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르-린델뢰프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해석학 정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동역학계 이론]]에서, '''피카르-린델뢰프 정리'''({{llang|en|Picard–Lindelöf theorem}})는 [[초기 조건 문제]]의 해의 존재에 대한 정리이다.
[[동역학계 이론]]에서, '''피카르-린델뢰프 정리'''({{llang|en|Picard–Lindelöf theorem}})는 1계 [[상미분 방정식]]의 [[초깃값 문제]]의 해의 존재 및 유일성에 대한 정리이다.


== 정의 ==
== 정의 ==
[[초기 조건 문제]]
[[초깃값 문제]]
:<math>y'(t)=f(t,y(t))</math>
:<math>y'(t)=f(t,y(t))</math>
:<math>y(t_0)=y_0</math>
:<math>y(0)=y_0</math>
를 생각하자.
에서 <math>f</math>가 <math>y</math>에 대하여 [[립시츠 연속 함수]]이며, <math>t</math>에 대하여 [[연속 함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math>t_0</math>의 충분히 작은 [[근방]]에서, 위 초기 조건 문제는 유일한 해를 갖는다.

=== 피카르-린델뢰프 정리 ===
[[열린집합]] <math>U\subseteq\mathbb R^n</math> 및 [[연속 함수]] <math>f\colon[0,a]\times U\to\mathbb R^n</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math>f</math>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실수 <math>L\ge 0</math>가 존재한다고 하자 ('''립시츠 조건''', {{llang|en|Lipschitz condition}}).
:<math>|f(t,y)-f(t,z)|\le L|y-z|\qquad\forall(t,y),(t,z)\in[0,a]\times U</math>
'''피카르-린델뢰프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math>y_0\in U</math>에 대하여, 위 [[초깃값 문제]]는 어떤 <math>0<a'\le a</math>에 대하여 유일한 국소적 해 <math>y\colon[0,a']\to\mathbb R^n</math>를 갖는다. 만약 <math>U=\mathbb R^n</math>일 경우, 임의의 <math>y_0\in\mathbb R^n</math>에 대하여, 위 [[초깃값 문제]]는 유일한 대역적 해 <math>y\colon[0,a]\to\mathbb R^n</math>를 갖는다.<ref name="O’Regan">{{서적 인용
|성=O’Regan
|이름=Donal
|제목=Existence Theory for Nonlinea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언어=en
|총서=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권=398
|출판사=Springer
|위치=Dordrecht
|날짜=1997
|isbn=978-90-481-4835-6
|doi=10.1007/978-94-017-1517-1
}}</ref>{{rp|12, §3.2, Theorem 3.1}}

=== 오스굿 조건 ===
보다 일반적으로, [[열린집합]] <math>U\subseteq\mathbb R^n</math> 및 [[연속 함수]] <math>f\colon[0,a]\times U\to\mathbb R^n</math>가 주어졌고, <math>f</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연속 함수]] <math>F\colon(0,\infty)\to(0,\infty)</math>가 존재한다고 하자 ('''오스굿 조건''', {{llang|en|Osgood condition}}).
:<math>\int_0^1\frac{\mathrm dr}{F(r)}=\infty</math>
:<math>|f(t,y)-f(t,z)|\le F(|y-z|)\qquad\forall(t,y),(t,z)\in[0,a]\times U</math>
그렇다면, 임의의 <math>y_0\in U</math>에 대하여, 위 [[초깃값 문제]]는 어떤 <math>0<a'\le a</math>에 대하여 유일한 국소적 해 <math>y\colon[0,a']\to\mathbb R^n</math>를 갖는다.

립시츠 조건은 오스굿 조건에서 <math>F\colon r\mapsto Lr</math>을 취하여 얻을 수 있다.


== 다른 정리와의 관계 ==
== 다른 정리와의 관계 ==
피카르-린델뢰프 정리는 해가 존재하며 유일할 충분 조건을 제시한다. [[페아노 존재 정리]](Peano existence theorem)는 <math>y</math>에 대하여 [[립시츠 연속|립시츠 연속성]] 대신 [[연속함수|연속성]]만을 가정하고, 해의 존재만을 결론내린다. 즉, 해가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카라테오도리 존재 정리]](Carathéodory's existence theorem)는 이보다 더 약한 조건을 가정하고, 약한 해(weak solution)의 존재만을 결론내린다.
피카르-린델뢰프 정리는 해가 존재하며 유일할 충분 조건을 제시한다. [[페아노 존재 정리]]는 <math>y</math>에 대하여 립시츠 조건 대신 [[연속 함수|연속성]]만을 가정하고, 해의 존재만을 결론내린다. 즉, 해가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카라테오도리 존재 정리]]({{llang|en|Carathéodory's existence theorem}})는 이보다 더 약한 조건을 가정하고, 약한 해({{llang|en|weak solution}})의 존재만을 결론내린다.


== 역사 ==
== 역사 ==
19번째 줄: 44번째 줄: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eom|title=Cauchy-Lipschitz theorem}}
* {{eom|제목=Cauchy-Lipschitz theorem}}
* {{eom|제목=Osgood criterion}}
* {{매스월드|id=PicardsExistenceTheorem|title=Picard's existence theorem}}
* {{매스월드|id=PicardsExistenceTheorem|title=Picard's existence theorem}}



2020년 4월 27일 (월) 17:53 판

동역학계 이론에서, 피카르-린델뢰프 정리(영어: Picard–Lindelöf theorem)는 1계 상미분 방정식초깃값 문제의 해의 존재 및 유일성에 대한 정리이다.

정의

초깃값 문제

를 생각하자.

피카르-린델뢰프 정리

열린집합 연속 함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실수 가 존재한다고 하자 (립시츠 조건, 영어: Lipschitz condition).

피카르-린델뢰프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에 대하여, 위 초깃값 문제는 어떤 에 대하여 유일한 국소적 해 를 갖는다. 만약 일 경우, 임의의 에 대하여, 위 초깃값 문제는 유일한 대역적 해 를 갖는다.[1]:12, §3.2, Theorem 3.1

오스굿 조건

보다 일반적으로, 열린집합 연속 함수 가 주어졌고,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연속 함수 가 존재한다고 하자 (오스굿 조건, 영어: Osgood condition).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위 초깃값 문제는 어떤 에 대하여 유일한 국소적 해 를 갖는다.

립시츠 조건은 오스굿 조건에서 을 취하여 얻을 수 있다.

다른 정리와의 관계

피카르-린델뢰프 정리는 해가 존재하며 유일할 충분 조건을 제시한다. 페아노 존재 정리에 대하여 립시츠 조건 대신 연속성만을 가정하고, 해의 존재만을 결론내린다. 즉, 해가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카라테오도리 존재 정리(영어: Carathéodory's existence theorem)는 이보다 더 약한 조건을 가정하고, 약한 해(영어: weak solution)의 존재만을 결론내린다.

역사

샤를 에밀 피카르에른스트 레오나르드 린델뢰프(스웨덴어: Ernst Leonard Lindelöf)[2] 가 증명하였다.

참고 문헌

  1. O’Regan, Donal (1997). 《Existence Theory for Nonlinea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영어) 398. Dordrecht: Springer. doi:10.1007/978-94-017-1517-1. ISBN 978-90-481-4835-6. 
  2. Lindelöf, E. (1894). “Sur l'application de la méthode des approximations successives aux équations différentielles ordinaires du premier ordre”.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116: 454–45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