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
생물 분류ℹ️
역: 세균
문: 프로테오박테리아문
강: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
목: 티오트릭스목
과: 티오트릭스과
속: 티오마르가리타속
종: 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
(T. magnifica)
학명
Thiomargarita magnifica
Volland et al., 2022[1]

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Thiomargarita magnifica)는 황산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일종으로 소앤틸리스 제도과들루프 군도에서 수중에 떨어진 붉은 맹그로브 잎 위에서 자라고 있다.[2] 이 실 모양의 박테리아는 알려진 박테리아 중 가장 긴 것으로 평균 길이가 10mm 이고 일부 개체는 20mm에 이른다.[3] 이 박테리아는 2022년 2월에 제출된 출판전 논문에 기술되어 있다.[1] 이 박테리아는 원래 푸앵타피르에 있는 프랑스령 안틸레스 대학의 Olivier Gros가 2010년대 초에 처음 발견했지만, 처음에는 Gros가 발견한 것이 곰팡이 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4] Gros와 다른 연구원들이 그것이 박테리아로 결정하는 데 5년이 걸렸고 Gros의 지도 하에 연구하는 대학원생인 Jean-Marie Volland가 그 특이한 특성을 알아내기까지 몇 년이 더 걸렸다.[3]

'티오마르가리타'는 라틴어로 "유황 진주"를 의미한다. 이것은 세포의 모양을 나타내는데, 그들은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미세한 유황 과립을 포함하여 세포에 진주 광택을 부여한다. magnifica 라는 이름은 "웅장한"을 의미하며 T. magnifica 를 박테리아로 식별한 연구원 Silvina González Rizzo에 의해 선정되었다.[5]

캡슐화된 DNA[편집]

T. magnifica 의 발견은 세포핵이 없는 원시 단세포 생물인 원핵생물 ( DNA가 자유롭게 떠 있음)과 DNA가 핵의 덮개로 둘러싸여 있는 진핵생물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T. magnifica는 박테리아이기 때문에 원핵생물에 속하지만 그 세포에는 세포의 DNA를 감싸는 막 주머니가 있다.[6]

구조[편집]

박테리아의 대사는 박테리아 세포 내부를 통한 영양소와 폐기물 분자의 확산을 통해서만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이러한 유기체의 크기에는 상한선이 발생한다. 1999년에 발견된 대형 유황 박테리아 T. namibiensis는 물과 질산염으로 채워진 큰 주머니를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했다. 이 주머니는 세포 내용물을 세포벽으로 밀어 넣어 확산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생명 과정은 세포의 "가장자리를 따라"만 발생한다. T. magnifica ' 세포는 세포의 대부분(65-80% 부피)을 차지하는 유사한 액포[3] 를 포함하고 세포질 을 세포 주변으로 밀어낸다(세포질의 두께는 1.8에서 4.8 마이크론 까지 다양함).[1]

유기체 내의 다른 주머니 또는 구획에는 DNA가 들어 있다. 연구원들은 이 구획을 "페핀"(pepin)이라고 명명했다. 이 구조는 대부분의 다른 박테리아에서 발견되는 자유 부동 DNA와 매우 다르다.[7]

세포 외부에는 에피바이오틱 박테리아가 없는데, 이러한 "놀라운 부재"는 T. magnifica 에 의하여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이나 심지어 항생제 화합물이 생성되는 것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1]

각주[편집]

  1. Volland, Jean-Marie; Gonzalez-Rizzo, Silvina; Gros, Olivier; Tyml, Tomáš; Ivanova, Natalia; Schulz, Frederik; Goudeau, Danielle; Elisabeth, Nathalie H.; Nath, Nandita; Udwary, Daniel; Malmstrom, Rex R.; Guidi-Rontani, Chantal; Bolte-Kluge, Susanne; Davies, Karen M.; Jean, Maïtena R.; Mansot, Jean-Louis; Mouncey, Nigel J.; Angert, Esther R.; Woyke, Tanja; Date, Shailesh V. (2022년 6월 24일). “A centimeter-long bacterium with DNA contained in metabolically active, membrane-bound organelles”. 《Science》 376 (6600): 1453–1458. doi:10.1126/science.abb3634. eISSN 1095-9203. ISSN 0036-8075. PMID 35737788. 
  2. “Record bacterium discovered as long as human eyelash”. 《BBC News》. 2022년 6월 23일에 확인함. 
  3. Pennisi, Elizabeth. “Largest bacterium ever discovered has unexpectedly complex cells”. 《Science》 (영어). science.org. 2022년 2월 24일에 확인함. 
  4. Rogers, Peter. "Impossibly big" bacteria rattle the field of microbiology”. 《BigThink》. 2022년 3월 22일에 확인함. 
  5. Ansede, Manuel (2022년 3월 1일). “Scientists discover one-centimeter long bacterium that's visible to the naked eye”. 《El País. 2022년 6월 23일에 확인함. 
  6. Volland 등. 2022.
  7. Ferreira, Becky (2022년 6월 23일). “Government Scientists Discover Biggest Bacteria Ever, Visible to Naked Eye”. 《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