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생물 분류
|이름=귤속
| 이름 = 금귤
| 화석_범위 =
|색=식물
|그림=CDC kumquat3.jpg
| 그림 = Citrus japonica.jpg
|그림_설명=금귤 열매
| 그림_설명 =
| 상태 =
|계=[[식물|식물계]]
| 상태_기준 =
|미분류_문=[[속씨식물|속씨식물군]]
| 상태_출처 =
|미분류_강=[[진정쌍떡잎식물|진정쌍떡잎식물군]]
| = 식물
|미분류_목=[[장미군]]
| 역 =
|목=[[무환자나무목]]
| = [[식물|식물계]]
|과=[[운향과]]
| 미분류_문 = [[속씨식물|속씨식물군]]
|속=[[귤속]]
| 미분류_강 = [[진정쌍떡잎식물|진정쌍떡잎식물군]]
|종='''금귤'''
| 미분류_목 = [[장미군]]
|학명=''Citrus japonica''
| = [[무환자나무목]]
|학명_명명=Thunb.
| = [[운향과]]
|이명=
| = [[귤속]]
* ''Fortunella crassifolia''
| = '''금귤'''
* ''Fortunella hindsii''
* ''Fortunella japonica''
| 학명 = ''Citrus japonica''
| 학명_명명 = [[칼 페테르 툰베리|Thunb.]]
* ''Fortunella margarita''
| 지도 =
| 지도_설명 =
| 이명 = {{접이식 목록
| 제목 = 이명 목록<ref name="TPL">{{웹 인용 |제목=''Citrus japonica'' Thunb. |url=http://www.theplantlist.org/tpl1.1/record/kew-2724150 |웹사이트=[[The Plant List]] |날짜=2012-03-23 |확인날짜=2019-07-06 |언어=en}}</ref><ref name="POWO">{{웹 인용 |제목=''Citrus japonica'' Thunb. |url=http://www.plantsoftheworldonline.org/taxon/urn:lsid:ipni.org:names:771939-1 |웹사이트=[[Plants of the World Online]] |출판사=[[Royal Botanic Gardens, Kew]] |확인날짜=2019-07-06 |언어=en}}</ref>
| 1 = ''Atalantia hindsii'' <small>(Champ. ex Benth.) Oliv.</small>
| 2 = × ''Citrofortunella madurensis'' <small>(Lour.) D.Rivera, Obón, S.Ríos, Selma, F.Méndez, Verde & F.Cano</small>
| 3 = ''Citrus'' × ''aurantium'' var. ''globifera'' <small>Engl.</small>
| 4 = ''Citrus'' × ''aurantium'' var. ''japonica'' <small>(Thunb.) Hook.f.</small>
| 5 = ''Citrus'' × ''aurantium'' var. ''olivicormis'' <small>Risso ex Loisel.</small>
| 6 = ''Citrus'' × ''aurantium'' subsp. ''japonica'' <small>(Thunb.) Engl.</small>
| 7 = ''Citrus erythrocarpa'' <small>Hayata</small>
| 8 = ''Citrus hindsii'' <small>(Champ. ex Benth.) Govaerts</small>
| 9 = ''Citrus inermis'' <small>Roxb.</small>
| 10 = ''Citrus japonica'' var. ''fructu-elliptica'' <small>Siebold & Zucc.</small>
| 11 = ''Citrus japonica'' var. ''madurensis'' <small>(Lour.) Guillaumin</small>
| 12 = ''Citrus japonica'' var. ''margarita'' <small>(Lour.) Guillaumin</small>
| 13 = ''Citrus kinokuni'' <small>Yu.Tanaka</small>
| 14 = ''Citrus madurensis'' <small>Lour.</small>
| 15 = ''Citrus margarita'' <small>Lour.</small>
| 16 = ''Citrus microcarpa'' <small>Bunge</small>
| 17 = ''Citrus'' × ''nobilis'' var. ''inermis'' <small>(Roxb.) Sagot</small>
| 18 = ''Citrus'' × ''nobilis'' var. ''microcarpa'' <small>Hassk.</small>
| 19 = ''Fortunella bawangica'' <small>C.C.Huang</small>
| 20 = ''Fortunella chintou'' <small>(Swingle) C.C.Huang</small>
| 21 = ''Fortunella crassifolia'' <small>Swingle</small>
