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열대 우림 기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링크 변경 (아마존 강 → 아마존강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출처 필요|날짜=2021-01-11}}
{{출처 필요|날짜=2021-01-11}}
[[파일:Koppen_World_Map_Af.png|섬네일|300px|오른쪽|열대 우림 기후의 분포도]]
[[파일:Koppen_World_Map_Af.png|섬네일|300px|오른쪽]]
[[파일:Canopy Walk View.jpg|섬네일|300px|오른쪽|말레이시아의 열대 우림 기후 모습]]
[[파일:Canopy Walk View.jpg|섬네일|300px|오른쪽]]
더 크다.
'''열대 우림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열대 기후]]에 속하며, 기호는 '''Af'''이다. 연중 [[적도 수렴대]]의 영향을 받으므로, 더운 날씨가 지속하고 강우량이 많다. 이로 인하여 [[상록활엽수]] 위주의 밀림이 나타나며, 생물이 살기에 좋은 환경이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지녔다. 해안가에서는 주로 열대와 아열대에서 바닷물이 주기적으로 잠겨 소금기가 많은 지대에서 자라는 상록수림인 [[맹그로브]]가 나타난다. 열대 우림 지역은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8˚C를 넘으며, 일교차가 연교차보다도 더 크다.


한다.
[[아마존 우림]]과 동남아시아 대밀림 [[정글]]과 [[말레이 제도]] 등은 열대 우림 밀림의 대표적인 예이다. 열대 우림 밀림의 동남아시아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스콜]]<ref>열대 지방에서 대류에 의해 나타나는 [[소나기]]로, 거의 매일 일어나며, [[번개]], [[천둥]], 강풍을 동반하기도 한다.</ref>이 발생한다. 농업은 주로 [[플랜테이션 농업]]을 한다. 토양은 주로 [[라테라이트]]로, [[염기]]와 [[규산]] 등이 [[용탈]]되어서 배수가 매우 잘 되지만, 농업에는 좋지 않다. 모기가 많이 자생해 [[말라리아]]와 같은 병이 생기기도 한다.


공존한다.
열대 우림 기후는 다양하고 많은 식물이 자생하기 때문에 많은 [[산소]]를 만들어 낸다. 특히 [[남아메리카]]의 [[셀바스]] 지역은 지구 전체 산소량의 ¼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지구의 [[허파]]’라고도 불리는 곳인데, 현재 벌목과 개발 사업으로 인해 황폐해지고 있어 이러한 개발 사업에 대한 비판 여론과 옹호 여론이 공존한다.


열대 우림 기후는 [[사바나 기후]]와 자주 비교되는데, 둘 다 열대 기후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열대 우림 기후는 1년 내내 덥고 습윤하며 강우량이 많은 데 비해, 사바나 기후는 비가 많이 내리는 [[우기]]와 비가 적게 내리는 [[건기]]가 뚜렷하다는 차이가 있다.

== 분포 ==
{{본문|열대 우림}}
{{본문|열대 우림}}


* 지대
* 아프리카 [[콩고 분지]] 등의 정글 지대
* 지대)
*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 유역([[아마존 우림]] 지대)
* 등)
* 인도양의 도서 지역([[세이셸]], [[레위니옹]] 등)
* 등)
* 동남아시아 및 태평양의 도서 지역([[수마트라섬]], [[뉴기니섬]], [[괌섬]], [[사키시마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등)


== 같이 보기 ==
== 보기 ==
* [[쾨펜의 기후 구분]]
* [[쾨펜의 기후 구분|구분]]
* [[열대 기후]]
* [[열대 기후|기후]]
*
* [[열대 우림]]

== 각주 ==
{{각주}}
{{각주}}

{{쾨펜}}


[[분류:기후]]
[[분류:기후]]

2024년 4월 29일 (월) 11:33 판

더 크다.

한다.

공존한다.

  • 지대
  • 지대)
  • 등)
  • 등)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