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멜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생물 분류
|이름=포멜로
| 이름 = 포멜로
| 화석_범위 =
|색=식물
| 그림 = JfNorzagaray1316MaticticLandscapefvf 24.JPG
|그림=Citrus grandis - Honey White.jpg
| 그림_설명 =
|계=[[식물|식물계]]
| 상태 =
|미분류_문=[[속씨식물|속씨식물군]]
| 상태_기준 =
|미분류_강=[[진정쌍떡잎식물|진정쌍떡잎식물군]]
| 상태_출처 =
|미분류_목=[[장미군]]
| = 식물
|목=[[무환자나무목]]
| 역 =
|과=[[운향과]](芸香科)
| = [[식물|식물계]]
|속=[[귤속]]
| 미분류_문 = [[속씨식물|속씨식물군]]
|종=C. maxima
| 미분류_강 = [[진정쌍떡잎식물|진정쌍떡잎식물군]]
|학명=Citrus maxima
| 미분류_목 = [[장미군]]
|학명_명명=Elmer Drew Merrill
| = [[무환자나무목]]
| = [[운향과]]
| = [[귤속]]
| 종 = '''포멜로'''
| 학명 = ''Citrus maxima''
| 학명_명명 = ([[요하네스 뷔르만|Burm.]]) [[엘머 드루 메릴|Merr.]]
| 지도 =
| 지도_설명 =
| 이명 = {{접이식 목록
| 제목 = 이명 목록<ref name="TPL">{{웹 인용 |제목=''Citrus maxima'' (Burm.) Merr. |url=http://www.theplantlist.org/tpl1.1/record/kew-2724206 |웹사이트=[[The Plant List]] |날짜=2012-03-23 |확인날짜=2019-07-11 |언어=en}}</ref><ref name="POWO">{{웹 인용 |제목=''Citrus maxima'' (Burm.) Merr. |url=http://www.plantsoftheworldonline.org/taxon/urn:lsid:ipni.org:names:30075266-2 |웹사이트=[[Plants of the World Online]] |출판사=[[Royal Botanic Gardens, Kew]] |확인날짜=2019-07-11 |언어=en}}</ref>
| 1 = ''Aurantium decumana'' <small>(L.) Mill.</small>
| 2 = ''Aurantium maximum'' <small>Burm.</small>
| 3 = ''Citrus'' × ''aurantium'' f. ''grandis'' <small>(L.) M.Hiroe</small>
| 4 = ''Citrus'' × ''aurantium'' var. ''decumana'' <small>L.</small>
| 5 = ''Citrus'' × ''aurantium'' var. ''grandis'' <small>L.</small>
| 6 = ''Citrus'' × ''aurantium'' subsp. ''decumana'' <small>(L.) Tanaka</small>
| 7 = ''Citrus costata'' <small>Raf.</small>
| 8 = ''Citrus decumana'' <small>(L.) L.</small>
| 9 = ''Citrus grandis'' <small>(L.) Osbeck</small>
| 10 = ''Citrus grandis'' f. ''buntan'' <small>Hayata</small>
| 11 = ''Citrus grandis'' var. ''oblonga'' <small>Hassk.</small>
| 12 = ''Citrus grandis'' var. ''sabon'' <small>(Siebold ex Hayata) Hayata</small>
| 13 = ''Citrus grandis'' var. ''sphaerocarpos'' <small>Hassk.</small>
| 14 = ''Citrus grandis'' var. ''yamabuki'' <small>(Yu.Tanaka) Karaya</small>
| 15 = ''Citrus obovoidea'' <small>Yu.Tanaka</small>
| 16 = ''Citrus pompelmos'' <small>Risso</small>
| 17 = ''Citrus pseudograndis'' <small>hort. ex Tan.</small>
| 18 = ''Citrus sabon'' <small>Siebold ex Hayata</small>
| 19 = ''Citrus truncata'' <small>Yu.Tanaka</small>
| 20 = ''Citrus yamabuki'' <small>Yu.Tanaka</small>
}}
}}
}}
'''포멜로'''(pomelo, <small>[[학명]]:</small> {{lang|la|''Citrus maxima''|키트루스 막시마}})는 [[운향과]]의 [[과일]] 나무([[상록식물|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이다.<ref>Merrill, Elmer Drew. An Interpretation of Rumphius's Herbarium Amboinense 296–297. 1917.</ref>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이다.<ref name="POWO" /><ref name="GRIN">{{웹 인용 |제목=''Citrus maxima'' (Burm.) Merr. |url=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taxonomydetail.aspx?id=10744 |웹사이트=[[GRIN]]-Global Web v 1.10.5.0 |날짜=1988-12-27 |확인날짜=2019-07-11 |언어=en}}</ref>


