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자궁내막암: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8번째 줄: 18번째 줄:
== 증상 ==
== 증상 ==
[[폐경기]] 이후의 여성 중 [[질 출혈]]이 전체 자궁내막암 사례 중 90%에 해당한다.<ref name=Cochrane0412>{{저널 인용|last1=Kong|first1=A|last2=Johnson|first2=N|last3=Kitchener|first3=HC|last4=Lawrie|first4=TA|title=Adjuvant radiotherapy for stage I endometrial cancer.|journal=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date=18 April 2012|volume=4|pages=CD003916|pmid=22513918|doi=10.1002/14651858.CD003916.pub4}}</ref><ref name=CurrentSurgery>{{서적 인용 |last1=Reynolds |first1=RK |last2=Loar III |first2=PV |year=2010 |chapter=Gynecology |editor-last=Doherty |editor-first=GM |title=Current Diagnosis & Treatment: Surgery |edition=13th |publisher=[[McGraw-Hill]] |isbn=978-0-07-163515-8}}</ref>
[[폐경기]] 이후의 여성 중 [[질 출혈]]이 전체 자궁내막암 사례 중 90%에 해당한다.<ref name=Cochrane0412>{{저널 인용|last1=Kong|first1=A|last2=Johnson|first2=N|last3=Kitchener|first3=HC|last4=Lawrie|first4=TA|title=Adjuvant radiotherapy for stage I endometrial cancer.|journal=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date=18 April 2012|volume=4|pages=CD003916|pmid=22513918|doi=10.1002/14651858.CD003916.pub4}}</ref><ref name=CurrentSurgery>{{서적 인용 |last1=Reynolds |first1=RK |last2=Loar III |first2=PV |year=2010 |chapter=Gynecology |editor-last=Doherty |editor-first=GM |title=Current Diagnosis & Treatment: Surgery |edition=13th |publisher=[[McGraw-Hill]] |isbn=978-0-07-163515-8}}</ref>

== 위험 요인 ==
자궁내막암의 위험 요인에는 [[비만]], [[당뇨병]], [[유방암]], [[타목시펜]]의 복용, 임신의 무경험, 늦게 찾아온 폐경기, 높은 [[에스트로겐]] 수치, 노화가 있다.<ref name=bmj>{{저널 인용 |last1=Saso |first1=S |last2=Chatterjee |first2=J |last3=Georgiou |first3=E |last4=Ditri |first4=AM |last5=Smith |first5=JR |last6=Ghaem-Maghami |first6=S |year=2011 |title=Endometrial cancer |journal=BMJ |volume=343 |issue= |pages=d3954–d3954 |doi=10.1136/bmj.d3954 |pmid=21734165}}</ref><ref name="Cochrane05142">{{저널 인용|last1=Galaal|first1=K|last2=Al Moundhri|first2=M|last3=Bryant|first3=A|last4=Lopes|first4=AD|last5=Lawrie|first5=TA|title=Adjuvant chemotherapy for advanced endometrial cancer.|journal=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date=15 May 2014|volume=5|pages=CD010681|pmid=24832785|doi=10.1002/14651858.CD010681.pub2}}</ref>


== 진단 ==
== 진단 ==

2017년 4월 22일 (토) 14:41 판

자궁내막암
자궁내막암의 위치와 발달.
진료과종양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은 자궁내막에서 발생하는 이다.[1]

증상

폐경기 이후의 여성 중 질 출혈이 전체 자궁내막암 사례 중 90%에 해당한다.[2][3]

위험 요인

자궁내막암의 위험 요인에는 비만, 당뇨병, 유방암, 타목시펜의 복용, 임신의 무경험, 늦게 찾아온 폐경기, 높은 에스트로겐 수치, 노화가 있다.[4][5]

진단

자궁내막암의 진단은 건강 진단 및 자궁 조직의 절제(D&C)를 통해 수행된다. 그 뒤 이 조직은 암의 진단을 위해 조직학적으로 검사된다. 암이 발견되면 의학 영상을 수행하여 암이 확산되고 있는지, 조직을 침범했는지를 확인한다.

