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HyonH: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메이 (토론 | 기여)
134번째 줄: 134번째 줄:
해당 문서에 하신 편집은 이전으로 되돌려졌습니다. 해당 분류에 대해 다루는 문서인 [[옥산 장씨]]에 서술되어야 할 내용으로, 관련 편집은 이전으로 되돌립니다. 분류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분류 문서에 추가할 수도 있으나, 위와 같은 정도라면 일반 문서에 추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 [[사:메이|메이]] ([[사토:메이|토론]]) 2020년 9월 16일 (수) 01:25 (KST)
해당 문서에 하신 편집은 이전으로 되돌려졌습니다. 해당 분류에 대해 다루는 문서인 [[옥산 장씨]]에 서술되어야 할 내용으로, 관련 편집은 이전으로 되돌립니다. 분류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분류 문서에 추가할 수도 있으나, 위와 같은 정도라면 일반 문서에 추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 [[사:메이|메이]] ([[사토:메이|토론]]) 2020년 9월 16일 (수) 01:25 (KST)
:네 그러는 게 좋은 거 같습니다. 처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사:HyonH|HyonH]] ([[사토:HyonH|토론]]) 2020년 9월 16일 (수) 01:43 (KST)
:네 그러는 게 좋은 거 같습니다. 처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사:HyonH|HyonH]] ([[사토:HyonH|토론]]) 2020년 9월 16일 (수) 01:43 (KST)

== '상장군계 인동 장씨' 문서 삭제 알림 및 저작권 침해 반복에 대한 경고 ==

* [[상장군계 인동 장씨]]

해당 문서는 삭제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위키백과 저작권 정책에 호환되지 않는 내용을 위키백과에 삽입하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저작권 호환이 되지 않는다면, 그 내용을 위키백과에 추가할 수 없습니다. 내용을 직접 타이핑했다거나, 한자 표기를 일부 지웠다고 해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관련 문서의 확인 및 참고를 바랍니다. url을 제시하는 것은 내가 참고를 한 웹사이트를 밝혀적음으로서, 저작권 침해가 아님을 보이는 것이지, url을 제시하였다고 해서 그 내용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새로운 글'로 작성하라고 안내해드린 바도 있으나, 전혀 참고를 안하고 계신 것으로 여겨집니다. 저작권 침해 반복에 대하여 경고하며, 이후 적절한 편집을 바랍니다. -- [[사:메이|메이]] ([[사토:메이|토론]]) 2020년 9월 16일 (수) 01:54 (KST)

2020년 9월 16일 (수) 01:54 판

HyonH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환영합니다 (토론) 2020년 9월 7일 (월) 20:21 (KST)답변

'인동 장씨' 문서 편집 및 저작권 침해에 대한 주의

해당 편집 등은 이전으로 되돌려졌으며, 판은 저작권 침해와 관련하여 삭제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다른 웹사이트 등 위키백과의 저작권 정책에 호환되지 않는 사이트에 게재된 내용을 위키백과에 삽입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합니다. 위키백과:저작권 문서의 확인 및 참고를 바랍니다. 한편, 퍼블릭 도메인으로 선언하지 않은 인터넷 상의 모든 글과 그림 사진 등에는 별도의 저작권 표시가 없더라도 저작권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내용을 그대로 복사·붙여넣기 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므로 이후 편집시 주의를 바랍니다.

위키백과를 편집하거나 새 문서를 작성할 때에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참고하여, 이를 밝혀적고 '새로운 글'로 작성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위키백과:출처 밝히기, 위키백과:신뢰할 수 있는 출처, 위키백과:각주 등 참고.)