'''포멜로'''(Pomelo)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귤속]]의 [[나무]] 또는 그 [[열매]]다. 일반적으로 열매는 익었을 때 연한 녹색에서 황색을 띠고, 과육은 흰색(드물게는 분홍색이나 빨간색)이며 외피가 매우 두껍다. 직경이15~25cm 정도 되는 대형 감귤류이며 무게는 보통 1~2kg이다. 맛은 [[그레이프프루트]](자몽)와 비슷한데 쓴 맛이 없어 대체로 부드럽고 달다.<ref>[http://www.sfgate.com/cgi-bin/article.cgi?file=/c/a/2004/12/25/HOG7FAFSVC1.DTL&type=printable Growing the granddaddy of grapefruit], SFGate.com, December 25, 2004</ref> [[그레이프프루트]]는 포멜로와 오렌지의 이목교배로 만들어진다.
[[열매]] 익었을 때 연한 녹색에서 황색을 띠고, 과육은 흰색(드물게는 분홍색이나 빨간색)이며 외피가 매우 두껍다. 직경이15~25cm 정도 되는 대형 감귤류이며 무게는 보통 1~2kg이다. 맛은 [[그레이프프루트]]와 비슷한데 쓴 맛이 없어 대체로 부드럽고 달다.<ref>{{뉴스 인용 |성=Markoulakis |이름=Sophia |제목=Pomelo / Growing the granddaddy of grapefruit |url=https://www.sfgate.com/homeandgarden/article/Pomelo-Growing-the-granddaddy-of-grapefruit-2627497.php |날짜=2004-12-25 |확인날짜=2018-03-28 |뉴스=SFGate |언어=en}}</ref>


포멜로는 [[귤속]] 재배식물의 교잡에 [[감귤나무]](''C. reticulata'')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관여된 식물이다. 흔히 재배되는 [[감귤]] [[재배품종|품종]]들은 순수 [[감귤나무]](''C. reticulata'') 유전자 외에도 포멜로 유전자를 일부 포함한다. 그 외에도 [[오렌지]]로 불리는 [[당귤나무]](''C.'' × ''sinensis'', 스위트오렌지)나 [[쓴귤]](''Citrus'' × ''aurantium'', 비터오렌지), 그리고 [[그레이프프루트]](''Citrus'' × ''paradisi'') 등 수많은 귤속 재배식물이 포멜로와 감귤나무의 자연적 교잡 또는 인공적 교잡을 통해 만들어진다. 감귤나무와 포멜로의 교잡이 일어날 때 포멜로 DNA의 비율과 과일의 크기 사이에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산도([[신맛]])에 관여하는 포멜로 유전자가 교잡종 감귤의 맛을 결정하기도 한다.<ref name="Wu et al. 2018">{{저널 인용 |성1=Wu |이름1=Guohong Albert |성2=Terol |이름2=Javier |성3=Ibanez |이름3=Victoria |성4=López-García |이름4=Antonio |성5=Pérez-Román |이름5=Estela |성6=Borredá |이름6=Carles |성7=Domingo |이름7=Concha |성8=Tadeo |이름8=Francisco R. |성9=Carbonell-Caballero |이름9=Jose |성10=Alonso |이름10=Roberto |성11=Curk |이름11=Franck |성12=Du |이름12=Dongliang |성13=Ollitrault |이름13=Patrick |성14=Roose |이름14=Mikeal L. |성15=Dopazo |이름15=Joaquin |성16=Gmitter |이름16=Frederick G. |성17=Rokhsar |이름17=Daniel S. |성18=Talon |이름18=Manuel |저자표시=3 |제목=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저널=[[네이처|Nature]] |연도=2018 |권=554 |호=7692 |쪽=311–316 |doi=10.1038/nature25447 |pmid=29414943 |url=https://www.nature.com/articles/nature25447.pdf |언어=en}}</ref>
== 출처 ==
<references />


교잡되지 않은 순수 포멜로 재배종으로 [[당유자]], [[만백유]] 등이 있다.

