 1944년 9월 15일 목축업자 음지 아모스 카구타 (1916년~2013년)와 에스테리 코쿤데카 은간지 (1918년~2001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음포로 왕국(현재의 안콜레)의 히마족이다.

줄리어스 니에레레에 따르면 무세베니의 아버지 아모스 카구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왕의 아프리카 소총에 참가한 군인이었다고 한다. 그는 제7대대에 있었다. 그래서 요웨리가 태어났을 때 친척들은 "그의 아버지는 뮤세븐이었다" (7번째 의미) 라고 말하곤 했다. 이것이 그가 무세베니라는 이름을 얻은 방법이다.

그의 가족은 나중에 영국 우간다 보호령으로 은퉁가모로 이주했다. 무세베니는 초등 및 중등 교육을 위해 캬메이트 초등학교, 음바라라 고등학교, 은타레 학교에 다녔다. 그는 또한 탄자니아다르에스살람 대학교에서 3차 교육을 받았다. 그는 경제와 정치학을 공부했다. 그 당시 대학은 급진적인 범아프리카주의마르크스주의 정치사상의 온상이었다. 대학생 아프리카혁명전선 학생운동가 단체를 결성하고 학생대표단을 이끌고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에 있는 FRELIMO 영토로 가서 군사훈련을 받았다. 좌파 월터 로드니 밑에서 공부한 무세베니는 식민지 이후의 아프리카에 대한 프란츠 파농의 사상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대학 논문을 썼다.

개인 생활

무세베니는 성공회 신자이며 우간다의 성공회 신자이다.

그는 자넷 카타하 무세베니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1996년 선거 우간다의 대통령 9대 국가저항운동 74.20% 4,428,119표 1위
2001년 선거 우간다의 대통령 9대 국가저항운동 69.33% 5,123,360표 1위
2006년 선거 우간다의 대통령 9대 국가저항운동 59.26% 4,109,449표 1위
2011년 선거 우간다의 대통령 9대 국가저항운동 68.38% 5,428,369표 1위
2016년 선거 우간다의 대통령 9대 국가저항운동 60.62% 5,971,872표 1위
2021년 선거 우간다의 대통령 9대 국가저항운동 58.38% 6,042,898표 1위

각주

  1. “Opinion: Open letter to President Yoweri Tibuhaburwa Kaguta Museveni”. 《Nile Post》 (미국 영어). 2020년 12월 21일. 2021년 4월 13일에 확인함. 
  2. Kagoro, Jude (2016), Bogaards, Matthijs; Elischer, Sebastian, 편집.,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n Uganda: the not so hidden hand of the military”, 《Democratization and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n Africa》, Zeitschrift für Vergleichende Politikwissenschaft – Sonderhefte (영어) (Wiesbaden: Springer Fachmedien), 155–172쪽, doi:10.1007/978-3-658-09216-0_9, ISBN 978-3-658-09216-0, 2022년 2월 20일에 확인함 
  3. Muhumuza, William (2009년 9월 1일). “From Fundamental Change to No Change: The NRM and democratization in Uganda”. 《Les Cahiers d'Afrique de l'Est》 (영어) (41): 21–42. doi:10.4000/eastafrica.578. ISSN 2071-7245. S2CID 198678389. 
  4. Tapscott, Rebecca (2021). 《Arbitrary States: Social Control and Modern Authoritarianism in Museveni's Uganda》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59847-9. 
  5. Tripp, Aili Mari (2004). “The Changing Face of Authoritarianism in Africa: The Case of Uganda”. 《Africa Today》 50 (3): 3–26. doi:10.1353/at.2004.0035. ISSN 0001-9887. JSTOR 4187590. S2CID 154238851. 
  6. Kagoro, Jude (2016), Bogaards, Matthijs; Elischer, Sebastian, 편집.,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n Uganda: the not so hidden hand of the military”, 《Democratization and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n Africa》 (영어) (Springer), 155–172쪽, doi:10.1007/978-3-658-09216-0_9, ISBN 978-3-658-09216-0 
  7. “Is it true that Uganda has not had held a fair and transparent election in 30 years?”. 《Pesacheck》. 2021년 6월 22일. 
  8. “Uganda's Museveni names new top electoral official, critics say he lacks credibility”. 《Reuters》. 2016년 11월 18일. 
  9. “Two Presiding Officers Arrested in Lugazi for Ballot Stuffing”. 《URN》. 
  10. “409 Polling Stations had 100% Voter Turnout, Giving Museveni 95.8%”. 《URN》. 
  11. “Uganda: Elections Marred by Violence”. 《Human Rights Watch》 (영어). 2021년 1월 21일. 2021년 2월 14일에 확인함. 
  12. “Museveni declared winner of disputed Uganda presidential election”. 

외부 링크

전임
티토 오켈로
제9대 우간다의 대통령
1986년~현재
전임
호스니 무바라크
제28대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위원장
1990년~1991년
후임
이브라힘 바방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