이미 안내한 바이며, 반복하여 문서에 관련 내용을 삽입하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특수:기여/126.225.125.111 -- 메이 (토론) 2020년 9월 7일 (월) 21:17 (KST)답변


(내용 추가) 위키백과 저작권과 호환되지 않는 다른 웹사이트의 글을 복사·붙여넣기 방식으로 위키백과에 옮겨넣는 것은 저작권 침해이며, 이를 반복하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반복하여 추가하고 계신 내용은 모두 외부 사이트의 내용을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확인되어 삭제 및 숨기기 처리한 것입니다. -- 메이 (토론) 2020년 9월 7일 (월) 21:20 (KST)답변

상장군계 페이지에 대해서는 삭제하신 '대표인물'은 족보 및 종친회, 공인 사료를 통해 확인을 거친 내용을 작성한 것이므로 차후에 다시 기입하도록 하겠습니다. 삭제하신 '역대인물'은 족보를 바탕으로 주요 인물과 그 이력을 간추려 적은 것입니다만 이 '역대인물'은 다시 기입하기 보단 상장군계 인동장씨 대종회에 링크를 걸어두는 방식으로 하겠습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28 (KST)답변

'상장군 장금용계 인동 장씨, 직제학 장계계 인동 장씨' 문서 삭제 알림 및 저작권 침해 경고

각각의 문서는 삭제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위쪽 문단의 내용 등을 확인 및 참고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목록의 각 인물들이 해당 성씨의 인물인 점에서 내용을 추가하시려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해당 성씨의 인물 중 위키백과에 등재될만한 인물 문서는 관련 성씨 분류(분류:인동 장씨)에서 확인 가능한 점도 참고를 바랍니다.

다른 웹사이트 내용을 가져다 자신의 스타일대로 편집·저장해두고 싶으시다면, 위키백과가 아닌 다른 개인 블로그, 카페, 홈페이지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거듭 말씀드리며 경고합니다. 저작권과 호환되지 않는 다른 웹사이트의 글을 복사·붙여넣기 방식으로 위키백과에 옮겨넣는 것은 저작권 침해이며, 이를 반복하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 메이 (토론) 2020년 9월 8일 (화) 11:31 (KST)답변

(내용 추가) 각각 재삭제합니다. 안내에도 불구하고 해당 편집을 반복하는 경우, 제재가 불가피함을 알려드립니다. -- 메이 (토론) 2020년 9월 8일 (화) 11:34 (KST)답변

메이님.. 이 글 지금 확인해 지금 답변 드립니다. 도대체 어느 사이트에서 내용 전체를 복사해 왔다 하십니까? 과거 급제자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급제자 명단을 일일이 조사하여 기입했으며 그 외 대표인물 및 역대인물은 족보 및 종친회 소식을 근거로 기입하였습니다. 인동 장씨의 [역사 보기] 란의 수정 이력을 제대로 조사해 보시고 일을 처리해 주십시요. 상장군계와 직제학계는 계파가 달라 각각 자기 페이지에서 그 종친이 작성해야 편집의 분쟁 소지를 없앨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장군계와 직제학계 페이지를 각각 따로 만들어 그기를 참조하도록 해 두었으며 이건 상장군계 종친이나 직제학계 종친께서도 동의하시는 내용입니다. 일을 처리하시려거든 제대로 알아보시고 처리하십시요. 메이님이 하시는 행위야 말로 권력을 가진 자의 또 다른 횡포일 수 있으며 또 다른 문서 훼손의 행위일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 주셨으면 합니다.--HyonH (토론) 2020년 9월 8일 (화) 16:43 (KST)답변

메이님.. 말씀드린대로 상장군계와 직제학계 종친 모두 동의하는 내용이므로 각 계파의 페이지는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 상장군계 페이지에 대해서는 삭제하신 '대표인물'은 족보 및 종친회, 공인 사료를 통해 확인을 거친 내용을 작성한 것이므로 차후에 다시 기입하도록 하겠습니다. 삭제하신 '역대인물'은 족보를 바탕으로 주요 인물과 그 이력을 간추려 적은 것입니다만 이 '역대인물'은 다시 기입하기 보단 상장군계 인동장씨 대종회에 링크를 걸어두는 방식으로 하겠습니다. • 직제학계 페이지에 대해서는 직제학계 그 종친분께서 컴퓨터가 서툰 분이라 제가 상장군계 페이지를 만들 때 직제학계 페이지도 만들어 줄 것을 희망하게 계시며 직제학계 내 '역대인물'에 대해서는 직제학계 계파의 대종회 웹사이트가 달리 없어서 링크를 거는 방식으로 할 수 없으며 그 종친분이 자기가 조사하신 내용을 기입하고 싶어 하시는 거 같은데 그 출처를 다 밝혀달라고 할 수 없는 입장이라 이건 제가 뭐라 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닙니다. • 그리고 누구든 사용하길 희망하며 소유권을 주장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틀린 내용의 기입이 있을시에는 맞는 내용으로 다시 고칠 수 있는 권리는 저에게도 있지 않겠습니까? 이상입니다. *저도 제 일때문에 더 이상 이 일에 매달릴 수 없습니다.--HyonH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0:54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15 (KST)답변

