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소박테리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푸소박테리움속
티오글라이콜레이트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푸소박테리움
티오글라이콜레이트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푸소박테리움
생물 분류ℹ️
계: 세균계
문: 푸소박테리움문
강: 푸소박테리움강
목: 푸소박테리움목
과: 푸소박테리움과
(Fusobacteriaceae)
Staley and Whitman 2012
속: 푸소박테리움속
(Fusobacterium)
Knorr 1922
[1]
  • F. animalis
  • F. canifelinum[1]
  • F. equinum[1]
  • F. gastrosuis
  • F. gonidiaformans][1]
  • "F. hwasookii"
  • "F. massiliense"
  • F. mortiferum[1]
  • F. naviforme[1]
  • F. necrogenes[1]
  • F. necrophorum[1]
  • F. nucleatum[1]
  • F. perfoetens[1]
  • F. periodonticum[1]
  • F. polymorphum[1]
  • "F. pseudoperiodonticum"
  • "Ca. F. pullicola"
  • F. russii[1]
  • F. simiae[1]
  • F. ulcerans[1]
  • F. varium[1]
  • F. vincentii
  • F. watanabei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은 그람 음성, 혐기성이며 아포를 형성하지 않는 세균의 한 이다. 세포는 가느다랗고 긴 간균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2][3] 치주농양, 르미에르 증후군, 국소 피부 궤양과 같은 몇몇 질환에서 푸소박테리움 균주가 발견된다.

오래된 문헌에서는 푸소박테리움을 사람 입인두정상세균총이라고 기술하고 있지만, 현대의 합의에서는 푸소박테리움을 항상 병원체로 보고 치료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4] 건강한 사람의 장에서 편리공생하는 세균인 F. prausnitzii는 2002년에 페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으로 완전히 재분류되었다.

임상적 관련성[편집]

2011년, 연구자들은 푸소박테리움 세균이 대장암 세포에서 증식하며 종종 궤양성 대장염과도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러나 푸소박테리움이 질환의 원인인 것인지, 또는 단순히 질환으로 인한 환경에서 푸소박테리움이 잘 자라는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5] 세균은 생물막이 형성되기 위한 고정대 역할을 한다.[6][7] 대부분 클린다마이신에 감수성을 보이며,[8] 20% 정도의 균주는 페니실린내성을 가지고 있다.[9]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에 속하는 종들과는 달리 푸소박테리움은 강한 지질다당류(LPS)를 가지고 있다.

참고 문헌[편집]

  1. Parte, A.C. “Fusobacterium”. 《LPSN》. 
  2. Madigan M; Martinko J, 편집. (2005).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1판. Prentice Hall. ISBN 978-0-13-144329-7. 
  3.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22nd Edition, ISBN 9780803629790, (2009)n p.983
  4. Aliyu SH, Marriott RK, Curran MD, 외. (October 2004). “Real-time PCR investigation into the importance of Fusobacterium necrophorum as a cause of acute pharyngitis in general practice”. 《J Med Microbiol》 53 (Pt 10): 1029–35. doi:10.1099/jmm.0.45648-0. PMID 15358827. 
  5. Alice Park (2011년 10월 18일). “A Surprising Link Between Bacteria and Colon Cancer”. Time.com. 2011년 10월 18일에 확인함. 
  6. Saito, Y.; Fujii, R.; Nakagawa, K.-I.; Kuramitsu, H. K.; Okuda, K.; Ishihara, K. (February 2008). “Stimulation of Fusobacterium nucleatum biofilm formation by Porphyromonas gingivalis”. 《Oral Microbiology and Immunology》 23 (1): 1–6. doi:10.1111/j.1399-302X.2007.00380.x. hdl:10130/821. PMID 18173791. 
  7. Okuda, Tamaki; Kokubu, Eitoyo; Kawana, Tomoko; Saito, Atsushi; Okuda, Katsuji; Ishihara, Kazuyuki (Feb 2012). “Synergy in biofilm formation between Fusobacterium nucleatum and Prevotella species” (PDF). 《Anaerobe》 18 (1): 110–116. doi:10.1016/j.anaerobe.2011.09.003. hdl:10130/3922. ISSN 1095-8274. PMID 21945879. 
  8. “Clindamycin” (PDF). Davis. 2017. 2017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14일에 확인함. 
  9. Di Bella, Stefano; Antonello, Roberta Maria; Sanson, Gianfranco; Maraolo, Alberto Enrico; Giacobbe, Daniele Roberto; Sepulcri, Chiara; Ambretti, Simone; Aschbacher, Richard; Bartolini, Laura; Bernardo, Mariano; Bielli, Alessandra (June 2022). “Anaerobic bloodstream infections in Italy (ITANAEROBY): A 5-year retrospective nationwide survey”. 《Anaerobe》 (영어) 75: 102583. doi:10.1016/j.anaerobe.2022.10258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