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믹타 국회의장회의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5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7월)

문서명 관련[편집]

안녕하세요. 현재 문서의 제목이 '믹타(MIKTA) 국회의장회의'로 되어있는데 MIKTA브릭스와 마찬가지로 특정 몇몇 국가들을 묶어서 통칭하는 용어로, 굳이 괄호를 사용해서 영어 표기를 병기할 필요까지는 없어보이는지라 문서명에서 '(MIKTA)'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3일 (목) 17:33 (KST)답변

추가적으로 이쪽 분야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이 문서와 관련이 있는 믹타 (MIKTA) 문서도 함께 만들어주신다면 위키백과에 더욱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3일 (목) 17:36 (KST)답변
저명성 자체가 없고, 이해당사자가 만든 문서인데 굳이 공력 들일 필요 없어보입니다. --팝저씨 (토론) 2015년 9월 4일 (금) 09:17 (KST)답변

안녕하세요. 문서 작성자입니다. 저의 문서에 관심을 가져주신 점에 대하여 감사드리며, 현재 BIGRULE님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서 제목을 "믹타 국회의장회의"로 수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임을 알려드립니다. '저명성'에 관한 의견을 주셨는데, 주지한 바와 같이 MIKTA(Mexico, Indonesia, Korea, Turkey, Australia)는 대한민국이 주도하여 2013년 9월 결성한 중견국 협의체로서, G20 회원국 중 G7 또는 브릭스에 소속되지 않고 경제규모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민주주의'와 '평화'라는 핵심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설립된 지 오래되지 않아 생소하게 여기시는 분들이 있겠지만, 믹타는 각국 외교부를 중심으로 활동 반경을 점차 넓혀가면서 국제사회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협의체로서 향후 그 위상과 역할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점을 양지해주시면 좋겠습니다.--Mikta speakers (토론) 2015년 9월 4일 (금) 17:37 (KST)답변

지금 뉘앙스가 '국회에서 문서 만들었는데 검토해볼게' 같은데, 번지수 잘못 짚으셨습니다. --Neoalpha (토론) 2015년 9월 4일 (금) 17:42 (KST)답변
알리고 싶은 것을 쓰는 곳은 광고지이지 백과사전이 아닙니다. 여기는 홍보, 알림, 공보를 하는 곳이 전혀 아닙니다. --Neoalpha (토론) 2015년 9월 4일 (금) 17:48 (KST)답변
일단 백:제목 지침에 따라 문서를 이동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저명성을 담보하는 것은 아닙니다. --Neoalpha (토론) 2015년 9월 4일 (금) 17:53 (KST)답변

제목이 변경되었으므로 틀을 제거했습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4일 (금) 17:59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7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믹타 국회의장회의에서 3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7월 23일 (월) 09:00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3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믹타 국회의장회의에서 2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3월 17일 (목) 07:35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