아래 Gomdoli4696님께 드린 답변으로 기술을 대신 하고자 합니다. 상장군계와 직제학계는 인동이란 본관은 같이 사용합니다만 조상을 달리 하는 서로 다른 가문입니다. 각 계파내 종친께서 인동장씨 페이지 내에서 각 계파에 대해 기술할 때 문서의 길이나 위치에 따라 이번처럼 불만이 생길 수 있어 다시 분쟁이 일어날 소지가 클뿐더러 본관은 같은 인동을 사용합니다만 조상을 달리하는 서로 다른 가문이기 때문에 인동장씨 페이지 내에서 각 계파별로 페이지를 분리되어 져야 합니다.

Gomdoli4696님.. 사용자토론:GTX1060에 질문하신 것에 대해 답변을 달아 드렸습니다. 아래 Gomdoli4696님의 질문과 답변입니다. [토론:인동 장씨]에도 똑같이 달아 두겠습니다. 더불어 인동 장씨 페이지에 분쟁에 의한 보호를 달아 두셨던 데 풀어 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논리에 대해 이의를 제기합니다. "종친이 동의"했다는 것을 표시하시고 관련된 내용을 굳이 분리하겠다고 하시면 그에 따른 마땅하고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주셔야 하는 것입니다. — Daedan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7:32 (KST) Gomdoli4696님.. 요전번 문서 편집 분쟁의 당사자였던 Parkening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제시합니다. 저도 위키백과 사용이 서툴어 이렇게 붙여 놓으면 그 페이지로 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사용자토론:HyonH으로 가면 Parkening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arkening께서 기재하신 일시와 인동장씨 [역사 보기]의 이력을 보시면 Parkening께서 말씀하시는 'HyonH님의 깊으신 뜻과 배려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생각했던것이 말씀하신 그대로 입니다' 것은 제가 요전번 행한 상장군계와 직제학계 페이지를 분리하여 기재하는 것을 말하는 걸 아실 수 있습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7:48 (KST) • HyonH님 깊이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HyonH님의 깊으신 뜻과 배려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생각했던것이 말씀하신 그대로 입니다 하지만 다른분들께서 직제학계를 배제하거나 축소시키시려는것이 안타깝습니다 서로가 같은 본향을 둔 계대를 확인할 수 없어 나뉘었지만 어쩌면 한뿌리 일수도 있는 서로가 반가운 인동장씨라 생각합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리고 언제나 좋은날만 가득하세요 Parkening (토론) 2020년 9월 8일 (화) 12:29 (KST) 여러번 말씀 드렸습니다만 상장군계와 직제학계는 계파를 달리 하기 때문에 인동장씨 페이지 내에서 각 계파별로 페이지를 분리하야 기술되어 져야 합니다. 그렇게 분리해 두지 않으면 이번과 같은 문서 편집 분쟁이 또 다시 일어나게 됩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9:31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20:16 (KST) Gomdoli4696님.. 말씀하신 이의 제기에 대해 직제학계 종친의 동의을 받은 점, 조상을 달리하는 사실상 서로 다른 가문이라는 점, 다른 가문이기 때문에 각 가문(계파)의 기술 길이나 위치에 따라 또 다시 분쟁이 생기기 쉽다는 점을 답변으로 드렸습니다. 분쟁에 의한 보호 태그의 삭제도 부탁드립니다. 이에 대해 답변을 부탁드립니다.--HyonH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21:19 (KST)