| 22 = ''Fortunella hindsii'' <small>(Champ. ex Benth.) Swingle</small>
| 23 = ''Fortunella hindsii'' var. ''chintou'' <small>Swingle</small>
| 24 = ''Fortunella japonica'' <small>(Thunb.) Swingle</small>
| 25 = ''Fortunella margarita'' <small>(Lour.) Swingle</small>
| 26 = ''Fortunella obovata'' <small>Tanaka</small>
| 27 = ''Fortunella venosa'' <small>(Champ. ex Benth.) C.C.Huang</small>
| 28 = ''Sclerostylis hindsii'' <small>Champ. ex Benth.</small>
| 29 = ''Sclerostylis venosa'' <small>Champ. ex Benth.</small>
}}
}}
}}
'''금귤'''(金橘, <small>[[학명]]:</small> {{lang|la|''Citrus japonica''|키트루스 야포니카}})은 [[운향과]]의 [[과일]] 나무([[상록식물|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이다.<ref>Thunberg, Carl Peter. Nova Acta Regiae Societatis Scientiarum Upsaliensis, ser. 2 3: 199, 208. 1780.</ref> '''금감'''(金柑), '''동귤'''(童橘), '''알귤'''(-橘) 등으로도 불리며, [[일본어]] "킨칸({{lang|ja|金柑}})"에서 나온 말인 '''낑깡'''으도 불린다. 과거에는 '''금귤속'''(''Fortunella'' <small>Swingle</small>)으로 따로 분류하기도 했으나,<ref>{{저널 인용 |성=Swingle |이름=Walter Tennyson |제목=A new genus, ''Fortunella'', comprising four species of kumquat oranges |저널=Journal of the Washington Academy of Sciences |연도=1915 |권=5 |호=5 |쪽=165–176 |url=https://www.jstor.org/stable/24520657 |언어=en}}</ref><ref>{{저널 인용 |성1=Yasuda |이름1=Kiichi |성2=Yahata |이름2=Masaki |성3=Kunitake |이름3=Hisato |제목=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Kumquats (''Fortunella'' spp.) Inferred from CMA Karyotype Composition |저널=The Horticulture Journal |연도=2015 |권=85 |호=2 |쪽=115-121 |doi=10.2503/hortj.MI-078 |url=https://www.jstage.jst.go.jp/article/hortj/85/2/85_MI-078/_pdf/-char/en |언어=en}}</ref> 후에 [[계통학|계통학적]] 연구에 따라 [[귤속]]으로 재분류되었다.<ref>{{저널 인용 |성1=Wu |이름1=Guohong Albert |성2=Terol |이름2=Javier |성3=Ibanez |이름3=Victoria |성4=López-García |이름4=Antonio |성5=Pérez-Román |이름5=Estela |성6=Borredá |이름6=Carles |성7=Domingo |이름7=Concha |성8=Tadeo |이름8=Francisco R. |성9=Carbonell-Caballero |이름9=Jose |성10=Alonso |이름10=Roberto |성11=Curk |이름11=Franck |성12=Du |이름12=Dongliang |성13=Ollitrault |이름13=Patrick |성14=Roose |이름14=Mikeal L. |성15=Dopazo |이름15=Joaquin |성16=Gmitter |이름16=Frederick G. |성17=Rokhsar |이름17=Daniel S. |성18=Talon |이름18=Manuel |제목=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저널=[[네이처|Nature]] |연도=2018 |권=554 |호=7692 |쪽=311–316 |doi=10.1038/nature25447 |pmid=29414943 |url=https://www.nature.com/articles/nature25447 |언어=en}}</ref> 원산지는 [[중국]] 남부 및 [[하이난섬]]이다.<ref name="POWO" /><ref name="GRIN">{{웹 인용 |제목=''Citrus japonica'' Thunb. |url=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taxonomydetail.aspx?id=237 |웹사이트=[[GRIN]]-Global Web v 1.10.4.0 |날짜=2010-02-03 |확인날짜=2019-07-06 |언어=en}}</ref>


