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바위비둘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7번째 줄: 17번째 줄:
}}
}}


'''바위비둘기'''는 [[리비아]] 원산의 비둘기이다. [[집비둘기]]·[[전서구]] 등 사람이 기르는 비둘기의 원종이며, 원산지인 [[리비아]]에서 [[구북구]]의 인도 아대륙과 중부·동부 아시아에서 분화된 [[양비둘기]](''Columba rupestris'')와 [[비둘기속#계통 분류|가까운 종이다]].<ref name="Dimitri1">[http://cdn.intechweb.org/pdfs/29607.pdf Dimitri Giunchi 외 4인,Feral Pigeons: Problems,Dynamics and Control Methods]</ref> [[자극통제]]가 가능한 조류이며<ref>{{저널 인용 |성1=Shigeru |이름1=Watanabe |성2= |이름2= |날짜= |제목=Pigeons' discrimination of paintings by Monet and Picasso |url=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334394/#reference-sec |저널=J Exp Anal Behav |출판사= |권=63 |호=2 |doi= |확인날짜= }}</ref> 훈련이 가능하다.
'''바위비둘기'''는 [[리비아]] 원산의 비둘기이다. [[집비둘기]]·[[전서구]] 등 사람이 기르는 비둘기의 원종이며, 원산지인 [[리비아]]에서 [[구북구]]의 인도 아대륙과 중부·동부 아시아에서 분화된 [[양비둘기]](''Columba rupestris'')와 [[비둘기속#계통 분류|가까운 종이다]].<ref name="Dimitri1">[http://cdn.intechweb.org/pdfs/29607.pdf Dimitri Giunchi 외 4인,Feral Pigeons: Problems,Dynamics and Control Methods]</ref> [[자극통제]]가 가능한 조류이며<ref>{{저널 인용 |성1=Shigeru |이름1=Watanabe |성2= |이름2= |날짜= |제목=Pigeons' discrimination of paintings by Monet and Picasso |url=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334394/#reference-sec |저널=J Exp Anal Behav |출판사= |권=63 |호=2 |doi= |확인날짜= }}</ref> 훈련이 가능하다.<ref>{{저널 인용 |성1=Richard M |이름1=Levenson |성2=Elizabeth A |이름2=Krupinsk |날짜=2015.11.18 |제목=Pigeons (Columba livia) as Trainable Observers of Pathology and Radiology Breast Cancer Images |url=http://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141357 |저널=PLoS ONE |출판사= |권=10 |호=11 |doi= |확인날짜= }}</ref>


바위비둘기에 대한 [[가금류|가금화]]의 규모로 미뤄볼 때, 바위비둘기가 분포하는 넓은 지역에서 유전적 순수성이 남아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ref name="Murton">{{논문 인용 |성= |이름= |저자=R. K. Murton and N. J. Westwood |제목=The foods of the Rock Dove and Feral Pigeon |종류= |장=131p |url=http://www.tandfonline.com/doi/pdf/10.1080/00063656609476116 |날짜= |연도=1966 |출판사=Bird Study |확인날짜= |oclc=00063656609476116 }}</ref>
바위비둘기에 대한 [[가금류|가금화]]의 규모로 미뤄볼 때, 바위비둘기가 분포하는 넓은 지역에서 유전적 순수성이 남아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ref name="Murton">{{논문 인용 |성= |이름= |저자=R. K. Murton and N. J. Westwood |제목=The foods of the Rock Dove and Feral Pigeon |종류= |장=131p |url=http://www.tandfonline.com/doi/pdf/10.1080/00063656609476116 |날짜= |연도=1966 |출판사=Bird Study |확인날짜= |oclc=00063656609476116 }}</ref>

2016년 12월 31일 (토) 14:29 판

바위비둘기
수컷 바위비둘기
수컷 바위비둘기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목: 비둘기목
과: 비둘기과
속: 비둘기속
종: 바위비둘기
학명
Columba livia
Gmelin, 1789
바위비둘기의 분포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바위비둘기리비아 원산의 비둘기이다. 집비둘기·전서구 등 사람이 기르는 비둘기의 원종이며, 원산지인 리비아에서 구북구의 인도 아대륙과 중부·동부 아시아에서 분화된 양비둘기(Columba rupestris)와 가까운 종이다.[1] 자극통제가 가능한 조류이며[2] 훈련이 가능하다.[3]

바위비둘기에 대한 가금화의 규모로 미뤄볼 때, 바위비둘기가 분포하는 넓은 지역에서 유전적 순수성이 남아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4]

생태

내륙과 해변의 절벽에 집을 지으며[1] 먹이로는 과일, 곡류, 전분류, 곤충이나 작은 시체 등으로 500~600g의 성체기준으로 한달에 500~600g의 먹이와 1L의 물을 먹는다.[5]

바위비둘기는 집단생활을 하며 서열 의식을 가지고 있는 동물로, 서열이 낮은 비둘기는 먹이가 있는 지점에서 20 ~ 60c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자신보다 서열이 높은 비둘기가 식사를 끝낼 때까지 기다리고 있다가 먹이를 먹는다.[6] 바위비둘기는 길을 찾을 때 방향 지각 능력과 주변 사물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길을 찾는다. 이때 다수의 비둘기는 같은 무리의 비둘기 중 길을 찾는 데 있어 정확도가 높은 비둘기를 따라간다.[7]

각주

  1. Dimitri Giunchi 외 4인,Feral Pigeons: Problems,Dynamics and Control Methods
  2. Shigeru, Watanabe. “Pigeons' discrimination of paintings by Monet and Picasso”. 《J Exp Anal Behav》 63 (2). 
  3. Richard M, Levenson; Elizabeth A, Krupinsk (2015.11.18). “Pigeons (Columba livia) as Trainable Observers of Pathology and Radiology Breast Cancer Images”. 《PLoS ONE》 10 (11). 
  4. R. K. Murton and N. J. Westwood (1966). 〈131p〉. 《The foods of the Rock Dove and Feral Pigeon》 (학위논문). Bird Study. OCLC 00063656609476116 |ocl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5. [https://www.semel.ucla.edu/sites/all/files/sleep-research/127/127.pdf Food and Water Intake and Weight Regulation in the Pigeon 128p]
  6. Máté Nagy 외 5인 (6.19). 〈13050p〉. 《Context-dependent hierarchies in pigeons》 (PDF) (학위논문). Indian Institute of Science, Bangalore, India. 
  7. Haibin, Duan; Peixin, Qiao (2014.2.27). “Pigeon-inspired optimization: a new swarm intelligence optimizer for air robot path planning” (PDF). 《IJICC》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7 (1): 30. 

같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