제 답변은 이전과 같습니다. 의견 요청 붙였으니 다른 사용자의 의견을 기다려봅시다. — Daedan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21:46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37 (KST)답변

Gomdoli4696님.. 말씀하신 이의 제기에 대해 직제학계 종친의 동의을 받은 점, 조상을 달리하는 사실상 서로 다른 가문이라는 점, 다른 가문이기 때문에 각 가문(계파)의 기술 길이나 위치에 따라 또 다시 분쟁이 생기기 쉽다는 점을 답변으로 드렸습니다. 분쟁에 의한 보호 태그의 삭제도 부탁드립니다. 이에 대해 답변을 부탁드립니다.--HyonH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21:19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21 (KST)답변

덧붙여, 예를 들어 안동 권씨와 예천 권씨는 권씨라는 분류에서 본관이 달라 각각 다른 페이지에 그 가문을 기술하고 있지 않습니까? 그렇다면 인동 장씨 분류 내에서 인동이라는 본관은 사용하지만 조상과 계보를 달리하는 사실상 다른 가문이라면 인동 장씨 분류 내에서 그 가문 별로 분류해 그 가문만의 페이지를 만들어 그 페이지에 그 가문에 대해 기술하는 게 더 합당하다 생각합니다. 한낱 이름은 같지만 사실상 다른 사람인 동명이인인 경우에도 그 사람들만의 페이지를 따로 가지고 있는데 인동이라는 본관만 사용하지 조상과 계보를 달리하는 사실상 다른 가문이라면 그 가문의 사람들이 몇명인데 그 가문만의 페이지를 가지는 게 더 합당하다 생각되지 않으시는지요? --HyonH (토론) 2020년 9월 10일 (목) 04:04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23 (KST)답변

안동 김씨도 구 안동 김씨와 신 안동 김씨로 각각 페이지를 나누어 각 페이지에 따로 기술하셨네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안동 김씨도 조상이 달라 페이지를 나누어 기술하시는 데 조상과 계보를 달리하는 사실상 다른 가문인 저희가 페이지를 나누어 기술하겠다는 데 안동 김씨 페이지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실 거라면 저희 인동 장씨 내에서도 페이지를 나누어 기술하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0일 (목) 04:43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38 (KST)답변

먼저 페이지를 분리한 안동 김씨는 저희 인동 장씨와 똑같은 케이스이며 안동 김씨로 검색했을 때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주요하게 다뤄지지 않는 것은 저희 인동 장씨와 매 한가지인 점을 밝혀 드립니다.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회사 및 단체)에 기술된 '그 주제가 신뢰할 수 있고 독립된 2차 출처에서 주요하게 다루어 지는 것'이라고 기술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지침은 사용자들이 가능하면 따라야 하는 보편적인 기준이며, 상식과 상황에 따라서는 예외가 있을 수 있다'라고 명기되어 있습니다. 한 가문이 회사나 단체도 아니고 뉴스나 신문에 나올 일이 뭐가 그리 있겠습니까? 특별히 씨족이나 가문에 대한 특별한 규정은 없으며 억지로 끼워 맞추면 비상업적인 단체들에 속할텐데 그 단락에 '단체의 활동 범위가 규모면에서 전국적이거나 국제적일 것'이라는 기술이 있습니다. 결국엔 2차 출처에서 주요하게 다루어 지는가를 중요하게 본다는 것은 결국엔 이게 독자층이 얼마나 끌어 들일 수 있나를 의식한다는 얘기인데, 상장군계, 직제학계 다 합쳐 인동장씨가 2015년 기준으로 666,652명인데 16만명 정도가 노인이나 취학전 아동이라 쳤을 때 50만명이 인동장씨 페이지의 그 잠재적 독자층(이용자층)입니다. 50만명의 독자층이라면 무시할 수 없는 수이지 않습니까? 그래서 이전 메시지에서 밝힌 3가지 이유(양 가문 모두 페이지 분리 희망; 사실상 서로 다른 가문이라는 사실; 페이지 분리로 인해 차후 문서 편집 분쟁 요소 제거)에 더해 페이지 분리가 타당한 이유를 요약해 다시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50만명의 단발적이지만 지속적인 독자층(이용자층)이 있다는 점 (2) 똑같은 케이스인 안동김씨의 페이지 분리 선례가 있다는 점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01:58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24 (KST)답변

