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나무위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인용링크 추가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
{{웹사이트 정보
{{웹사이트 정보
| 이름 = 나무위키
| 이름 = 노무위키
| 로고 = Namuwiki-logo.png
| 로고 = Namuwiki-logo.png
|개발자 = namu,PPPP,A
|개발자 = 노무현
| 본사 = {{국기|파라과이}} [[아순시온]]
| 본사 = {{국기|파라과이}} [[아순시온]]
| 그림 =
| 그림 =
20번째 줄: 20번째 줄:
| 콘텐츠 라이선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라이선스|CC BY-NC-SA 2.0 KR]]<ref name=나무>{{웹 인용|url= 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A%B8%B0%EB%B3%B8%EB%B0%A9%EC%B9%A8|제목= 나무위키:기본방침|웹사이트= 나무위키|보존날짜= 2016-03-05|보존url= http://web.archive.org/web/20160305111417/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A%B8%B0%EB%B3%B8%EB%B0%A9%EC%B9%A8|확인날짜= 2016-04-29}}</ref>
| 콘텐츠 라이선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라이선스|CC BY-NC-SA 2.0 KR]]<ref name=나무>{{웹 인용|url= 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A%B8%B0%EB%B3%B8%EB%B0%A9%EC%B9%A8|제목= 나무위키:기본방침|웹사이트= 나무위키|보존날짜= 2016-03-05|보존url= http://web.archive.org/web/20160305111417/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A%B8%B0%EB%B3%B8%EB%B0%A9%EC%B9%A8|확인날짜= 2016-04-29}}</ref>
| 소유자 = umanle S.R.L.<ref>{{웹 인용|url= https://namu.wiki/topic/50953|제목= 나무위키 소유권 이전에 대한 공지|저자= umanle|보존url= https://archive.is/VXRrI|보존날짜=2016-06-23|날짜=2016-05-08|웹사이트= 나무위키|확인날짜=2016-06-23}}</ref>
| 소유자 = umanle S.R.L.<ref>{{웹 인용|url= https://namu.wiki/topic/50953|제목= 나무위키 소유권 이전에 대한 공지|저자= umanle|보존url= https://archive.is/VXRrI|보존날짜=2016-06-23|날짜=2016-05-08|웹사이트= 나무위키|확인날짜=2016-06-23}}</ref>
| 제작자 =
| 제작자 = 노무현
| 운영자 =
| 운영자 =나무위키운영진
| 국적 =
| 국적 =대한민국
| 현재 상태 = 운영 중
| 현재 상태 = 운영 중
}}
}}


'''나무위키'''는 [[리그베다 위키]]의 [[2015년]] [[4월 11일]] 자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4월 17일]] 시작된 [[한국어 위키 목록|한국어 위키]]이다.<ref name=나무 /> 2017년 3월 기준 국내 인기 웹사이트 순위에서 11위를 차지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12/0200000000AKR20170312047300017.HTML|제목=나무위키 10년…유머로 키운 '잡학다식'의 숲|성=김태균|날짜=2017-03-13|뉴스=연합뉴스|언어=ko-KR|확인날짜=2018-06-17}}</ref> 2018년 2월 23일 통계에 따르면 리다이렉트(넘겨주기)를 포함하여 180만여 개의 문서가 수록되어 있다.<ref>{{웹 인용|제목=소개 페이지|url=https://namu.wiki/w/나무위키?from=나무위키%20문서%20수#s-8|웹사이트=나무위키}}</ref>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CC BY-NC-SA 2.0 KR) 라이선스로 배포되나,<ref name="나무" /> 문서에 삽입된 사진은 별도의 라이선스로 배포될 수 있다.
'''노무위키'''는 [[리그베다 위키]]의 [[2015년]] [[4월 11일]] 자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4월 17일]] 시작된 [[한국어 위키 목록|한국어 위키]]이다. [[노무현]]이 제작한 사이트이다.<ref name=나무 /> 2017년 3월 기준 국내 인기 웹사이트 순위에서 11위를 차지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12/0200000000AKR20170312047300017.HTML|제목=나무위키 10년…유머로 키운 '잡학다식'의 숲|성=김태균|날짜=2017-03-13|뉴스=연합뉴스|언어=ko-KR|확인날짜=2018-06-17}}</ref> 2018년 2월 23일 통계에 따르면 리다이렉트(넘겨주기)를 포함하여 180만여 개의 문서가 수록되어 있다.<ref>{{웹 인용|제목=소개 페이지|url=https://namu.wiki/w/나무위키?from=나무위키%20문서%20수#s-8|웹사이트=나무위키}}</ref>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CC BY-NC-SA 2.0 KR) 라이선스로 배포되나,<ref name="나무" /> 문서에 삽입된 사진은 별도의 라이선스로 배포될 수 있다.


