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메모리 컨트롤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d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인터위키 링크 9 개가 위키데이터d:q1175867 항목으로 옮겨짐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는 컴퓨터 [[주기판]]이나 중앙 처리 장치의 다이 위에 있는 칩이며, [[램|메모리]]에서 오고가는 자료를 관리하는 데 쓰인다. [[대한민국]]의 일부 하드웨어 관련 웹사이트나 환경에서는 '멤콘'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는 컴퓨터 [[주기판]]이나 중앙 처리 장치의 다이 위에 있는 칩이며, [[램|메모리]]에서 오고가는 자료를 관리하는 데 쓰인다. [[대한민국]]의 일부 하드웨어 관련 웹사이트나 환경에서는 '멤콘'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가끔 '''메모리 칩 컨트롤러'''(memory chip controller, MCC)<ref>Comptia A+ Certification Exam Guide, Seventh Edition, by Mike Meyers, in the glossary, bottom of page 1278: "Chip that handles memory requests from the CPU."</ref>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 장치'''(memory controller unit, MCU)로도 불린다.<ref>{{웹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PJ49xcoRb1QC&pg=PA100&lpg=PA100&dq=%22memory+controller+unit%22&source=bl&ots=qkyL88MoE6&sig=C_DgghfJu6NzcYpq0EJdtJnYw7Q&hl=en&sa=X&ei=BH7UVIfgLYryUqGzg9gF&redir_esc=y#v=onepage&q=%22memory%20controller%20unit%22&f=false|title=Maximizing Performance and Scalability with IBM WebSphere|work=google.com|accessdate=6 February 2015}}</ref>


[[인텔]] 프로세서 기반의 컴퓨터 대부분은 자사 메인보드의 [[노스브리지]]에 추가되어 있지만 [[AMD]]의 [[애슬론 64]], [[옵테론]], [[IBM]]사의 [[POWER5]], 그리고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사의 [[UltraSPARC T1]] 프로세서와 같은 현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메모리 레이턴시]]를 줄이기 위해 CPU에 메모리 컨트롤러를 장착하고 있다. CPU에 메모리 컨트롤러를 장착할 경우 시스템 성능을 잠재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지만 프로세서가 특정한 종류의 메모리만 인식할 수 있게 제한을 받을뿐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기술을 지원하는 데 중앙 처리 장치의 칩을 다시 설계해야 하는 부담을 안겨 줄 수 있다. [[DDR2 SDRAM]]이 도입되었을 때, AMD는 새로운 애슬론 64 CPU를 출시하였다. 이 CPU 모델들은 DDR2 컨트롤러가 장착되어 있으며 [[소켓 AM2]]로 알려진 다른 물리 소켓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종류의 램을 위해 설계된 메인보드에만 장착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가 다이 위에 없으면, 업데이트된 노스브리지와 함께 똑같은 CPU를 새로운 메인보드에 설치할 수 있다.
[[인텔]] 프로세서 기반의 컴퓨터 대부분은 자사 메인보드의 [[노스브리지]]에 추가되어 있지만 [[AMD]]의 [[애슬론 64]], [[옵테론]], [[IBM]]사의 [[POWER5]], 그리고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사의 [[UltraSPARC T1]] 프로세서와 같은 현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메모리 레이턴시]]를 줄이기 위해 CPU에 메모리 컨트롤러를 장착하고 있다. CPU에 메모리 컨트롤러를 장착할 경우 시스템 성능을 잠재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지만 프로세서가 특정한 종류의 메모리만 인식할 수 있게 제한을 받을뿐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기술을 지원하는 데 중앙 처리 장치의 칩을 다시 설계해야 하는 부담을 안겨 줄 수 있다. [[DDR2 SDRAM]]이 도입되었을 때, AMD는 새로운 애슬론 64 CPU를 출시하였다. 이 CPU 모델들은 DDR2 컨트롤러가 장착되어 있으며 [[소켓 AM2]]로 알려진 다른 물리 소켓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종류의 램을 위해 설계된 메인보드에만 장착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가 다이 위에 없으면, 업데이트된 노스브리지와 함께 똑같은 CPU를 새로운 메인보드에 설치할 수 있다.

== 각주 ==
{{각주}}


== 바깥 참조 ==
== 바깥 참조 ==

2017년 1월 30일 (월) 10:57 판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는 컴퓨터 주기판이나 중앙 처리 장치의 다이 위에 있는 칩이며, 메모리에서 오고가는 자료를 관리하는 데 쓰인다. 대한민국의 일부 하드웨어 관련 웹사이트나 환경에서는 '멤콘'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가끔 메모리 칩 컨트롤러(memory chip controller, MCC)[1]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 장치(memory controller unit, MCU)로도 불린다.[2]

인텔 프로세서 기반의 컴퓨터 대부분은 자사 메인보드의 노스브리지에 추가되어 있지만 AMD애슬론 64, 옵테론, IBM사의 POWER5, 그리고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사의 UltraSPARC T1 프로세서와 같은 현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메모리 레이턴시를 줄이기 위해 CPU에 메모리 컨트롤러를 장착하고 있다. CPU에 메모리 컨트롤러를 장착할 경우 시스템 성능을 잠재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지만 프로세서가 특정한 종류의 메모리만 인식할 수 있게 제한을 받을뿐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기술을 지원하는 데 중앙 처리 장치의 칩을 다시 설계해야 하는 부담을 안겨 줄 수 있다. DDR2 SDRAM이 도입되었을 때, AMD는 새로운 애슬론 64 CPU를 출시하였다. 이 CPU 모델들은 DDR2 컨트롤러가 장착되어 있으며 소켓 AM2로 알려진 다른 물리 소켓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종류의 램을 위해 설계된 메인보드에만 장착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가 다이 위에 없으면, 업데이트된 노스브리지와 함께 똑같은 CPU를 새로운 메인보드에 설치할 수 있다.

각주

  1. Comptia A+ Certification Exam Guide, Seventh Edition, by Mike Meyers, in the glossary, bottom of page 1278: "Chip that handles memory requests from the CPU."
  2. “Maximizing Performance and Scalability with IBM WebSphere”. 《google.com》. 2015년 2월 6일에 확인함. 

바깥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