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SI 배수/설명문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시[편집]

{{SI 배수
|기호=m
|단위=미터
|참고=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접두어는 '''굵은 글씨'''로 표기하였음.
|n=|mc=|m=|c=|k=
|xmc=[[마이크로미터]] (micron)|xf=펨토미터 (fermi)
|링크=SI_배수
|오른쪽=
}}

미터(m)의 SI 배수
약수 배수
기호 이름 기호 이름
10–1 m dm 데시미터 101 m dam 데카미터
10–2 m cm 센티미터 102 m hm 헥토미터
10–3 m mm 밀리미터 103 m km 킬로미터
10–6 m µm 마이크로미터 (micron) 106 m Mm 메가미터
10–9 m nm 나노미터 109 m Gm 기가미터
10–12 m pm 피코미터 1012 m Tm 테라미터
10–15 m fm 펨토미터 (fermi) 1015 m Pm 페타미터
10–18 m am 아토미터 1018 m Em 엑사미터
10–21 m zm 젭토미터 1021 m Zm 제타미터
10–24 m ym 욕토미터 1024 m Ym 요타미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접두어는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음.


사용법[편집]

  • ‘m=, c=, n=’와 같이 빈 변수를 인수로 넣으면 해당 접두어가 굵은 글씨로 표시됩니다.
  • ‘x’ 접두어를 붙인 인수를 넣으면 해당 접두어의 텍스트가 인수값으로 변경됩니다.
  • µ 기호의 변수는 mc= 또는 µ=가 둘다 사용될 수 있습니다.(참고: 이것은 그리스 문자와는 다름)
  • 오른쪽= 인수를 넣으면 틀이 화면 오른쪽에 표시됩니다.
  • 링크는 문서 내에서 링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링크=SI_배수’라는 인수를 넣으면 ‘[[문서이름#SI_배수]]’와 같은 식으로 문서 링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링크 이름에는 공백 대신 밑줄(‘_’)이 들어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