== 역사 ==
== 역사 ==

2018년 7월 14일 (토) 16:51 판

노무위키
사이트 종류위키위키[1]
회원 가입선택적[1]
사용 언어한국어
콘텐츠
라이선스
CC BY-NC-SA 2.0 KR[1]
본사파라과이 파라과이 아순시온
소유자umanle S.R.L.[2]
운영자나무위키운영진
제작자노무현
시작일2015년 4월 17일[1]
웹사이트namu.wiki
현재 상태운영 중

노무위키리그베다 위키2015년 4월 11일 자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4월 17일 시작된 한국어 위키이다. 노무현이 제작한 사이트이다.[1] 2017년 3월 기준 국내 인기 웹사이트 순위에서 11위를 차지하였다.[3] 2018년 2월 23일 통계에 따르면 리다이렉트(넘겨주기)를 포함하여 180만여 개의 문서가 수록되어 있다.[4]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CC BY-NC-SA 2.0 KR) 라이선스로 배포되나,[1] 문서에 삽입된 사진은 별도의 라이선스로 배포될 수 있다.

역사

나무위키의 전신인 엔젤하이로(Angel Halo를 일본식으로 읽은 것) 위키는 2007년 3월 1일에 설립되어 애니메이션, 만화, 인터넷 신조어 등에 특화되었다. 말장난 등 농담을 섞어 쓰는 독특한 서술로 인기를 끌었고 두터운 마니아 층이 지속하여 글을 쓰면서 규모가 커졌다. 2012년 리그베다 위키로 명칭을 바꾸었다.[5] 그런데 리그베다 위키 운영자가 위키를 사유화한다는 논란이 일어 위키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없게 되어 이 위키를 포크한 대체 위키 중 하나로서 시작되었다.[6] 포크된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 문서의 90% 가량이다.[7] 사유화 논란 이후 리그베다 위키 사용자 대부분은 나무위키, 리브레 위키 등으로 분화되었다.[8]

2017년 3월 13일 기준 나무위키는 대한민국의 인기 웹사이트 순위 11위를 차지해 33위를 차지하는 한국어 위키백과를 크게 앞질렀다. 구글 검색에서도 문화와 관련된 검색을 항목하면 검색 결과에 한국어 위키백과보다 나무위키를 먼저 보인다. 이러한 인기는 나무위키에 쓰이는 단순한 어휘와 위키백과의 딱딱한 문체와 다른 편안하고 농담 섞인 문체가 사람들의 선호에 부합했고, 한국어판 위키백과가 다른 언어판에 비해 규모가 작고 내용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5][9]

비판

편향된 서술

인기 웹사이트 순위에 오를 만큼 영향력이 강한 위키이지만 편향되거나 정확성과 신뢰성이 낮은 서술이 많아 비판이 인다. 종교 혐오 서술을 금지하거나 일반인 홍보를 금지하는 등의 규칙 등이 세워지고 편집자들이 지속해서 오류를 수정하지만, 출처 명기 규칙이 엄격한 위키백과에 비해 규정이 느슨하며 주관적 의견과 농담을 자유롭게 기입하는 문화가 있어 이 같은 비판이 지속적으로 대두된다. 독자연구를 권위 있는 연구나 사실인 것처럼 서술하여 읽는 이를 호도하는 경우가 잦다.[10] 또한 소수의 사용자가 문서 작성에 참가할 때는 잘못된 내용이 그대로 방치될 수 있다. 이런 편향성을 해결하기 위해 나무위키의 모든 문서는 이용자 간 이견이 있을 경우 토론을 거치지만[1] 주장의 옳고 그름에 상관없이 인원수가 많은 쪽이 유리해지는 경향을 보이는 탓에[11] 편향된 서술이 개선되기 힘들다. 또한 특정 인물과 단체, 나무위키의 이용자 등에 대한 고발성 서술을 저지른[1]가해자를 특정하기 어려운데, [7] 2016년 5월 나무위키가 파라과이 아순시온에 기반을 둔 Umanle S.R.L.에 인수되어 현지 법이 적용됨에 따라 문서의 내용에 대해서 나무위키 측에 책임을 묻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유로 혐오와 차별, 선입견에 기초한 항목들이 버젓이 작성되지만 이 범죄에 책임을 지는 주체는 없다는 점이 또다른 문제로 꼽힌다.[10]

