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YKS6848/윤경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경원(尹慶遠)

군자의(君子醫)

 윤경원(尹慶遠, 1881.1.9 ~1959.11.2)은 현릉참봉을 지냈다. 일찍이 허준 선생의 수신의 명시에 접한 바 있어 제중에 뜻을 두어 명의와 사익에 편승하지 않아 일제시대 제중하여 군자의(君子醫)라고 칭하였다. 정산군민 2000여 명의 송덕으로 1946년 건립된 송덕비가 현재 정산면 천장리 천계로 변에 근수되어 있다. 또한, 군자의로 칭송 받았음을 알 수 있는 사료가 문서로 전해지고 있다.


출생 1881년 1월 9일

사망 1959년 11월 2일

출생지 충남 청양군 정산면 천장리

안장 충남 청양군 정산면 천장리 당곡 간좌

해문 향토사학자 윤경수


칠원윤씨 38세이며 충효공(尹桓: 문하시중) 후손으로 칠원윤씨 세거지인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윤병일(尹炳一: 유학자)과 단양우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공은 유학자의 자손으로 태어나 영특하고 지혜로워 9세 때 양평군 허준 선생의 수신의 명시를 접했다고 한다. 또한 11세 때에 만병통치시(허준 선생) 7언 108구를 학습하기 시작하여 33세 때부터 허준 선생의 처방을 인용 사익에 편승하지 않고 오직 제중을 하였다고 한다.

용암선생비석의연금 자료 본 록에는 윤공경원제중송덕비 발기문과 비석 설계, 용암거사송덕비사적록서, 송덕비 근수의 축하시. 의연금 내역, 입석 비용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윤공 경원은 그 인격이 근신하고 고상하며 후덕한 성품에 선량한 품격을 갖춘 군자의(君子醫)이며, 명의로는 중국의 편작과 같다고 하였고, 형제(來遠, 무과합격. 홍주의병 참여: 계전)간 직업이라는 소문이 회자되어 인해를 이루었다고 한다.

송덕비는 1946년에 세웠는데 의연금 목록을 보면 최소 10원부터 300원까지 등재되었다. 지금의 화폐가치로 본다면 매우 큰 돈이었다. 전면에 大字로 尹公慶遠濟衆頌德碑로 각자 되어 있으며 小字로 5언8구의 송덕이 기록되었다. 기단은 2002년 庚辰 立夏에 수립되었는데 만인이 공적을 찬양할 수 있도록 한글로 해문을 하였는데 이는 성균관장 박사 월성 최창규(전 서울대교수. 국회의원)의 역술을 기단으로 근수를 하였다.

仁術軆天心(인술체천심) 인덕의 혜술은 천심을 본받고

德性也慈悲(덕성야자비) 후덕한 심성 또한 자비스러웠도다.

志存惟濟世(지존유제세) 소망은 오직 세상 구제에 두었으니

着手卽成春(착수즉성춘) 손만 대면 곧 회춘을 이루었도다.

東西南北材(동서남북재) 동서남북 두루 통하는 군자인이니

佐使君臣理(좌사군신리) 군신의 의리 또한 함께 밝혔네.

紀恩銘于石(기은명우석) 그 은덕 비명에 기록코저하여

二千有餘人(이천유여인) 모여든 사람 이천인도 넘었다네.


참고문헌)

龍巖先生 漆原尹公 諱慶遠 君子醫 小考(2021년. 윤경수)

용암선생비석의연금록(1946년)

충남향토연구회지(2021년). 칠갑문화(2021년)