보통 키는 2.5~4.5 m 가량이고, 짙은 색 잎사귀가 나며, 빽빽한 가지에 가시가 있는 것도 있다. 길이 3-5 cm에 너비 2-4 cm인 작은 타원형의 열매가 열린다. 색깔은 노란색에서 붉은색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열매는 보통 통째로 먹는데, 껍질은 달고 안은 톡 쏘는 맛이 있다. 내용물이 너무 신 열매는 씹다가 버리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금귤을 소금에 절여서 목이 아플 때 먹기도 한다.
'''금귤(Citrus japonica)'''(金橘)은 '''귤속'''에 속하는 [[운향과]]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그 열매의 총칭이다. 흔히 일본식 한국말인 '''낑깡'''이라고도 많이 불린다.

보통 키는 2.5~4.5 m 가량이고, 짙은 색 잎사귀가 나며, 빽빽한 가지에 가시가 있는 것도 있다. 길이 3-5 cm에 너비 2-4 cm인 작은 타원형의 열매가 열린다. 색깔은 노란색에서 붉은색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 종류 ==
중국 원산이며, 동아시아에서 재배한다.
* 둥근금귤/둥근금감 ('japonica')
* 장실금귤/장실금감 ('margarita')
* 영파금귤/영파금감 ('crassifolia')
* 홍콩금귤/홍콩금감 ('hindsii')


== 사진 ==
열매는 보통 통째로 먹는데, 껍질은 달고 안은 톡 쏘는 맛이 있다. 내용물이 너무 신 열매는 씹다가 버리기도 한다.
<gallery>
Fortunella japonica 1zz.jpg|[[가지 (식물학)|가지]]
Citrus japonica in Jardin des Plantes de Toulouse 03.jpg|[[잎]]
Hoa quất.jpg|[[꽃]]
Cumquat al parc Central de València.jpg|[[열매]]
Kumquat.jpg|열매 단면
</gallery>


== 각주 ==
중국에서는 금귤을 소금에 절여서 목이 아플 때 먹기도 한다.
{{각주}}
[[파일:금귤.JPG|thumb|left|240px|금귤]]


{{생물 분류 식별자}}
{{위키공용분류|Fortunella}}
{{토막글|무환자나무목}}


{{전거 통제}}
[[분류:운향과]]
[[분류:과일]]
[[분류:과일]]
[[분류:귤속]]
[[분류:귤속]]
[[분류:중국의 고유종 식물]]
[[분류:하이난성의 식물상]]
[[분류:1780년 기재된 식물]]

2019년 7월 6일 (토) 09:01 판

금귤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무환자나무목
과: 운향과
속: 귤속
종: 금귤
학명
Citrus japonica
Thunb.