성 평등주의 문서 날조 사건

2016년 8월 2일에 등록된 성 평등주의 문서는 '성 평등에서 시작해 페미니즘의 역차별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사상인 성 평등주의를 따르는 성 평등주의자(이퀄리스트)는 1996년 서구권에서 등장하여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내용을 골자로 마치 성 평등주의 혹은 젠더 이퀄리즘이라 불리는 사상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서술하였다. 2014년 9월 21일에 있었던 엠마 왓슨유엔(UN)에서의 연설을 첨부하며 '연설 내에서의 성 평등주의에 대한 언급을 세어보'라는 주장이 담겨 있었고, 이 문서가 작성된 이후 나무위키의 여성 문제 관련 다른 문서들에서 인용되면서 엠엘비파크, 클리앙[12]정의당 당원 게시판[12] 등 외부로 확산되었다.

일각에서는 성 평등주의를 지속적으로 연구한 논문, 학자, 저술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엠마 왓슨의 연설에서도 ‘젠더 이퀄리티’이란 단어를 몇 번 언급했을 뿐 성 평등주의 문서에서 주장하는 ‘젠더 이퀄리즘’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비판하였다.[12] 문서가 생성되고 6개월 후에 페미위키에서 문제가 제기되었으며,[13] 이후 나무위키의 ‘성 평등주의’ 문서는 토론을 거쳐 제목이 ‘나무위키 성 평등주의 날조 사건’으로 변경되었다.

불투명한 소유 구조와 운영 수익 구조의 의문

현재 Umanle S.R.L(우만레)라는 파라과이 아순시온에 위치한 회사가 소유 및 운영을 맡고 있지만, 이 회사는 위치를 제외하면 경영진이나 회사 현황을 비롯해 그 어떤 것도 알려진 바가 전혀 없다. 그 때문에 콘텐츠를 사유화 한다든가, 탈세를 위해 만들어진 유령회사라는 설 등의 의혹이 제기된다. 하지만 최근의 행태로 보았을 때 나무라이브나 위키 관리자의 기계적인 규정 적용[14][15] 및 편향적 차단조치[16][17][18], 특정 정치집단의 입장에 치우쳐진 서술에 대한 일방적 수용[19][20] 등 노골적인 정치적 편향성 행보를 보여주는 운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기존 관리자가 부계정으로 서술에 참여하는 등 유권 해석 측면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계정 차단의 남발과 이를 회피하기 위한 사용자들의 수 많은 부계정 등 인증 메일을 통한 광고 수익을 얻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도 있다. 또한 나무위키의 사용자 수와 그 파급력을 감안했을 때 이를 정치적 선동 수단으로 사용한다면 엄청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는 나무위키의 막대한 서버운용 비용이나 트래픽 유지비용 충당의 출처에 대해 의혹투성이라는 점을 상기했을 때, 만약 경제적인 뒷 배경이 존재한다면, 유령 회사와 정치적 이권 집단의 선동 목적 합작일 수도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나무위키 측은 위키 사이트는 비영리이며 수익은 나무위키 사용자 커뮤니티인 '나무라이브'에서 수익을 내 사이트 유지 비용을 충당한다는 영리와 비영리가 혼재된 경영 방침을 내세우고 있다.[5]

미숙한 관리자와 새로운 선출 방법 비판

관리자 또한 보수를 받지 않고 일하기 때문에 명확한 선발 기준이 없었다. 그러므로 자격이 미달인 사람도 관리자가 될 수 있기에 관리의 질이 낮았다. 해외 아이피 사용자는 시시비비를 가리지 않고 무조건 차단하기도 하며, 선술된 ‘나무위키 성 평등주의 날조 사건’과 같은 문제가 생겨도 수수방관한다. 또 미숙한 미성년자가 관리자 선거에 출마하는 일이 잦기 때문에 조롱의 대상이 되곤 한다. 나무위키는 2017년 9월 21일 발생한 관리자 nimda 권한 남용 사건 이후로 관리자 선거를 폐지하고 직접 임명하기로 했다. 이에 일부 유저들이 반발하였고, 나무위키 전 소유자인 namu는 나무위키와 같은 엔진을 사용하는 알파위키를 만들어 나무위키의 2017년 9월 데이터베이스를 포크하였다. 위키 소유자 측에서 운영진을 선발할 뿐 아니라 관리 규정을 이용자 간 합의가 아닌 소유자 측에서 자의로 바꿀 수 있게끔 한 것도 논란이 되고 있다. 또한 소유자 측 관리자가 실행하는 다중 계정 검사는 다중 계정이라 판단하는 구체적 근거를 명시하지 않아서 운영진 측이 사용자를 임의로 차단하는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21]

