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비아놀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단삼(Salvia miltiorrhiza)에서 분리된 화합물로 잘 알려진 살비아놀산(Salvianolic acid)은 혈액순환 개선및 고지혈증 완화에 효과가 있는 생화학물질로 알려져있다. 황전환경로(Transsulfuration pathway,TS경로)는 호모시스테인글루타티온에서 항산화항산화 글루타티온(GSH,antioxidant glutathione)으로 전환시키는 내인성 경로를 제공한다. 한편 단삼에서 추출되는 화합물에는 카페인산(caffeic acid) 2분자와 호모시스테인의 황 전환을 강화할 수 있는 살비아놀산 A(Sal A) 1 분자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살비아놀산 A(Sal A)가 황전환 경로(TS경로)에 대한 활성화 효과가 있고 이 효과는 호모시스테인 모두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이 연구 보고된 바있다.

살비아놀산 B[편집]

단삼(Salvia miltiorrhiza)에서 분리된 화합물에는 살비아놀산 (또는 살비아놀산 B),[1][2] 디하이드로탄시논(Dihydrotanshinone I , DI), 탄시논 I(tanshinone I) 및 탄시논 IIA(tanshinone IIA)가 포함된다.[3][4] 탄시논 IIA(tanshinone IIA)는 단삼(Salvia miltiorrhiza) 뿌리의 가장 풍부한 성분중 하나이다.[3]

살비아놀산 A[편집]

살비아놀산 A의 구조식은 C26H22O10으로 알려져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Wang QL; Tao YY; Yuan JL; Shen L; Liu CH (2010). “Salvianolic acid B prevents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through the TGF-beta1 signal transduction pathway in vivo and in vitro”. 《BMC Cell Biol.》 11: 31. doi:10.1186/1471-2121-11-31. PMC 2874764. PMID 20441599.  오픈 액세스로 게시된 글 -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
  2. Liu CL; Xie LX; Li M; Durairajan SS; Goto S; Huang JD (2007). “Salvianolic acid B inhibits hydrogen peroxide-induced endothelial cell apoptosis through regulating PI3K/Akt signaling”. 《PLOS ONE》 2 (12): e1321. doi:10.1371/journal.pone.0001321. PMC 2117346. PMID 18091994.  오픈 액세스로 게시된 글 -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
  3. “Danshen”. Drugs.com. 2018. 2019년 1월 22일에 확인함. 
  4. Lee WY, Cheung CC, Liu KW, 외. (May 2010). “Cytotoxic effects of tanshinones from Salvia miltiorrhiza on doxorubicin-resistant human liver cancer cells”. 《J. Nat. Prod.》 73 (5): 854–9. doi:10.1021/np900792p. PMID 20455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