== 사진 ==
<gallery>
Citrus maxima (Pampelmuse) 003.jpg|[[잎]]
Citrus maxima (Pampelmuse) 005.jpg|[[잎자루]]
Citrus maxima (Pampelmuse) 004.jpg|[[꽃]]
Starr 070313-5664 Citrus maxima.jpg|[[열매]]
Citrus grandis - Honey White.jpg|열매 단면
</gallery>

== 각주 ==
{{각주}}

{{생물 분류 식별자}}
{{토막글|무환자나무목}}

[[분류:게놈 해독이 완료된 식물]]
[[분류:귤속]]
[[분류:귤속]]
[[분류:열대 과일]]
[[분류:네팔의 식물상]]
[[분류:네팔의 식물상]]
[[분류:게놈 해독이 완료된 식물]]
[[분류:말레이시아의 식물상]]
[[분류:미얀마의 식물상]]
[[분류:베트남의 식물상]]
[[분류:부탄의 식물상]]
[[분류: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식물상]]
[[분류:열대 과일]]
[[분류:인도네시아의 식물상]]
[[분류:인도의 식물상]]
[[분류:인도의 식물상]]
[[분류:중국의 식물상]]
[[분류:캄보디아의 식물상]]
[[분류:태국의 식물상]]
[[분류:티베트의 식물상]]
[[분류:1917년 기재된 식물]]

2019년 7월 11일 (목) 19:55 판

포멜로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무환자나무목
과: 운향과
속: 귤속
종: 포멜로
학명
Citrus maxima
(Burm.) Merr.

학명이명
이명 목록[1][2]
  • Aurantium decumana (L.) Mill.
  • Aurantium maximum Burm.
  • Citrus × aurantium f. grandis (L.) M.Hiroe
  • Citrus × aurantium var. decumana L.
  • Citrus × aurantium var. grandis L.
  • Citrus × aurantium subsp. decumana (L.) Tanaka
  • Citrus costata Raf.
  • Citrus decumana (L.) L.
  • Citrus grandis (L.) Osbeck
  • Citrus grandis f. buntan Hayata
  • Citrus grandis var. oblonga Hassk.
  • Citrus grandis var. sabon (Siebold ex Hayata) Hayata
  • Citrus grandis var. sphaerocarpos Hassk.
  • Citrus grandis var. yamabuki (Yu.Tanaka) Karaya
  • Citrus obovoidea Yu.Tanaka
  • Citrus pompelmos Risso
  • Citrus pseudograndis hort. ex Tan.
  • Citrus sabon Siebold ex Hayata
  • Citrus truncata Yu.Tanaka
  • Citrus yamabuki Yu.Tanaka

포멜로(pomelo, 학명: Citrus maxima 키트루스 막시마[*])는 운향과과일 나무(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이다.[3]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이다.[2][4]

열매는 익었을 때 연한 녹색에서 황색을 띠고, 과육은 흰색(드물게는 분홍색이나 빨간색)이며 외피가 매우 두껍다. 직경이15~25cm 정도 되는 대형 감귤류이며 무게는 보통 1~2kg이다. 맛은 그레이프프루트와 비슷한데 쓴 맛이 없어 대체로 부드럽고 달다.[5]

포멜로는 귤속 재배식물의 교잡에 감귤나무(C. reticulata)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관여된 식물이다. 흔히 재배되는 감귤 품종들은 순수 감귤나무(C. reticulata) 유전자 외에도 포멜로 유전자를 일부 포함한다. 그 외에도 오렌지로 불리는 당귤나무(C. × sinensis, 스위트오렌지)나 쓴귤(Citrus × aurantium, 비터오렌지), 그리고 그레이프프루트(Citrus × paradisi) 등 수많은 귤속 재배식물이 포멜로와 감귤나무의 자연적 교잡 또는 인공적 교잡을 통해 만들어진다. 감귤나무와 포멜로의 교잡이 일어날 때 포멜로 DNA의 비율과 과일의 크기 사이에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산도(신맛)에 관여하는 포멜로 유전자가 교잡종 감귤의 맛을 결정하기도 한다.[6]

교잡되지 않은 순수 포멜로 재배종으로 당유자, 만백유 등이 있다.

사진

각주

  1. Citrus maxima (Burm.) Merr.”.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9년 7월 11일에 확인함. 
  2. Citrus maxima (Burm.) Merr.”. 《Plants of the World Online》 (영어).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7월 11일에 확인함. 
  3. Merrill, Elmer Drew. An Interpretation of Rumphius's Herbarium Amboinense 296–297. 1917.
  4. Citrus maxima (Burm.) Merr.”. 《GRIN-Global Web v 1.10.5.0》 (영어). 1988년 12월 27일. 2019년 7월 11일에 확인함. 
  5. Markoulakis, Sophia (2004년 12월 25일). “Pomelo / Growing the granddaddy of grapefruit”. 《SFGate》 (영어). 2018년 3월 28일에 확인함. 
  6. Wu, Guohong Albert; Terol, Javier; Ibanez, Victoria; 외. (2018). “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PDF). 《Nature》 (영어) 554 (7692): 311–316. doi:10.1038/nature25447. PMID 29414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