저작권 논란

리그베다 위키포크하였기 때문에 리그베다 위키 운영자 청동과의 DB 분쟁이 있다.

기타 서비스

나무라이브

나무위키의 소유주인 umanle S.R.L에서 개설한 커뮤니티이다. 특정 주제에 대해 논의하는 채널(게시판) 형태로 운영된다. umanle S.R.L.은 나무위키를 인수할 당시 이용자 여론을 따라 광고를 달지 않으며, 추후에 영리적 커뮤니티의 광고 수입을 통해 운영비를 얻을 것이라고 밝혔다. [22] 이후 2016년 9월 5일에 사전 예고 없이 나무라이브를 개설하였다. 나무위키의 로그인 정보와 연동되어 동시에 로그인할 수 있다.

나무위키를 포크한 위키

이 위키를 포크한 위키로 바다위키, 우만위키, 알파위키가 있다. 오리위키는 리그베다 위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나 나무위키의 문서를 포크한 문서가 일부 있었다. 오리위키와 바다위키는 2017년에 폐쇄되었다.

같이 보기

각주

  1. “나무위키:기본방침”. 《나무위키》.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9일에 확인함. 
  2. umanle (2016년 5월 8일). “나무위키 소유권 이전에 대한 공지”. 《나무위키》. 2016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3일에 확인함. 
  3. 김태균 (2017년 3월 13일). “나무위키 10년…유머로 키운 '잡학다식'의 숲”. 《연합뉴스》. 2018년 6월 17일에 확인함. 
  4. “소개 페이지”. 《나무위키》. 
  5. 김태균 (2017년 3월 13일). “나무위키 10년…유머로 키운 '잡학다식'의 숲”. 《연합뉴스》. 2017년 7월 14일에 확인함. 
  6. 김작가. 《보그 한국판 2015년 8월호》. 202-203쪽. 그리고 이 모든 일을 시간 단위로 작성한 나무위키는 빠르게 리그베다 위키의 대체재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어떤 사건으로 인해 문서 작성을 열혈적으로 하는 이용자들에게는 '사관'이란 별명이 붙었다. 몰락한 위키를 떠나 새롭게 탄생한 위키가 이 전쟁을 통해 예상을 뛰어넘는 속도로 뿌리내렸다.. 
  7. 이대웅 기자 (2016년 4월 22일). “나무위키에서의 개인 명예훼손, 이대로 좋은가”. 《크리스천투데이》. 2016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6일에 확인함. 
  8. 와우스타 웹컬처팀 기자 (2016년 1월 27일). “[2016 웹컬처 키워드] 국내 집단지성 위키, ‘대위키시대’ 도래”. 《한국경제TV》. 2016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8일에 확인함. 
  9. http://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07322
  10. 황효진 기자 (2016년 6월 21일). “나무위키│① 나무위키를 믿습니까?”. 《ize》. 2016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2일에 확인함. 
  11. 이지혜 (2016년 6월 21일). “나무위키│② 나무위키를 수정해보자”. 《ize》. 2016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9일에 확인함. 
  12. 허진무 (2017년 1월 31일). “페미니즘 비판하던 '이퀄리즘'은 누리꾼이 만들어낸 '창작품'. 경향신문. 2017년 2월 3일에 확인함. 
  13. 성수영 (2017년 2월 1일). “위키서 날조된 '이퀄리즘' 검증 없이 반년간 확대 재생산”. 한국경제. 2017년 2월 3일에 확인함. 
  14. “규정해석예시1”.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15. “규정해석예시2”.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16. “차단조치예시1”.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17. “차단조치예시2”.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18. “차단조치예시3”.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19. “예시1”.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20. “예시2”.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21. 디시인사이드 위키 갤러리, 관선이 "라레나" 하는건 이미 의혹이 아니라 확정 아닌가
  22. 나무위키:보존문서/공지사항의 나무위키 소유권 이전에 대한 공지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