병기

자궁내막암은 외과적으로 FIGO 암병기결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병기된다. 2009 FIGO 병기 시스템은 다음을 따른다:[6]

병기 설명
IA 종양이 자궁 내에서 제한적이고, 자궁내막 침범이 절반 이하이다
IB 종양이 자궁 내에서 제한적이고, 자궁내막 침범이 절반을 초과한다
II 종양이 자궁과 자궁경부 스트로마를 동반한다
IIIA 종양이 장막이나 자궁부속기를 침범한다
IIIB 질 및 자궁주위조직의 수반
IIIC1 골반 림프절의 수반
IIIC2 대동맥주위 림프절의 수반. 골반 결절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IVA 종양이 방광 점막 및 창자 점막을 침범한다
IVB 복부 전이 및 서혜림프절을 포함한 먼 거리의 전이

예후

5년 상대 생존률 (미국 FIGO 병기):[7]
병기 5년 생존률
I-A 88%
I-B 75%
II 69%
III-A 58%
III-B 50%
III-C 47%
IV-A 17%
IV-B 15%

생존률

적절한 치료를 수행했을 때의 자궁내막염의 5년 생존률은 80%이다.[8] 70% 이상의 대부분의 여성은 FIGO 병기 I의 암에 해당하며 가장 좋은 예후를 보인다. 병기 III, 특히 병기 IV의 암은 더 악화된 예후를 보이지만 이들은 상대적으로 희귀한 편으로, 전체 사례 중 13% 정도에 불과하다.

재발률

초기 병기의 자궁매악암의 재발률은 일차적 치료를 하였는지, 보조 요법을 하였는지에 따라 3~17%에 이른다.[8] 대부분의 재발률(75~80%)은 골반 밖에서 발생하며 대부분은 치료한지 2~3년이 지나 재발하는데, 2년이 지난 뒤에는 64%, 3년이 지난 뒤에는 87%에 이른다.[9]

역학

2014년 기준으로, 해마다 전 세계 약 320,000명의 여성이 자궁내막암으로 진단을 받으며 76,000명이 사망하는데, 이는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암들 가운데 6번째에 해당한다.[10]

역사와 문화

자궁내막암은 암이 주기적임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증상에 대한 인지가 낮으며 나중에 진단을 받은 다음 생존 확률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11]

각주

  1. “General Information About Endometrial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년 4월 22일. 2014년 9월 3일에 확인함. 
  2. Kong, A; Johnson, N; Kitchener, HC; Lawrie, TA (2012년 4월 18일). “Adjuvant radiotherapy for stage I endometrial cancer.”.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 CD003916. doi:10.1002/14651858.CD003916.pub4. PMID 22513918. 
  3. Reynolds, RK; Loar III, PV (2010). 〈Gynecology〉. Doherty, GM. 《Current Diagnosis & Treatment: Surgery》 13판. McGraw-Hill. ISBN 978-0-07-163515-8. 
  4. Saso, S; Chatterjee, J; Georgiou, E; Ditri, AM; Smith, JR; Ghaem-Maghami, S (2011). “Endometrial cancer”. 《BMJ》 343: d3954–d3954. doi:10.1136/bmj.d3954. PMID 21734165. 
  5. Galaal, K; Al Moundhri, M; Bryant, A; Lopes, AD; Lawrie, TA (2014년 5월 15일). “Adjuvant chemotherapy for advanced endometrial cancer.”.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5: CD010681. doi:10.1002/14651858.CD010681.pub2. PMID 24832785. 
  6. “Stage Information for Endometrial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년 4월 23일에 확인함. 
  7. “Survival by stage of endometrial cancer”. American Cancer Society. 2014년 3월 2일. 2014년 6월 10일에 확인함. 
  8. Nicolaije, KA; Ezendam, NP; Vos, MC; Boll, D; Pijnenborg, JM; Kruitwagen, RF; Lybeert, ML; van de Poll-Franse, LV (2013). “Follow-up practice in endometrial cancer and the association with patient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 study from the population-based PROFILES registry”. 《Gynecologic Oncology》 129 (2): 324–331. doi:10.1016/j.ygyno.2013.02.018. PMID 23435365. 
  9. Kurra, V; Krajewski, KM; Jagannathan, J; Giardino, A; Berlin, S; Ramaiya, N (2013). “Typical and atypical metastatic sites of recurrent endometrial carcinoma”. 《Cancer Imaging》 13: 113–22. doi:10.1102/1470-7330.2013.0011. PMC 3613792. PMID 23545091. 
  10.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14).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Chapter 5.12. ISBN 978-92-832-0429-9. 
  11. Carlisle, Daloni (2014년 9월 21일). “Womb cancer: the most common diagnosis you've never heard of”. The Guardian. 2014년 9월 29일에 확인함.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