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항성 정보 특성/설명문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용법[편집]

이 틀은 특정 항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하는 틀:항성 정보 관련 틀의 일부입니다. 틀을 사용할 땐 항상 {{항성 정보 시작}}이 맨 위에 있어야 하고, {{항성 정보 끝}}이 맨 끝에 있어야 합니다. 항성 정보 특성 틀은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항성 정보 특성
| 종류 = <!--항성의 종류 (주계열성, 백색왜성, 적색거성, 중성자별 등을 적습니다.)-->
| 분류 = <!-- 항성의 스펙트럼 분류-->
| 겉보기등급1통과대역 = <!-- 첫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1 = <!-- 첫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2통과대역 = <!-- 두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2 = <!-- 두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3통과대역 = <!-- 세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3 = <!-- 세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4통과대역 = <!-- 네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4 = <!-- 네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5통과대역 = <!-- 다섯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5 = <!-- 다섯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6통과대역 = <!-- 여섯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6 = <!-- 여섯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7통과대역 = <!-- 일곱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7 = <!-- 일곱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8통과대역 = <!-- 여덟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8 = <!-- 여덟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r-i = <!--R−I 색지수-->
| v-r = <!--V−R 색지수-->
| b-v = <!--B−V 색지수-->
| u-b = <!--U−B 색지수-->
| j-h = <!--J−H 색지수-->
| j-k = <!--J−K 색지수-->
| 변광성 = <!--변광성 종류-->
}}

쌍성에 대한 정보를 적고자 할 경우, 틀을 아래로 쓰시면 됩니다.

{{항성 정보 특성
| 요소1 = <!--첫 요소의 이름을 적습니다.-->
| 종류 = <!--항성의 종류 (주계열성, 백색왜성, 적색거성, 중성자별 등을 적습니다.)-->
| 분류 = <!-- 항성의 스펙트럼 분류-->
| 겉보기등급1통과대역 = <!-- 첫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1 = <!-- 첫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2통과대역 = <!-- 두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2 = <!-- 두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3통과대역 = <!-- 세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3 = <!-- 세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4통과대역 = <!-- 네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4 = <!-- 네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5통과대역 = <!-- 다섯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5 = <!-- 다섯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6통과대역 = <!-- 여섯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6 = <!-- 여섯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7통과대역 = <!-- 일곱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7 = <!-- 일곱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8통과대역 = <!-- 여덟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8 = <!-- 여덟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r-i = <!--R−I 색지수-->
| v-r = <!--V−R 색지수-->
| b-v = <!--B−V 색지수-->
| u-b = <!--U−B 색지수-->
| j-h = <!--J−H 색지수-->
| j-k = <!--J−K 색지수-->
| 변광성 = <!--변광성 종류-->

| 요소2 = <!--두 번째 요소의 이름을 적습니다.-->
| 종류2 = <!--항성의 종류 (주계열성, 백색왜성, 적색거성, 중성자별 등을 적습니다.)-->
| 분류2 = <!-- 항성의 스펙트럼 분류-->
| 겉보기등급1통과대역2 = <!-- 첫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1_2 = <!-- 첫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2통과대역2 = <!-- 두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2_2 = <!-- 두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3통과대역2 = <!-- 세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3_2 = <!-- 세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4통과대역2 = <!-- 네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4_2 = <!-- 네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5통과대역2 = <!-- 다섯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5_2 = <!-- 다섯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6통과대역2 = <!-- 여섯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6_2 = <!-- 여섯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7통과대역2 = <!-- 일곱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7_2 = <!-- 일곱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겉보기등급8통과대역2 = <!-- 여덟번째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적습니다. (H, J, K 등) -->
| 겉보기등급8_2 = <!-- 여덟번째 겉보기등급의 숫자를 적습니다.  -->
| r-i2 = <!--R−I 색지수-->
| v-r2 = <!--V−R 색지수-->
| b-v2 = <!--B−V 색지수-->
| u-b2 = <!--U−B 색지수-->
| j-h2 = <!--J−H 색지수-->
| j-k2 = <!--J−K 색지수-->
| 변광성2 = <!--변광성 종류-->
}}

여러 요소[편집]

3개 이상의 여러 요소가 있는 정보를 사용할 경우, 다음을 쓰면 됩니다.

{{항성 정보 특성
| 요소1 = 요소 1
| 종류 = 종류 1
| 분류 = 분류 1
...
| 요소2 = 요소 2
| 종류2 = 종류 2
| 분류2 = 분류 2
...
}}
{{항성 정보 특성|헤더유무=y
| 요소1 = 요소 3
| 종류 = 종류 3
| 분류 = 분류 3
...
}}

그 이후로는 다음 틀을 사용하며, 보통 아래와 같은 순서로 틀을 사용합니다.