안동 김씨 가문 분께는 죄송합니다만 GTX1060님 안동 김씨 페이지에 대한 의견도 제시해 주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대해 제시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03:19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25 (KST)답변

Gomdoli4696님..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회사 및 단체)은 GTX1060님께서 참고할 문서로 추천하셔서 그 기준을 예로 든 것이며 찾아보니 페이지 추가 분리에 대해 규정된 그 외 다른 기준은 찾을 수 없습니다. 또한 Gomdoli4696님께서도 안동 김씨 페이지에 대한 의견도 제시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1:24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25 (KST)답변

저작권 침해

이미 저작권 침해를 안내 드린 바 있는 걸로 보이고, 이를 충분히 읽으실 수 있으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동일한 내용으로 계속 문서를 찍어내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 Daedan (토론) 2020년 9월 8일 (화) 11:53 (KST)답변

메이님.. 말씀드린대로 상장군계와 직제학계 종친 모두 동의하는 내용이므로 각 계파의 페이지는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 상장군계 페이지에 대해서는 삭제하신 '대표인물'은 족보 및 종친회, 공인 사료를 통해 확인을 거친 내용을 작성한 것이므로 차후에 다시 기입하도록 하겠습니다. 삭제하신 '역대인물'은 족보를 바탕으로 주요 인물과 그 이력을 간추려 적은 것입니다만 이 '역대인물'은 다시 기입하기 보단 상장군계 인동장씨 대종회에 링크를 걸어두는 방식으로 하겠습니다. • 직제학계 페이지에 대해서는 직제학계 그 종친분께서 컴퓨터가 서툰 분이라 제가 상장군계 페이지를 만들 때 직제학계 페이지도 만들어 줄 것을 희망하게 계시며 직제학계 내 '역대인물'에 대해서는 직제학계 계파의 대종회 웹사이트가 달리 없어서 링크를 거는 방식으로 할 수 없으며 그 종친분이 자기가 조사하신 내용을 기입하고 싶어 하시는 거 같은데 그 출처를 다 밝혀달라고 할 수 없는 입장이라 이건 제가 뭐라 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닙니다. • 그리고 누구든 사용하길 희망하며 소유권을 주장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틀린 내용의 기입이 있을시에는 맞는 내용으로 다시 고칠 수 있는 권리는 저에게도 있지 않겠습니까? 이상입니다. *저도 제 일때문에 더 이상 이 일에 매달릴 수 없습니다.--HyonH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0:54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40 (KST)답변

문서 삭제 알림 및 편집 경고

어느 누구도 특정 문서의 소유자인 것처럼 행동할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문서는 삭제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 메이 (토론) 2020년 9월 8일 (화) 11:55 (KST)답변

메이님.. 방금 이 글을 확인해 지금 답변 드립니다. 인동 장씨의 [역사 보기] 란의 수정 이력이나 제대로 조사해 보시고 일을 처리해 주십시요. 상장군계와 직제학계는 계파가 달라 각각 자기 페이지에서 그 종친이 작성해야 편집의 분쟁 소지를 없앨 수 있으며 그래서 상장군계와 직제학계 페이지를 각각 따로 만들어 그기를 참조하도록 해 두었습니다. 이건 상장군계 종친이나 직제학계 종친께서도 동의하시는 내용입니다. 일을 처리하시려거든 제대로 알아보시고 처리하십시요. 메이님이 하시는 행위야 말로 권력을 가진 자의 또 다른 횡포일 수 있으며 또 다른 문서 훼손의 행위일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 주셨으면 합니다.--HyonH (토론) 2020년 9월 8일 (화) 16:50 (KST)답변