학명이명
이명 목록[1][2]
  • Atalantia hindsii (Champ. ex Benth.) Oliv.
  • × Citrofortunella madurensis (Lour.) D.Rivera, Obón, S.Ríos, Selma, F.Méndez, Verde & F.Cano
  • Citrus × aurantium var. globifera Engl.
  • Citrus × aurantium var. japonica (Thunb.) Hook.f.
  • Citrus × aurantium var. olivicormis Risso ex Loisel.
  • Citrus × aurantium subsp. japonica (Thunb.) Engl.
  • Citrus erythrocarpa Hayata
  • Citrus hindsii (Champ. ex Benth.) Govaerts
  • Citrus inermis Roxb.
  • Citrus japonica var. fructu-elliptica Siebold & Zucc.
  • Citrus japonica var. madurensis (Lour.) Guillaumin
  • Citrus japonica var. margarita (Lour.) Guillaumin
  • Citrus kinokuni Yu.Tanaka
  • Citrus madurensis Lour.
  • Citrus margarita Lour.
  • Citrus microcarpa Bunge
  • Citrus × nobilis var. inermis (Roxb.) Sagot
  • Citrus × nobilis var. microcarpa Hassk.
  • Fortunella bawangica C.C.Huang
  • Fortunella chintou (Swingle) C.C.Huang
  • Fortunella crassifolia Swingle
  • Fortunella hindsii (Champ. ex Benth.) Swingle
  • Fortunella hindsii var. chintou Swingle
  • Fortunella japonica (Thunb.) Swingle
  • Fortunella margarita (Lour.) Swingle
  • Fortunella obovata Tanaka
  • Fortunella venosa (Champ. ex Benth.) C.C.Huang
  • Sclerostylis hindsii Champ. ex Benth.
  • Sclerostylis venosa Champ. ex Benth.

금귤(金橘, 학명: Citrus japonica 키트루스 야포니카[*])은 운향과과일 나무(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이다.[3] 금감(金柑), 동귤(童橘), 알귤(-橘) 등으로도 불리며, 일본어 "킨칸(金柑)"에서 나온 말인 낑깡으도 불린다. 과거에는 금귤속(Fortunella Swingle)으로 따로 분류하기도 했으나,[4][5] 후에 계통학적 연구에 따라 귤속으로 재분류되었다.[6] 원산지는 중국 남부 및 하이난섬이다.[2][7]

보통 키는 2.5~4.5 m 가량이고, 짙은 색 잎사귀가 나며, 빽빽한 가지에 가시가 있는 것도 있다. 길이 3-5 cm에 너비 2-4 cm인 작은 타원형의 열매가 열린다. 색깔은 노란색에서 붉은색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열매는 보통 통째로 먹는데, 껍질은 달고 안은 톡 쏘는 맛이 있다. 내용물이 너무 신 열매는 씹다가 버리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금귤을 소금에 절여서 목이 아플 때 먹기도 한다.

종류

  • 둥근금귤/둥근금감 ('japonica')
  • 장실금귤/장실금감 ('margarita')
  • 영파금귤/영파금감 ('crassifolia')
  • 홍콩금귤/홍콩금감 ('hindsii')

사진

각주

  1. Citrus japonica Thunb.”.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2. Citrus japonica Thunb.”. 《Plants of the World Online》 (영어).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3. Thunberg, Carl Peter. Nova Acta Regiae Societatis Scientiarum Upsaliensis, ser. 2 3: 199, 208. 1780.
  4. Swingle, Walter Tennyson (1915). “A new genus, Fortunella, comprising four species of kumquat oranges”. 《Journal of the Washington Academy of Sciences》 (영어) 5 (5): 165–176. 
  5. Yasuda, Kiichi; Yahata, Masaki; Kunitake, Hisato (2015).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Kumquats (Fortunella spp.) Inferred from CMA Karyotype Composition”. 《The Horticulture Journal》 (영어) 85 (2): 115-121. doi:10.2503/hortj.MI-078. 
  6. Wu, Guohong Albert; Terol, Javier; Ibanez, Victoria; López-García, Antonio; Pérez-Román, Estela; Borredá, Carles; Domingo, Concha; Tadeo, Francisco R.; Carbonell-Caballero, Jose; Alonso, Roberto; Curk, Franck; Du, Dongliang; Ollitrault, Patrick; Roose, Mikeal L.; Dopazo, Joaquin; Gmitter, Frederick G.; Rokhsar, Daniel S.; Talon, Manuel (2018). “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Nature》 (영어) 554 (7692): 311–316. doi:10.1038/nature25447. PMID 29414943. 
  7. Citrus japonica Thunb.”.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2010년 2월 3일.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