{{항성 정보 시작}}
{{항성 정보 그림}}
{{항성 정보 관측자료}}
{{항성 정보 관측자료 2s}}
{{항성 정보 관측자료 3s}}
{{항성 정보 특성}}
{{항성 정보 위치천문}}
{{항성 정보 궤도}}
{{항성 정보 상세}}
{{항성 정보 상대위치}}
{{항성 정보 분류}}
{{항성 정보 자료}}
{{항성 정보 출처}}
{{항성 정보 끝}}

인수[편집]

다음은 시각편집기 및 다른 도구를 위한 틀데이터입니다.

항성 정보 특성의 틀데이터

항성 정보 틀의 광학적 특성 관련 내용에 관한 틀

틀 변수

변수설명형식상태
헤더유무헤더유무 no_heading

3개 이상의 요소를 사용시 헤더를 감추기 위한 용도로 사용.

예시
y
부울식선택 사항
요소요소 component

1개만 있는 요소에서 특별하게 요소를 적어야 할 때 사용.

문자열선택 사항
요소1요소1 component1

2개 이상 있는 요소에서 요소의 이름을 적을 때 사용

예시
시리우스 A
문자열선택 사항
종류종류 type

항성의 종류와 구분을 적음.

예시
[[주계열성]]
짧은 문구필수
분류분류 class

항성의 스펙트럼 대역을 기록.

예시
DA2
짧은 문구필수
겉보기등급1통과대역겉보기등급1통과대역 appmag_1_passband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1겉보기등급1 appmag_1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2통과대역겉보기등급2통과대역 appmag_2_passband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2겉보기등급2 appmag_2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3통과대역겉보기등급3통과대역 appmag_3_passband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3겉보기등급3 appmag_3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4통과대역겉보기등급4통과대역 appmag_4_passband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4겉보기등급4 appmag_4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5통과대역겉보기등급5통과대역 appmag_5_passband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5겉보기등급5 appmag_5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6통과대역겉보기등급6통과대역 appmag_6_passband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6겉보기등급6 appmag_6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7통과대역겉보기등급7통과대역 appmag_7_passband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7겉보기등급7 appmag_7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8통과대역겉보기등급8통과대역 appmag_8_passband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8겉보기등급8 appmag_8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u-bu-b

항성의 u-b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b-vb-v

항성의 b-v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v-rv-r

항성의 v-r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r-ir-i

항성의 r-i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j-hj-h

항성의 j-h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j-kj-k

항성의 j-k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변광성변광성 variable

항성의 변광성 종류를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요소2요소2 component2

2개 이상 있는 요소에서 요소의 이름을 적을 때 사용

예시
시리우스 B
문자열선택 사항
종류2종류2 type2

항성의 종류와 구분을 적음.

예시
[[적색거성]]
문자열선택 사항
분류2분류2 class2

항성의 스펙트럼 대역을 기록.

예시
DA2
문자열선택 사항
겉보기등급1통과대역2겉보기등급1통과대역2 appmag_1_passband2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1_2겉보기등급1_2 appmag_1_2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2통과대역2겉보기등급2통과대역2 appmag_2_passband2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2_2겉보기등급2_2 appmag_2_2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3통과대역2겉보기등급3통과대역2 appmag_3_passband2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3_2겉보기등급3_2 appmag_3_2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4통과대역2겉보기등급4통과대역2 appmag_4_passband2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4_2겉보기등급4_2 appmag_4_2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5통과대역2겉보기등급5통과대역2 appmag_5_passband2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5_2겉보기등급5_2 appmag_5_2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6통과대역2겉보기등급6통과대역2 appmag_6_passband2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6_2겉보기등급6_2 appmag_6_2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7통과대역2겉보기등급7통과대역2 appmag_7_passband2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7_2겉보기등급7_2 appmag_7_2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겉보기등급8통과대역2겉보기등급8통과대역2 appmag_8_passband2

항성 겉보기등급의 통과대역을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겉보기등급8_2겉보기등급8_2 appmag_8_2

항성의 겉보기등급을 기록.

숫자선택 사항
u-b2u-b2

항성의 u-b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b-v2b-v2

항성의 b-v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v-r2v-r2

항성의 v-r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r-i2r-i2

항성의 r-i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j-h2j-h2

항성의 j-h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j-k2j-k2

항성의 j-k 색지수를 기록.

숫자선택 사항
변광성2변광성2 variable2

항성의 변광성 종류를 기록.

짧은 문구선택 사항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