메이님.. 말씀드린대로 상장군계와 직제학계 종친 모두 동의하는 내용이므로 각 계파의 페이지는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 상장군계 페이지에 대해서는 삭제하신 '대표인물'은 족보 및 종친회, 공인 사료를 통해 확인을 거친 내용을 작성한 것이므로 차후에 다시 기입하도록 하겠습니다. 삭제하신 '역대인물'은 족보를 바탕으로 주요 인물과 그 이력을 간추려 적은 것입니다만 이 '역대인물'은 다시 기입하기 보단 상장군계 인동장씨 대종회에 링크를 걸어두는 방식으로 하겠습니다. • 직제학계 페이지에 대해서는 직제학계 그 종친분께서 컴퓨터가 서툰 분이라 제가 상장군계 페이지를 만들 때 직제학계 페이지도 만들어 줄 것을 희망하게 계시며 직제학계 내 '역대인물'에 대해서는 직제학계 계파의 대종회 웹사이트가 달리 없어서 링크를 거는 방식으로 할 수 없으며 그 종친분이 자기가 조사하신 내용을 기입하고 싶어 하시는 거 같은데 그 출처를 다 밝혀달라고 할 수 없는 입장이라 이건 제가 뭐라 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닙니다. • 그리고 누구든 사용하길 희망하며 소유권을 주장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틀린 내용의 기입이 있을시에는 맞는 내용으로 다시 고칠 수 있는 권리는 저에게도 있지 않겠습니까? 이상입니다. *저도 제 일때문에 더 이상 이 일에 매달릴 수 없습니다.--HyonH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0:54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31 (KST)답변

지속적인 분쟁 발생으로 분쟁 발생을 막고자 토론 문서에 이유를 남깁니다. 해당 내용은 위의 메이님의 토론을 참고한 것임을 밝힘니다. 가독성을 해치는 과도한 한자를 제거하였고, 관련없는 내용을 제거하였습니다. 문장의 문체를 개선하였습니다. 참고 바라며, 이의가 있을시 아래에 남겨 주시길 바랍니다. GTX1060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6:03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58 (KST)답변

GTX1060님.. 사용자토론:GTX1060에서 말씀드린 대로 상장군계 및 직제학계의 과거 급제자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조사하여 그 명단을 바탕으로 기입된 것입니다. 예전 버전에는 그 명단까지 다 기입해 두었으며 출처도 밝혀 두었습니다. 말씀드린 대로 권한 가지신 분들이 명단을 지우고 다른 버전으로 돌리면서 출처에 대한 기재가 없어진 것입니다. 제가 법을 공부한 사람도 아니고 GTX1060님께 감정이 있어서 이러는 게 아닙니다만 아래 내용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납득할 만한 답변을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상장군계 내 역사란에 1천여년 인동에 종가와 유지를 보존해 온 사실과 옥산화벌로 불리는 명문이라는 기술을 왜 삭제하신 이유로 밝히신 관련없는 내용이라 규정하시는 그 근거는 무엇인지요? (요전번에 그 기술에 대한 출처에 대한 기입이 없었습니다만 차후에 출처를 밝혀두도록 하겠습니다) • 상장군계 및 직제학계 내의 과거 급제자 수를 삭제하신 이유로 밝히신 관련없는 내용이라 규정하시는 그 근거는 무엇인지요? • 사용자토론:GTX1060에서 답변으로 말씀하신 다른 한 가문의 과거 급제자 수와 그 명단을 시간 날 때 지우겠다고 하셨는데 정확히 언제까지 지우시겠는 건지 알려 주셨으면 합니다. 참고로 저는 저희 가문을 비롯해 그 가문의 과거 급제자 수와 그 명단도 지워져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상장군계 및 직제학계의 과거 급제자 수와 명단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정확히 조사해서 나온 명단을 바탕으로 기입한 것이며 인동장씨 가문과 관련 없는 내용도 아니며 정확한 내용도 아니며 지워진 출처도 기입하겠으며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내용도 아닌 기술이므로 차후 삭제되어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9:11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57 (KST)답변

