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저마그네슘혈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7번째 줄: 27번째 줄:


=== 투약 ===
=== 투약 ===
* 고리 및 티아지드 이뇨제 사용 (저마그네슘혈증의 가장 흔한 병인)<ref name="homeo">{{저널 인용 |vauthors=Whang R, Hampton EM, Whang DD |title=Magnesium homeostasis and clinical disorders of magnesium deficiency |journal=Ann Pharmacother |volume=28 |issue=2 |pages=220–6 |year=1994 |pmid=8173141 |doi= 10.1177/106002809402800213 }}</ref>
{{빈 문단}}
* 항생제(즉,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암포테리신 B]], [[펜타미딘]], [[겐타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비오마이신]])는 [[헨레 고리]]에서의 흡수를 차단한다. 이 항생제를 복용하는 환자들 가운데 30%가 저마그네슘혈증 환자이다.
* [[오메프라졸]]과 같은 [[양성자펌프억제제]]의 장기간 사용<ref>http://www.fda.gov/Safety/MedWatch/SafetyInformation/SafetyAlertsforHumanMedicalProducts/ucm245275.htm</ref><ref>{{저널 인용|last=Sheen|first=E|author2=Triadafilopoulos, G|title=Adverse effects of long-term proton pump inhibitor therapy.|journal=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date=April 2011|volume=56|issue=4|pages=931–50|pmid=21365243|doi=10.1007/s10620-010-1560-3}}</ref>

=== 유전적 병인 ===
=== 유전적 병인 ===
{{빈 문단}}
{{빈 문단}}

2017년 3월 4일 (토) 12:15 판

저마그네슘혈증
마그네슘
진료과내분비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저마그네슘혈증(低-血症, hypomagnesemia, hypomagnesaemia)은 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낮은 전해질 이상이다.[1] 정상 마그네슘 농도는 저마그네슘혈증을 정의하는 1.7 mg/dL (0.7 mmol/L) 보다 낮은 1.7–2.2 mg/dL 사이이다.

증상

마그네슘 결핍은 피곤함, 전반적인 약화, 근경련, 부정맥, 미진, 저림, 심계항진, 저칼륨혈증,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동반한 신경계통의 과민성 증가를 유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저칼슘혈증, 연골석회화증, 경직, 테타니, 발작, 기저핵 석회화, 또 극심하고 장기적인 경우 혼수상태, 지적 장애,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2] 저마그네슘혈증과 관련되는 것으로 제안되고 있는 그 밖의 증상들로는 아테토시스, 저킹(jerking), 안구진탕증, 신근족저반사, 혼란, 방향감각상실, 환각, 우울증, 고혈압, 빠른맥이 있다.

병인

마그네슘 결핍은 입원 환자들에게 흔하다. 고마그네슘혈증(마그네슘의 수준이 높은 증상)은 거의 대부분 의료에 의해 발생한다. 병원에 입원한 모든 환자들 가운데 최대 12%, 그리고 집중치료실(ICU) 환자들의 60~65% 정도가 저마그네슘혈증을 앓고 있다.[3][4]

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낮다는 것은 식사에 마그네슘이 충분치 않거나 창자가 충분한 마그네슘을 흡수하지 못한다거나 콩팥이 너무 많은 마그네슘을 분비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결핍은 다음의 조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약물

투약

유전적 병인

대사 이상

기타

치료

저마그네슘혈증의 치료는 결핍 정도와 임상적 영향에 따라 다르다. 경미한 증상의 환자에게는 구강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극심한 임상적 영향을 겪는 환자에게는 정맥 주사가 권장된다.[9]

같이 보기

각주

  1. "hypomagnesemia" - 돌란드 의학사전
  2. Viering, Daan H. H. M.; Baaij, Jeroen H. F. de; Walsh, Stephen B.; Kleta, Robert; Bockenhauer, Detlef (2016년 5월 27일). “Genetic causes of hypomagnesemia, a clinical overview”. 《Pediatric Nephrology》 (영어): 1–13. doi:10.1007/s00467-016-3416-3. ISSN 0931-041X. 
  3. http://jasn.asnjournals.org/content/10/7/1616.full
  4. ZALMAN S. AGUS (1999). “Hypomagnesemia”.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10 (7): 1616. 
  5. Whang R, Hampton EM, Whang DD (1994). “Magnesium homeostasis and clinical disorders of magnesium deficiency”. 《Ann Pharmacother》 28 (2): 220–6. doi:10.1177/106002809402800213. PMID 8173141. 
  6. http://www.fda.gov/Safety/MedWatch/SafetyInformation/SafetyAlertsforHumanMedicalProducts/ucm245275.htm
  7. Sheen, E; Triadafilopoulos, G (April 2011). “Adverse effects of long-term proton pump inhibitor therapy.”.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56 (4): 931–50. doi:10.1007/s10620-010-1560-3. PMID 21365243. 
  8. Sihler, KC; Napolitano, LM (January 2010). “Complications of massive transfusion.”. 《Chest》 137 (1): 209–20. doi:10.1378/chest.09-0252. PMID 20051407. 
  9. Durlach J, Durlach V, Bac P, Bara M, Guiet-Bara A (1994). “Magnesium and therapeutics”. 《Magnes Res》 7 (3–4): 313–28. PMID 7786695.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