더불어 출처 불분명이라는 태그를 삭제 해 주셨으면 합니다. GTX1060님 개인적으로 관련없다 판단하셔서 삭제하신 내용에 더해 또 불분명하다 판단되시는 내용이 있으신지요? 그렇다면 먼저 친분 있는 가문을 걸고 넘어져 그 가문 분께는 대단히 죄송합니다만 GTX1060님 판단하신 내용을 근거로 말하자면 예를 들어 안동 권씨 및 안동 장씨 페이지에도 출처 불분명이라는 태그가 달려 져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만 그 가문 페이지에도 출처 불분명이라는 태그를 다실 게 아니라면 종가집 자손으로서 저희 가문 페이지에서 그 태그를 삭제해 주실 것을 정중히 요청합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0일 (목) 04:15 (KST) 다른 사이트를 인용하는 부분이나 조사로 나은 부분에 대해서는 출처를 밝히겠습니다만 사실을 기반해 기술한 것에 대해 삭제하고자 하신다면 먼저 왜 삭제되어 져야 하는지 정당한 반대 근거를 조사해 그 근거를 제시해 주셨으면 합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0일 (목) 05:14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57 (KST)답변

출처 필요 틀은 그 문서의 기재된 내용에 출처가 없거나 적어 출처를 적어달라는 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틀:출처 필요 문서를 참고 바랍니다. 이 문서에는 출처가 없어 단 것임을 밝힙니다. 위키백과에서는 '사실'이라고 다 기재할 수 있는 것은 아닌 점 참고 바랍니다. GTX1060 (토론) 2020년 9월 10일 (목) 16:40 (KST) '상장군계 내 역사란에 1천여년 인동에 종가와 유지를 보존해 온 사실과 옥산화벌로 불리는 명문이라는 기술을 왜 삭제하신 이유로 밝히신 관련없는 내용이라 규정하시는 그 근거는 무엇인지요?' 이 부분은 이 편집으로 추측되는데, 해당 내용은 인동의 역사로 삭제한 것이며, 타 성씨 문서의 과거 급제자 수는 시간날때 지우도록 하겠습니다. 언제 정리할 수는 모릅니다. 재촉하지 말아 주시길 바랍니다. 과거 급제자 수를 지운 이유는 아래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위키백과는 잡학사전이 아닙니다. 단순히 정보를 모아 놓는다고 백과사전이 되지는 않습니다. 어떤 정보가 사실이라고 해서 그 정보가 백과사전에 포함될 만한 내용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내용 GTX1060 (토론) 2020년 9월 10일 (목) 16:52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59 (KST)답변

GTX1060님.. 어느 한 문서에 있는 어떤 정보에 대해 적합, 부적합를 판단해야 한다면 그 문서를 보는 독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가문과 관련 없는 사람에게는 그게 하찮은 정보, 관련없는 정보, 잡학으로 보여질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 가문을 열람하는 주 독자는 그 가문 사람일텐데 그 가문 사람에게는 그 정보가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지 않으시는지요? GTX1060님께서 지우신 그리고 지우려고 하는 그 정보들은 그 가문에 대해 알려고 방문한 그 독자들에게는 소중한 정보들입니다. 독자에게 중요한 정보는 결국 위키백과에의 기여이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타 성씨 문서의 과거 급제자 수는 시간날때 지우도록 하겠습니다. 언제 정리할 수는 모릅니다. 재촉하지 말아 주시길 바랍니다.'라는 말은 납득하기 어렵고 개략적인 스케줄이라도 말씀해 주십시요. 요전번 얘기한 그 가문 외에도 그러한 가문 무수히 많습니다. GTX1060님 본관 어디신지요? 저희 가문 페이지에 한 거처럼 다른 가문 페이지에도 하시려면 일이 참 많으시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러지 마실 것을 건의 해 드립니다. 이유는 위에 기술한 내용을 참조해 주십시요. 마지막으로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 위키백과는 검열을 하지 않습니다. • 위키백과는 관료제가 아닙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02:55 (KST) 어느 부분에서 삭제하셨는지 찾으면 금방 찾을 수 있을텐데 1천여년 인동에 종가와 유지 보존과 옥산화벌이라는 문구는 GTX1060님께서 인동 역사 단락에서가 아니라 상장군계 역사 단락에서 삭제하신 겁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1:37 (KST) GTX1060님.. 안동 김씨, 안동 장씨, 파평 윤씨 등의 페이지를 봤을 때 저희 가문 페이지에 출처 불분명이라는 태그가 달려 있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 태그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03:42 (KST) --HyonH (토론) 2020년 9월 11일 (금) 14:59 (KST)답변

HyonH님 깊이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HyonH님의 깊으신 뜻과 배려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생각했던것이 말씀하신 그대로 입니다 하지만 다른분들께서 직제학계를 배제하거나 축소시키시려는것이 안타깝습니다 서로가 같은 본향을 둔 계대를 확인할 수 없어 나뉘었지만 어쩌면 한뿌리 일수도 있는 서로가 반가운 인동장씨라 생각합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리고 언제나 좋은날만 가득하세요 Parkening (토론) 2020년 9월 8일 (화) 12:29 (KST)답변

혹시

위키백과 지침 문서를 다 읽어보셨나요? ⭐별의아이⭐🌟🏵 2020년 9월 8일 (화) 16:33 (KST)답변

4시간 전ㅇ 편집 기록이 았습니더. 토론 화피하지사 마시죠 ⭐별의아이⭐🌟🏵 2020년 9월 8일 (화) 20:28 (KST)답변

제 일로 바빠 지금 이 문제에 시간을 할애할 상황이 아닙니다. 죄송합니다.--HyonH (토론) 2020년 9월 8일 (화) 20:36 (KST)답변

들여쓰기 안내

반갑습니다, HyonH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참여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른 사용자의 질문, 답글에 답글을 달 때에는 들여쓰기를 해주세요. 자신의 발언 앞에 :를 사용하면 들여쓰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글을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Jeju Student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0:09 (KST)답변

네, 안내 고맙습니다.--HyonH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21:03 (KST)답변

제 사용자토론에 확인해달라는 말을 남기지 말아 주시길 바랍니다.

최소 하루에 한번씩 확인하고 있습니다. 한 번 더 해당 행동 반복시, 토론 무시로 차단신청 하겠습니다. GTX1060 (토론) 2020년 9월 15일 (화) 15:55 (KST)답변

네 잘 알겠습니다. 그기에 코멘트 드린대로 앞으로 그기에는 글 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5일 (화) 17:01 (KST)답변

'분류:옥산 장씨' 문서 편집에 대해서

해당 문서에 하신 편집은 이전으로 되돌려졌습니다. 해당 분류에 대해 다루는 문서인 옥산 장씨에 서술되어야 할 내용으로, 관련 편집은 이전으로 되돌립니다. 분류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분류 문서에 추가할 수도 있으나, 위와 같은 정도라면 일반 문서에 추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 메이 (토론) 2020년 9월 16일 (수) 01:25 (KST)답변

네 그러는 게 좋은 거 같습니다. 처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HyonH (토론) 2020년 9월 16일 (수) 01:43 (KST)답변

'상장군계 인동 장씨' 문서 삭제 알림 및 저작권 침해 반복에 대한 경고

해당 문서는 삭제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위키백과 저작권 정책에 호환되지 않는 내용을 위키백과에 삽입하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저작권 호환이 되지 않는다면, 그 내용을 위키백과에 추가할 수 없습니다. 내용을 직접 타이핑했다거나, 한자 표기를 일부 지웠다고 해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관련 문서의 확인 및 참고를 바랍니다. url을 제시하는 것은 내가 참고를 한 웹사이트를 밝혀적음으로서, 저작권 침해가 아님을 보이는 것이지, url을 제시하였다고 해서 그 내용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새로운 글'로 작성하라고 안내해드린 바도 있으나, 전혀 참고를 안하고 계신 것으로 여겨집니다. 저작권 침해 반복에 대하여 경고하며, 이후 적절한 편집을 바랍니다. -- 메이 (토론) 2020년 9월 16일 (수) 01:5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